View : 885 Download: 0

단편 소설을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방안

Title
단편 소설을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hort story-based teaching method for KAP learners : Using the Six Ts approach
Authors
김옥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Korean for academic purposes, 이하 KAP) 학습자를 대상으로 단편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KAP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작품 활용의 효용성 및 가치를 살펴보았고, 내용 중심 교수법 모형 중의 하나인 Six Ts 접근법을 기반으로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KAP 학습자의 성공적인 유학 생활을 위해서는 ‘의사소통적 한국어 능력’뿐만 아니라, ‘학업 수행에 필요한 학습 기술 향상’ 및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학습 자료로써 문학 작품을 제시하였다. 문학 작품은 작품이 쓰여진 시대의 문화와 역사, 사람들의 가치관 및 행동 양식 등을 알 수 있는 실제적 자료이며, 문학 작품의 구조 및 의미 추론 등을 통해 언어적, 학술적 능력 향상도 기대할 수 있는 유익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KAP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문학 작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Six Ts 접근법의 활용을 제안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 방안을 구성하였다. Six Ts 접근법은 Stoller와 Grabe(2017)가 제안한 것으로 6개의 구성 요소는 Themes(주제), Topics(화제), Texts(텍스트), Tasks(과제), Transitions(전이), Threads(연계)를 의미한다. 이 접근법은 문학 작품의 내용을 보호하여 교수하며, 언어와 학문적 수학 능력의 함양을 기대할 수 있는 통합적 교수 모형이다. Six Ts 접근법은 텍스트인 문학 작품 선정 시 연계 및 주제와 화제를 먼저 고려하도록 함으로써 교육과정 전반의 일관성을 이끌어내도록 돕는다. 또한, 교수-학습 방안을 구성하는 데 있어 전이의 과정을 통하여 주제 단위 하에서의 화제 간, 주제 내에서의 텍스트와 과제 등 수업 전반에 연관성 및 일관성이 명시적으로 계획되도록 제안한다. 이는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 방안 설계에 효과적인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진행하였다. I 장에서는 KAP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Six Ts 접근법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II 장에서는 KAP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교육,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및 내용 중심 교수법과 Six Ts 접근법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또한, KAP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고 그 결과 Six Ts 접근법을 기반으로 교육 방안을 마련한 연구는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다음 장에서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III 장에서는 Six Ts 접근법의 요소인 주제와 주제의 하위 항목인 화제를 설정하고, 선정된 주제 및 화제에 기반을 둔 단편 소설들을 선별하여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또한, 연계를 통한 주제, 화제, 텍스트와의 전체적인 연관성을 살펴보고, 선정된 텍스트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선정한 주제는 ‘가족애’, ‘우정’, ‘공동체 의식’이며, 주제를 공통적으로 연결해주는 연계는 ‘역사적 국난 속에 나타난 휴머니즘’이다. 각 주제의 하위 항목인 화제는 ‘가족의 사랑’, ‘가족의 단결’, ‘우정의 형성’, ‘우정의 재확인’, ‘공동체 저항 의식’, ‘공동체 회복 의지’로 각각 설정하였다. 주제 및 화제와 적합한 작품으로 선정된 텍스트는 현덕의 「나비를 잡는 아버지」, 하근찬의 「수난이대」, 현덕의 「고구마」, 황순원의 「학」, 김정한의 「사하촌」, 이범선의 「학마을 사람들」이다. IV 장에서는 Six Ts 접근법 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기본 원칙 및 과제와 전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본 바대로 문학 작품의 언어적, 문화적, 문학적 교육자료로서의 가치에 주목하여 선정된 텍스트를 언어 교수-학습 방안, 문화 교수-학습 방안, 문학 교수-학습 방안으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V 장은 결론으로 전체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살펴보았으며, 후속 연구로 Six Ts 접근법을 기반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들이 연구되고, 교육 방안뿐만 아니라 교재 개발 등에서도 중요한 기준으로 Six Ts 접근법이 활용되기를 제언하였다.;This study propose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 using short stories for KAP(Korean for academic purposes) learners. KAP learners need not only communicative Korean language skills but also the learning skills necessary for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This study presents literature works as learning materials suitable for such ability improvement. To effectively use literary works, the Six Ts approach was proposed. It was designed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is. The SIx Ts approach was proposed by Stoller and Grabe (2017), and the six components of it are Themes, Topics, Texts, Tasks, Transitions, and Threads. This approach is an integrated teaching model that protects the contents of literary works and improves language and academic performance skills.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Chapter I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for KAP learners and proposes the use of the Six Ts approach. In Chapter II, we examined in detail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AP learners, (b)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literary works, and (c) the Six Ts approach. We also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presented the research question. In Chapter III, the themes, threads, and the topics in thematic units, which are elements of the Six Ts approach, were set. Short stories based on these themes and topics were selected as texts. We looked at the specific content of the texts and examined their relevance to the selected theme. In Chapter IV, we examined the classroom design features, underlying principles, tasks, and transitions based on the Six Ts approach. Using the selected texts, we also designed by dividing (a) language teaching-learning methods, (b) cultur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c)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s. Chapter V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nd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s a follow-up study,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Six Ts approach would be studied, and the Six Ts approach would be used as an important criterion not only for educational methods but also for textbook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