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3 Download: 0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Title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Reserch Trends on Videoconferenc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uthors
조연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to look at videocoferenc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ublished since 2011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i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will allow to look at related research issues on videoconferenc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on Videoconferencing did not have much research until 2011, but it has been started since 2011. This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proliferation of videonconferencing platform. And it has incresed sharply since 2020. This is due to the crisis of COVID19. The bias by type, subject and subject of study was shown very seriously. This implies that various studies should be conducted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remote video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ducators and researchers should always be interested in new trends on education and be prepared for future education. I hope that this study can help overcome the current crisis and be applied to actual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s in the future.;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의 연구 동향을 살펴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변화의 요구에 발맞춰 나아갈 수 있도록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의 연구 동향은 연구 시기별, 연구 유형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원격 교육의 내용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0년 10월까지 발표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총 28편이 연구 대상으로 활용되었다.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에 대한 연구는 2010년 이후에 와서야 이루어졌는데 이는 화상 회의 플랫폼의 발전 과정에서 그 연관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2020년 이후 연구가 급증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중단 위기를 극복하고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려는 교육 현장의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평생 교육의 대두, 비형식 교육의 증가, 1인 미디어 시대의 개막 등 다양한 목적의 한국어 교수 및 학습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앞으로의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재확인하였다. 다양한 환경적 제약을 극복하고 전 세계 다양한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를 맞추며, 양질의 교원을 보급하는 교육 방식으로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은 그 발전 가능성과 잠재력이 있음을 역시 확인하였다.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에 관한 연구의 편중성은 연구의 유형별, 대상별, 주제별, 원격 교육의 내용별에서 두루 나타났다. 이는 양적·질적 발전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원격 교육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분석 기준을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특히 연구 주제별 분석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교육 내용의 분석에만 치중한 것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교육 공학적인 측면과 한국어 교육적인 측면을 모두 적용한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아울러 원격 교육의 내용별 분석에서도 ‘원격 교육의 방식’, ‘참여 방식’, ‘교육의 주체’, ‘교수자의 구성’ 및 ‘교육과정의 구성’으로 세부 분석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지금까지 진행된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이 어떠한 경향성을 가지는지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마련한 분석 기준이 향후 수정·보완되어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아울러 본 연구는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이라는 통일된 용어를 제시함으로써 학문적으로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코로나 위기와 위기 이후,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은 전 세계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중요한 교육 수단이 되었다. 또한 코로나19의 전 세계 확산 이후 많은 교육 기관에서 원격 교육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의 수업을 실행하고 있는바, 한국어 교육의 질적 발전을 위해 원격 교육, 특히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에 대한 연구는 시기적으로 매우 중요한 하나의 과업이 되었다. 그러나 교육 방해 및 중단의 원인은 비단 코로나19와 같은 유행병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쟁, 지역 분쟁, 또 다른 유형의 자연재해들은 잠재적인 교육 방해의 원인이 되어 왔고 또 될 것이다. 지금의 시대적·환경적 상황이 변화의 시기를 좀 더 앞당겼을 뿐,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은 이제 대면 수업의 대안이나 보충적 수단을 넘어 교육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강력한 교육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위기는 언제고 반복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위기 상황이 반복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러한 위기로부터 다시 좌절하지 않도록 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만큼이나 테크놀로지 역량을 강화하는 교사 교육을 진행하거나, 운영 및 관리를 지원하는 부서나 기관을 신설하는 등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계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지금의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