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불완전한 애도

Title
불완전한 애도
Other Titles
Incomplete Mourning : Art as a Memory and Representation
Authors
신예빈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는 갑작스러운 반려견의 죽음으로 인한 연구자의 여러 감정을 고찰하며 반려견의 죽음을 애도하는 과정을 담은 논고이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반려동물을 키우며 자연스럽게 애착 관계가 형성되고 반려동물 소유자들은 동물을 단순한 객체가 아니라 애정 어린 관계를 나눌 수 있는 주체로, 즉 명백한 인격체로 여긴다. 이러한 관계가 형성된 상태에서 맞이하게 되는 반려견의 죽음은, 특히 예기치 못한 갑작스러운 죽음은 남은 사람에게 오랜 시간 동안 고통을 겪고 살아가게 만든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러한 갑작스러운 죽음을 겪은 후 행하게 되는 애도 과정에 관한 연구 후,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죽음과 애도에 대한 탐구를 시작하고자 한다. 이에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애도(mourning)와 멜랑콜리아(mélancolie) 개념을 통해 가까운 이의 죽음을 경험한 후 상실감과 우울감이 어떻게 개인의 삶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프로이트는 애도를 정신분석학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작업”이라고 설명하며, 고통을 동반하지만 성공적으로 완수해야 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작업”의 성공은 사랑하는 대상을 향한 리비도를 다른 대상으로 옮기는 행위를 의미하며, 이에 실패한 경우 병리적인 우울증인 멜랑콜리아에 빠진다고 하였다. 사랑의 대상이 죽었다고 다른 대상에게 리비도를 이동해야 한다는 것과 멜랑콜리아가 병리적 현상이라는 것에 동의할 수 없었던 연구자는 데리다의 애도 개념을 통해 상실에 대한 이해를 더 심화시키고자 하였다. 데리다는 정신분석학에서 논의하는 ‘정상적인’ 애도를 비판하며 애도와 멜랑콜리아 사이의 대립을 해체한다. 또한, 애도의 과정에서 멜랑콜리아가 남아 해소할 수 없는 슬픔에 빠지기도 하는 것을 병리적인 현상이 아닌, 하나의 애도의 요소로 인정한다. 그가 말하는 애도 행위에서 애도하는 주체는 죽은 대상인 타자를 자기 안으로 완전히 들이거나 바깥으로 완전히 배제하지도 않으며 대상의 타자성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타자의 타자성을 보유하면서 타자에게 응답하는 방식이 연구자에게는 죽은 대상에 대한 책임이며, 예술 작업을 하는 이유이다. 죽음은 살아있는 모든 생물에게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일이고 남아있는 자들에게 회복해야 할 숙제를 남긴다. 예술이라는 창조적 행위는 다양한 언어와 매체를 사용해 자신을 치유하며 심리적 과정을 끌어낸다. 이를 통해 내면적 경험이 완화되고 변화되어 감정의 승화를 일으킨다. 연구자는 흙이 주를 이루는 도자와 더불어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반려견의 죽음에 대해 표현하고 애도하고자 하였다. 작업을 진행하면서 연구자는 진정한 애도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자가 생각하는 진정한 애도란, 죽은 반려견을 망각하지 않고 끊임없이 기억하며 사랑하는 것이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죽음으로 인한 트라우마와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다양한 방식의 예술 행위를 하는 예술가들의 작품을 살펴보았다. 낸 골딘(Nan Goldin)은 어릴 적 언니의 자살에 대한 트라우마로 인해 강박적으로 사진을 찍는 행위로 서서히 자기 회복을 하며, 후기 작업에서는 트라우마를 직접 마주하고 공동체에 대한 치유로까지 나아간다. 도레스 살세도(Doris Salcedo)는 정치적인 폭력, 전쟁 등 국가적인 위기에서 안타깝게 희생된 사람들을 발견하고, 그들을 애도하며 죽음은 모든 것의 종결이 아닌 생존한 사람들의 마음속에 살아있는 것임을 알게 된다. 마리아 이오노바 그리비나(Maria Lonova-Gribina)는 길가에 죽어있는 동물들을 자연 속에 있는 꽃과 이끼 등을 이용해 배경을 꾸며 마치 꽃밭에 살아있는 동물처럼 아름답게 표현함으로써 죽음을 승화시킨다. 반려견의 죽음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던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다시 한번 죽음이 일어난 사건의 날을 마주하게 되었다. 그리고 고통스럽기만 했던 그 날을 그저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하도록 노력했다. 이 과정을 통해 괴롭고 아팠던 반려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덜어졌다. 본 연구는 부정적이고 상처였던 연구자의 상실의 감정과 죽음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 주는 계기가 되었고 반려견을 연구자의 기억 안에 보존하며 끊임없이 기억하는 방식을 알려주었다. ;This study is a thesis on the process of mourning, based on researcher’s various feelings while going through a death of a dog. 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raise pet and form a natural attachment, in which they regard their pet as a being with personalities they can share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not just objects. Since a pet owner forms an affectionate relationship with his pet, the death of it, especially an unexpected one, makes the remaining person suffer for a long time in his lif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go throughly the process of mourning after a sudden death, based on Sigmund Freud and Jacques Derrida’s theories and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s. This study went through the concepts of Sigmund Freud's mourning and mélancoli, in the perspective of how loss and depression affects a person's life after experiencing the death of a close person. Freud described mourning as a "work" that must be carried out psychoanalytically, and said it is a task that must be completed successfully though it accompanies pain in the process. The success of "work" here means the act of moving the libido toward the loved one to another, and if it fails, it falls into the pathological depression of mélancoli. However, this study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mourning by Jacques Derrida’s theory that criticized Freud’s definition of “normal mourning“ which separates mourning and mélancoli. In Jacques Derrida’s theory, melancholia remains in the process of mourning in which is unsolvable. Melancholia should be respected as an element of mourning, not as a pathological phenomenon that needs to be fixed., The key to his concept of mourning is remaining otherness, rather than completely bringing the lost one into the mourner or excluding it from the mourner. As such, the method of responding to others while maintaining the the otherness became the responsibility of the researcher for the dead and the reason for the work of art. Death is inevitable for all living creatures and it leaves the remaining people with a task to recover. Creating art, by using variety of languages and media can have affect on the artist to heal himself and draw out psychological processes. In this process, artist relieves and changes the internal experience, causing sublimation process of emotions. In this study, researcher expressed and mourned the death of the dog using various materials that mainly consisted of ceramic work. As the work progressed, researcher was able to find the true meaning of mourning. The true mourning that researchers think of is the constant memory and love without forgetting it. Consequently, this study looked at the works of artists who performed various forms of art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trauma caused by death. Nan Goldin recovers trauma of his sister's suicide as a child, by the act of taking photos obsessively. In his later work, he faces trauma directly and goes as far as healing the community. Doris Salcedo finds people sadly victimized in national crises, such as political violence and war, and mourns them and learns that death is not the end of everything, and yet is still alive in the minds of the survivors. Maria Ionova-Gribina overcomes death by decorating dead animals on the roadside with flower and moss in nature as if they were living animals in beds of flowers. Through this study, researcher, who had not completely escaped from the death of a loved one, once again had to face the day of her death. While trying to remember the painful day, researcher learned to not just avoid it, but to remember it. Through this process, the pain gradually went away, changing the feeling of loss and the perception of death, which were negative and hurtful, into something worth to rememb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