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식물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한 조형표현 연구

Title
식물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한 조형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ve Expression Us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Plants
Authors
정수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사람에게 자연은 경외로운 존재로 자연 속에 의존하여 살아가고 있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언제나 자연을 갈망하며 자연이 가지고 있는 그 생명력과 순환에 평안과 위로를 얻는다. 본인 역시 자연에 항상 심리적 안도와 위로를 받아 자연에 관심이 많으며 자연의 여러 요소 중에서도 산책을 하면서 무의식적으로 마음이 이끌리는 주변 식물의 형태에 주목한다. 식물의 형태는 간단히 잎, 가지, 줄기, 뿌리 등의 형태가 보이지만 그 중에서도 잎의 형태에 집중하고, 잎의 형태에서도 잎몸의 형태에 집중하여 잎의 표면적인 형상에 주목해 식물을 바라본다. 작업의 초반부터 잎의 형태에 주목하여 바라보진 않았고 잎이 식물을 이루는 요소가 되는 것 에만 관심만이 있어 개자원에 나오는 듯한 관습적인 식물의 표현으로 화면을 이루었다. 이러한 표현의 식물들을 화면에 구성하며 재미를 느꼈지만 점차 너무 습관적으로 손에 익은 식물에 대한 공허함이 생기게 되었다. 작업을 지속해 나아가면서 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더해져 식물을 직접 관찰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고 관찰을 통해 식물의 형태를 주관적으로 해석하여 표현하는 지금의 작업에 몰두하게 되었다. 본인은 식물을 작업에 나타낼 때에는 잎의 반복적인 구성에서 만들어지는 식물의 형태에 주목한다. 다수의 잎의 반복으로 나타나는 리듬감과 생겨나는 형태에 따른 흐름을 담고 있는 잎의 군집들에 의해 형성되는 식물의 형태가 본인의 미감을 자극하여 이를 작업으로 나타내기 위해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였고 이는 모든 작품에서 나오는 식물의 기본적인 조형적 관점이 되었다. 식물은 주로 단독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다수의 개체와 함께 존재하여 그 환경을 공유하지만 어떠한 풍경을 보아도 식물이 개체마다 서로 다른 개성을 가지고 함께 공존한다 하여 서로의 존재가 이질적이게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을 화면에 담기 위해 다양한 식물을 화면에 재구성 하여 배치하는데 각각의 식물의 개성을 표현하고 구별시키기 위해 잎 형태의 굵기나 폭이 다른 잎을 서로 구성하고 배치하여 서로의 특징을 더욱 대비시켜 강조하고 식물의 형태가 더 돋보일 수 있도록 식물 간의 여백을 두어 그 형태를 주목시킨다. 그러면서도 다양한 식물이 화면에서 조화롭게 보일 수 있도록 접촉시키고 중첩시켜 서로 간의 조화로움을 더한다. 한편으로는 잎의 반복적 구성이 보여주는 미감에 더욱 주목하여 동일한 잎의 반복으로 화면을 가득 채워 잎의 총집 된 구성이 보여 주는 조형성에 집중한다. 이는 본인이 식물을 보았을 때 주목하는 잎이 만들어내는 조밀한 흐름과 리듬감을 보여주기 위함이고 이를 더욱 과장하기 위해 패턴화 시켜 반복에 집중하여 작업한다. 잎의 단순한 나열의 반복이 아닌 관찰을 통한 잎의 구성에 기반을 두어 이를 관념화 하고 그 형태를 반복하여 화면에 나타내어서 무의식적인 반복에서 나타나는 우연한 필치의 흐름과 리듬감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식물을 바탕으로 무의식중에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식물의 형태적인 요소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주목하는 그 이유와 요소를 상세히 설명하고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잎에서 느낀 조형적인 매력을 작업으로 발전시킨 내용과 과정을 정립하는데 의의를 둔다. ;To man, nature is a awe-inspiring existence, and man lives on the basis of nature. That is why people always crave nature and get peace and comfort in its vitality and circulation. She herself is always interested in nature with psychological relief and consolation, and she pays attention to the types of surrounding plants that are unconsciously attracted by taking a walk among nature's various elements. The plant's form simply shows the shape of leaves, branches, stems, and roots, but it focuses on the shape of the leaves, and focuses on the shape of the leaves to look at the plants. From the beginning of the work, I didn't pay attention to the shape of the leaves, but I only had interest in plants, so I formed a screen with the expression of the customary plant that seemed to come out of a art book by the name Gaejawon. Although I enjoyed organizing these plants on the screen, I gradually became more and more accustomed to the familiar plants. As I continued to work, I felt the need for direct observation of plants as interest and affection for plants were added, and I became immersed in the current work of expressing the plant's form subjectively through observation. When I look at plants, I pay attention to the form of plants that are made in the repetitive composition of the leaves when I present them in my work. The form of plants formed by clusters of leaves that contain the rhythm that appears through the repetition of many leaves and the flow of the forms that arise continued to study the method of expression in order to stimulate one's aesthetic sense and represent it as work, which became the basic formative point of view of plants from all the works. Plants usually exist with a large number of objects rather than alone and share their environment. Nevertheless, the existence of each other is not disparate and harmonious because they have different personalities in any landscape. Various plants are reconstructed and placed on the screen to capture thes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xpress and distinguish the individuality of each plant, leaves of different thickness or width of the leaf form are arranged to further contrast and emphasize each other's characteristics, and the space between plants is placed so that the shape of the plant can stand out. At the same time, it adds harmony by touching and overlapping various plants so that they can look harmonious on the screen. On the one hand, more attention is paid to the aesthetic of the repetitive composition of the leaves, focusing on the formality shown by the total composition of the leaves by filling the screen with the repetition of the same leaf. This is to show the dense flow and rhythm of the leaves that pay attention to the plants when they see them, and to exaggerate and pattern them.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leaves through observation rather than simply the repetition of the list of leaves, it is conceptualized and its form is repeated on the screen to show the flow and rhythm of accidental touches from unconscious repetition. Based on the plants encountered on a daily basis, this paper sets significance in setting up the content and process that developed the formative attraction felt on the leaves into work by explaining in detail the reasons and factors of the attention, along with a brief description of the morphological elements of the plant observed continuously unconsciously, and analyzing the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