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타오르고 소멸하다

Title
타오르고 소멸하다
Other Titles
Flames to Ashes : Gestures to Purify and Transcend
Authors
김하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목
Abstract
예술에 대한 기원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욕구와, 그 욕구를 실현 하는 과정인 인간과 하늘 사이를 이어주는 소통방식에서부터 비롯되었다. 선사시대부터 지금까지 인간의 삶의 형태는 무수한 변화를 겪고 지금에 이르렀지만 기원하는 행위와 살고자 하는 원초적인 욕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삶을 살기 위한 근원적인 행위는 내밀한 자아를 찾기 위한 노력으로 확장된다. 사람들은 각자 인생을 살아가면서 위기와 좌절의 순간들을 마주하게 되는데, 그 순간들을 깊은 통찰을 통해 극복하려 한다. 본인의 작업은 그 순간 깊은 곳으로 들어가게끔 만들어주는 매개체인 달집태우기와 여러 번의 굿판을 목격함으로서 시작한다. 타오르는 불 앞에서 두 손을 모아 온 마음을 다해 기도하는 사람들을 보며 마음 한 켠 응어리져 있는 곳을 밝히려는 그들의 의지를 읽었다. 무녀는 사람들로 하여금 마음에 내재되어있는 기억과 감정을 꺼내어 다시 짚고 넘어가는데, 그것은 마음 안에 있던 안개 같은 감정을 회피하지않고 마주하게 하여 그 안개를 걷어주는 것이다. 본 논문은 불이 타오르고 그의 격렬한 때를 지나 마침내 소진하는 과정을 본인의 작업의 변화과정에 대입하여 정리하였다. 굿을 보면서 느꼈던 감정들과 그것에 따른 표현 방식의 변화를 세 단계로 나누었고, 시간 순차적으로 기술하였다. 각 A는 이론적 배경에 대한 설명, B는 이론을 시각화하기 위한 기법과 재료에 대한 설명, C는 각 A, B에 따른 작업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2장 타오르는 불 에서는 불이 불타오르고 소멸함에 따라 가지는 불의 상징성에 대해 서술하고 굿의‘씻김’이라는 과정을 통해 몸과 마음을 소통하여수신(修身)하는 과정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한다. 3장 가장 격렬한 때에서는 굿판에서 최고조에 달한 때를 불이 절정으로 타오를 때와 빗대어 설명하고 그것이 가지는 초월적인 힘을‘부적’이라는 조형언어로 표현하는 본인의 작업방식을 기술한다. 4장 소진되고 남은 공기에서는 불이 소진되어 사그라짐에 따라 마침내 마음의 부정을 씻어내고 새로운 시작의 가능성에 대해 암시하려 한다. 본인은 서울, 제주도, 통영, 강원도 등 각지에서 행해지는 굿판에 찾아가 직접 경험하고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공감하여 원초적인 삶의 의지를 포착하고자 하였다. 무녀가 무아의 지경으로 내뱉듯이, 본인은 획으로서 그의 초월적 지점과 생동하는 지점을 포착하여 기록하였다. 초월적 순간의 기록은 부적의 조형 형태를 빌려 기호화 된, 보다 강력한 본인만의 부적을 구성하는 것으로 확장되었다. 격렬한 때를 지나 불이 소진되었을 때에는 모든 것이 타고 없어져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새로운 시작을 암시하는 것이다. 삶은 죽음으로, 죽음은 다시 삶으로 순환하는 하나의 근원으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The works start from an intimate examination of the inner self. The process is a constant communication and a back-and-forth questioning with myself. I used to paint with deeply underlying emotions, but they were mere immediate excretions that cannot be defined as my complete self. In order to comprehend my ego, I examined the root of my emotions and my mind and tried to close the gap between my egos. Visiting several kut ceremonies over the past few years, I witnessed the primal will to live in the people around the shaman. The active gestures willing to take root in the reality in the form of a flame violently burning away gave emotional relief and comfort. After the intense performance of a kut, I found people praying with desperation in front of the fire, willing to accept their past selves and to start a new life as the worries and hopes burned away. And I also earned the courage to have a fresh new start. This paper summarized the process of fire burning fiercely and later being extinguished, which is then substituted into the process of how my work evolves. The emotions I felt while watching the kut and the changes in expression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in sequential order. A is composed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work, B is a description of then techniques and materials for visualizing the theory, and C explains the work according to A and B. Chapter 2, Burning Fire, describes the symbolism of fire as it burns and extinguishes and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the body and soul through the process of “washing” of the kut. In Chapter 3, the most intense point in the kut ceremony is describes in comparison with fire burning at its highest point and the grammar of my art where its transcendent power is termed as a ‘talisman’. Chapter 4, The Left Air,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 new start as the fire dies down and the negativity is washed away at last. This paper outlines the process where the gap between the ego and the true self is secured and reaches a happy reconciliation, based on my personal experience. My earlier works strived for the realism of a kut and the vivid imagery of a burning fire, but I came to the realization that the expression only applied to its outer appearance. Therefore, I then instead applied the symbolic expressions of the talisman that emphasizes the intensity of fire and kut. However, the kut had more meaning than only when it displayed transcendent power. After the violent movements are performed and things die down, we come to realize that the worries we had are not more than a single branch of our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visualization of the communication of the intimate ego through the process of consolation of a k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