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3 Download: 0

재의 상징적 표현

Title
재의 상징적 표현
Other Titles
Symbolic representation of ash : an approach to 'pretending to be dead'
Authors
김은혜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본인의 시선 속에서 줄곧 죽은 것처럼 보이는, 버려진 것처럼 보이는 대상들이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시선이 투영된 대상들의 유일무이함을 곱씹어 그만의 인간다움을 관찰한 기록물이다. 특히 가족 공간에서 체험했던 정신과 신체의 무력함, 타자의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마주한 의문과 단서들은 일상에서 실격된 대상들에게 남다른 애정을 가지게 하였다. “죽은 것이 맞을까?” 라는 의문은 이내 ‘죽은 척’ 이라는 가변적 관념 상태로 전환되어 외부를 해석하는 시선이 되었다. 본 작업은 상징적인 재료의 사용과 언어적 유희, 모순되는 기운의 감각, 유일한 대상의 오브제와 행동을 수집하여 재구성하는 등의 특징을 가진다. 먼저 본인의 이러한 죽은 척에 관한 관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죽음에 관련된 기타 논의들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 과정은 작업에 등장하는 대상들을 선택한 기준과 다각적인 표현 방식의 흐름, 또한 작업 전반에 연결되어 있는 본인의 창작 태도를 읽어낼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작업의 주재료인 ‘재’ 는 가족 구성원의 무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가족의 상태에 관심을 가지던 시기에 발견한 물성이다. ‘죽음과 생명’ 의 이면이 함축되어 있어서 그 자체만으로도 표현의 유희적 측면이 지속적으로 연구된 재료이다. 이러한 타고 남은 ‘재’ 는 소진되어 버린 인간의 모습과 같이 여기게 되었고, 이것은 다시 매체의 표현을 거쳐 새로운 현상과 화면으로 변환되었다. 물성의 요소와 본인의 정서가 뒤섞여 사용되면서 ‘재’ 는 본인의 작업에서 주요한 상징적 요체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재의 보편적인 상징성과 본인의 상징적 부여를 비교분석한다. 또한 표현 방법적인 연구를 중심으로 특유의 미감과 특징을 관찰하여 이러한 과정이 작업으로 확장된 영역들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서 ‘재’ 의 표현 연구가 재료의 가능성뿐 아니라 인간의 무력함과 오버랩 되는 속성들을 맞물려 탐구해온 표현의 기록물로 의의가 있다. 끝으로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작업들을 총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묶어 표현과 관심의 변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초기 작업 유형으로 불리는 불타는 시리즈는 소진되어버린 아버지를 대면했던 체험을 활활 타오르고 있는 불의 형상과 속성 속에 대입하여 표현하였다. 무언가의 영향을 받아 소진되어버린 당시 아버지의 모습이 흡사 타버리고 소멸한 재의 처지와 같게 느낀 것이다. 이후로는 버려져 있는 대상물들 예를 들어 두 동강 난 고목 덩어리, 사용되지 못하고 쌓이던 재 조각을 마주하게 되면서 대상이 가진 기운의 형상과 개별의 것을 재조합하였다. 그러던 중 본인 할머니의 정신과 신체가 점점 소진되어 돌봄의 상황이 전복되어가는 경험을 통해, 특정 개인인 ‘정차영’ 의 갑자기 이뤄지는 뜻밖의 행동과 에너지, 오브제들에게 관심이 귀속되었다. 정서적인 교감이 깊이 이뤄지던 대상으로 시선이 이동하면서 재를 사용하고 유희하는 태도에도 차이를 가지게 되었으며, 작업에서 다양한 매체와 오브제를 사용하게 되는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전에는 재의 상징적 속성과 물성의 변화 과정에 대한 호기심을 대상을 접목하는 것에 흥미를 느꼈다면, 한 사람의 생애를 기념하고 붙잡으려는 태도는 본인과 나눈 그림엽서, 남겨진 메모, 몸짓 등 타자의 흔적을 포착하고 수집하는 행위에 집중하게 되었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홀로 기능할 수 없는 정신과 육체에 관한 관심을 증폭시켰으며 그러한 대상에게 관찰되는 삶의 의지, 최후의 태도, 갑자기 이뤄지는 행동 등을 되도록 유머 스러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드러내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그 대상이 부재하게 된 공간을 대신 정리하게 되면서 한 인간의 유일무이한 존재감을 원본에 빗대어 ‘흐려지는 원본과 뒤섞이는 실재’ 로 해석하고, 이 현상을 타자가 소장하는 방식으로 탐구했다. 이로써 본인의 작업은 죽음의 현상 그 자체를 다루기보다는 개인의 서사와 맞물려 변화하는 대상의 가변적 속성을 관찰하고 본인만의 조형 언어를 만드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타자의 무력함, 바로 그 언저리를 감각하는 것을 넘어 흐려지는 존엄 속 발견되는 유일한 존재감을 부각하는 접근법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There are objects in my gaze that seem to be dead, abandoned. This paper observes the uniqueness of the subjects from which such gaze was projected and is a record of its humanity. In particular, I paid attention to the mental and physical helplessness that I experienced in my family space, questions and clues I found while preparing for the death of others. Through this, it gave special affection to those who were disqualified from daily life. The question of "Is it true that he died?" shifted to a state of variable notions of "pretending to be dead," which became an interpretation of the outside world. This work features the use of symbolic materials and linguistic play, the sense of contradictory energy, the collection and reconstruction of objects and behaviors of the only object. First, to look specifically at this point of view, other discussions related to death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s process will help you to read the criteria for selecting subjects that appeared in the task, the multilateral representation style and flow, and the creative attitude of yourself that is connected throughout the task. Ash is the main ingredient in the work, and it was discovered at a time when family members were interested in the force and the changing state of the family. Because it implies the reverse side of "death and life," the humorous aspects of expression were continuously studied in itself. These burnt-out 'ash' were thought to be like a exhausted human being, which was then transformed into new phenomena and scenes through media expressions. As the elements of nature and emotions of one's own are mixed, "ash" has become a major symbolic element in one's work.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universal symbolism of these ashes with their own symbolic grants. I will also take a closer look at the areas where the unique aesthetics and expressions have created new extensions in the task, focusing on the expressive methodical research. Through this, the study of expression of ash is significant not only as a possibility of materials, but also as a record of expression explored by introducing attributes that overlap with human helplessness. Finally, the initial to present periodical work was grouped into five types to specify the process of change in expression and interest. The burning series, called the early type of work, was expressed by substituting the images and attributes of fire that were burning up my father's face-to-face experience. Seeing my father exhausted under the influence of something, I felt it was the same as the condition of the burnt ashes. Since then, I have faced two pieces of old wood, pieces of unused ash. It shifted my attention to dealing with the shape of the target's energy alone by remixing each individual's. Meanwhile, through the experience that her grandmother's spirit and body were gradually exhausted and the situation of herself and care was overturned, I became interested in the unexpected behavior, small but big energy and object that suddenly came out of her. As attention shifted to objects where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oneself was deeply establishe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ttitudes of using ashes and entertainment, which created an opportunity for changes to use various media and objects in the work. Previously, if I was interested in combining the symbolic properties of ashes with the curiosity about the process of changing properties, then my attitude to commemorate and seize her life was highlighted. I focused on capturing and collecting traces of others, such as picture postcards, memos, and gestures she and I shared. This naturally amplified interest in the mind and body that cannot function alone. The will to live, the attitude of the last person, and the sudden actions observed by such subjects were expressed in a humorous way as much as possible. Finally, as the target was to organize the space that was missing instead, it conducted a search for "the reality of being mixed with the blurred original," comparing the only human presence to the original. I interpreted the state of existence as a phenomenon that remains through the way others take and collect the photographs. Thus, all my work focuses on the process of creating my own formative language, rather than dealing with the phenomenon of death itself, but on the observation of the variable properties of objects that change in conjunction with personal narratives. I would like to discuss an approach that highlights the only presence found in clouding dignity beyond feeling the helpless edges of ot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