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그로테스크한 현실과 인간의 잔혹함에 관한 판타지적 표현연구

Title
그로테스크한 현실과 인간의 잔혹함에 관한 판타지적 표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ntastic Expression of Grothesque Reality and Human Cruelty
Authors
이보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인종
Abstract
All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s, will someday face the last days of death, and this is an immutable law that no one can avoid. Life, in other words, is directed toward death predestined at the end of finite life. Besides life and death, there are many things in this world that have conflicting values. War and peace, beauty and ugliness, sadness and happiness - the world consists of contradictory things that move the world. Human beings are both instinct and reason. Freud argued that since human instincts contain cruelty and violence, it should be suppressed or transformed into a form that can be reduced to society. However, we humans sometimes express the instincts in our minds. The instinct expressed on the surface resulted in violence against others and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rroundings of our lives. This is usually implicitly tolerated by members of society, justified for the benefit of more people or sometimes people are unaware of the fact that it is violence, or ignoring it. This study started from my personal experience of being the subject of violence and the other at the same time by a brutal instinct. Violence starts from the subject who has power and is directed toward others who are relatively weak. However, in modern tim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is not as clear as in the past class (hierarchy) society. Therefore, all human beings can be both subjects and others at the same time. In this world, violence has been transformed from a form that used to flow only in one direction to a variety of forms and has become embedded in our society. I would like to express the contradictory world created by human cruelty in my work. Based on the "Grotesque" theory organized by Wolfgang Kaiser, I recognize the "Grotesque World" and describe it as a "caricature" method to create a virtual world. In this created world, human cruelty and exploitation and violence inflicted on others are the main focus. The starting point of the series work consists of a total of three chapters: ‘The World where Mermaids are Used for Food’, ‘The World where Mermaids are Used for Physiognomy’, and ‘The World where Mermaids Die’. They frankly show how mermaids classified as animals in human society are consumed and exploited. It projects the appearance of violence in human society or the cruel part that we are not aware of. Since then, which is set in the same world as and which features a small creature named ‘The Fairy’ show the cruelty of humans more clearly. The artwork was largely described as a book, including drawings, and three-dimensional sculptures, drawings, and pen paintings that captured the contents of the book and brought it to reality. Text, which is the main content of a book's narrative, develops into an objective, dry style, unfeeling, and everyday light language, such as historical records. Drawing takes the form of an illustration depicting a scene of a story, and the sculptures function to narrow the gap between reality and the virtual world.. I will face the cruel side of human beings that we may still be turning a blind eye to through this study that directly expresses the world we live in. And I would like to creat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sense of alertness, guilt, and experience I received as a batter at the same time and think about it.;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는 태어나고 죽으며 유한한 삶을 살아간다. 삶과 죽음, 두 대척점에 있는 양가적 가치를 지닌 생명체들이 영위하는 이 세상은 비극과 희극, 전쟁과 평화, 미(美)와 추(醜), 희(喜), 노(怒), 애(哀), 락(樂)과 같이 모순적인 것들로 구성되어있으며, 그것들에 의해 지배받는다. 인간은 본능과 이성을 동시에 지닌 존재이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본능이 잔혹함이나 폭력성을 내재하고 있기에 이는 승화와 같이 사회에 환원 가능한 형태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회가 발달할수록 원활한 유지와 인권 보호 등의 명목 하에 폭력적 본능을 억제하는 법이나 규제와 같은 기제가 강화되었다. 그러나 ‘이성의 끈을 놓았다.’는 말이 있듯 우리는 종종 내재된 본능을 표출시키곤 한다. 겉으로 표출된 본능은 타자를 향한 폭력으로 귀결되어 우리 삶의 주변에 밀착되어 있다. 이는 음지에서 주도면밀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사회 구성원들이 암묵적으로 용인하거나, 다수의 이익을 위해 정당화 되거나, 혹은 그것이 폭력이라는 사실 자체를 인지하지 못하는, 또는 외면해버리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본 연구는 잔혹한 본능에 의거한 폭력의 주체이자 동시에 타자가 되었던 연구자의 개인적인 경험이 발단이 되었다. 폭력은 권력의 주체로부터 시작해 상대적으로 약한 타자에게로 향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주체와 타자의 구분은 과거 계급사회만큼 명확하지 않기에 인간은 누구나 타자가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주체가 될 수 있다. 이 세계에서 폭력은 과거의 한 방향으로만 흐르던 형태에서 다각의 형태로 변형되어 우리 사회 속에 포진하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인간의 잔혹함이 빚어낸 모순적인 세계의 모습을 작품 속에 투영시켜 표현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볼프강 카이저가 정리한 ‘그로테스크’이론에 입각해‘그로테스크한 세계’를 인지하고 이를‘캐리커처’의 방법으로 모사하여 가상의 세계를 구축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세계에는 인간이 가진 잔혹함과 그에 기인해 타자에게 가해지는 착취와 폭력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진다. 시리즈 작업의 시작점이 된 <인어가 사는 세계>는 ‘인어가 식용으로 쓰이는 세계’, ‘인어가 관상용으로 쓰이는 세계’, ‘인어가 죽는 세계’총 세 장의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인어가 실존한다는 설정의 가상의 세계는 인어가 지능이 낮다는 이유로 동물로 분류되고 그에 따라 일어나는 소비나 착취 등의 현상들을 여실히 보여주며, 이는 인간 사회에서 일어나는 폭력의 양상이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인간의 잔혹한 측면을 투영한다. 이후 <인어가 사는 세계>와 동일한 세계를 공유하는 <롱피그>와 작은 생물을 의인화 시켜‘요정’이라 명명한 존재가 등장하는 <요정이 사는 세계>작업을 병행하여 진행하면서 인간의 잔혹함을 더욱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작품은 크게 가상의 세계를 전개하는 글과 드로잉을 포함한 책, 책의 내용을 포착하여 현실로 끄집어낸 입체 조형물과 소묘, 펜화 그림 등으로 표현되었다. 책의 서사에서 주된 내용을 담당하는 텍스트는 역사 기록물과 같이 감정을 담지 않은 객관적이고 건조한 문체와 일상적인 가벼운 언어로 전개된다. 드로잉은 이야기의 장면을 묘사한 삽화와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입체 조형물은 현실과 가상의 세계 사이 간극을 좁히는 기능을 한다. 연구자는 우리가 사는 세계의 모습을 직유하는 본 연구를 통해 지금도 우리가 외면하고 있을지 모르는 인간의 잔혹한 이면을 직시하여 사회의 주체로서의 경각심, 죄책감과 타자로서 받았던 경험을 동시에 상기하고 그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