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은미-
dc.contributor.author황희상-
dc.creator황희상-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2:16Z-
dc.date.available2021-01-28T16:32:16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28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285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720-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aims to specify the expressive meaning of space that is converted into new aesthetic value and breaks away from the classical stage configuration, through the representation method applying the multi-viewpoint spatiality in the tessellation works of Maurits Cornelis Escher (1898-1972), which are composed of relatedness, based on the sensationalistic understanding of space using the concept of similitude of representation as theorized by modern philosopher Gilles Deleuze (1925-1995). Modern art today is delivered via a post-structuralist method that is represented in an intuitively sensed form of power, as opposed to a logical form based on rational truth. As a representation of modern philosophy, the creative movements of dancers exist on the stage both as a product of the space and as the main agent that creates the space; the stage space embodies the possibility of infinite variations through the various elements constituting the stage, along with the movements of the dancers. In line with this, the author appropriated the relatedness of Escher’s tessellation techniques, which expresses the flow of energy in a three-dimensional way on two-dimensional canvases,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stage space. The regularity of space and the self-referential expression form in Escher’s tessellation technique acted as a methodical catalyst of changing the stage from multiple angles in the process of choreographing a dance creation, serving as another chorographical alternative that enables to search of new expressive meaning. Prior to the creation and analysis of the dance work “Rhythm Code” based on Deleuze’s reproducibility, the author examined the effect of signs that constructed post-structuralism and the aesthetics of negation through deconstructionism. In addition, the author prepared the foundation for the creation and analysis of works to express the meaning of Deleuze’s reproducibility in prior research, by using the expressive method of dance to infer deconstructive chaos, nomadic contingency, and dynamic repeatability as a frame that can be reflected on the dance art by appropriating the multi-viewpoint spatiality of Escher’s tessellation technique. The three-chapter creative dance work “Rhythm Code” was choreographed under the theme that all entities have their own unique meanings and their forms are comprised of individual, unique meanings despite their diverse representations according to their relative positions and symbols. Chapter 1 visualizes the various disassembled states of the entities existing in each zone, and symbolically represents the entities’ unique energy through the multi-viewpoint spatial composition in which the hierarchical structure has collapsed. Chapter 2 conveys the process in which individual energies transmitted through vibrations and wavelengths move nomadically and differentiate into new forms through accidental encounters. Chapter 3 expresses the idea that the inborn originality of each entity remains intact throughout all transformations, although the energies that are continuously derived from endlessly repeating encounters among entities tend to emerge in a different form. In this process of constructing each chapter,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cene composition, movement paths, movements, objet, music, costumes, and images is connected through the representation methods, including deconstructive chaos, nomadic contingency, and dynamic repetition, and reproduce expressive meaning by changing the space, while consistently revealing the representational concept of potentiality, differentiation, and rhythm.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expressive meanings of space by choreographing the creative dance piece “Rhythm Code” based on Deleuze’s reproducibility. First, the univocal connection is expressed in the expressive meaning of space through the representational method of deconstructive chaos. The author established a decentralized stage space in order to create a scene where the deconstructed elements constituting the stage space are connected in a multi-dimensional way, while retaining their dynamically generated energy. Breaking away from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classical stage, the dancer’s movements, as the symbolic medium of expression, and the atypical space emerged as the expressive meaning of univocal connection, while connecting to and staying within the potential energy of the space through the fragmented energies arising from the decentralized stage structure. Second, accidental individuality was expressed as an expressive meaning of space through a representation of nomadic contingency. The potential energy inherent in the space wanders, remains in the space, and is released by chance, creating unexpected scenes. The introduction of symbolic objet in the work instantaneously generates new energy, makes various lines coexist on the stage, and presents the space after it has been transformed by the energy accidentally generated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nomadic energy, and displays the expressive meaning of accidental individuality. Third, potential circularity was revealed as an expressive meaning of space through the representation method of dynamic repeatability. Dynamic repeatability refers to a method of representation in which the spatial rhythm generated by the dynamic energy that repeats the differences in the Deleuzian term is connected continuously and constitutes meaning. This work displays the dynamism of the stage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movements and paths of the dancers, and energy that is potentially circulating through the meaning and use of objet, symbolizing its generation and extinction. On top of this, the virtual dancer’s movements that are replicated in a real-time video stream breaks the distinction and boundary between the stage zones, expands the space, and amplifies the energy of the space, expressing the circulation of the latent energy of the space. In terms of the music, musical sound effects with minimal repetition in Chapter 1, Bach’s contrapuntal music comprised of the repetition of differences in Chapter 2, and multiple-overlapping instrumental melodies and strong beat in Chapter 3 convey that the potential energy inherent in the space repeatedly circulates and amplifies as the work unfolds. This paper is an experimental attempt of choreography to create a new expression of the stage space in which infinite forms are latent and to extract the representational meaning through the study of the creative piece “Rhythm Code”. This author believes that countless further attempts at this type of new choreography methods will constantly push the boundary of the art space, further solidifying the meaning of the stage space as a creative venue for dance ar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derivation of the meaning of space based on philosophical concepts can nurture new types of creative environments for the creation of dance works.;본 연구는 현대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상사적 재현 개념을 통해 감각론적인 공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전통적 무대형식에서 벗어나 관계성으로 구성된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Maurice Corenelis Escher)의 테셀레이션 작품에서 표현된 다시점적 공간성을 차용한 표현방식을 통해 새로운 미적 가치로 전환되는 공간의 표현적 의미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현대예술은 이성적 진리에 따른 합리적 형태가 아닌 직관적으로 감각되는 힘의 형태로 재현되는 후기구조주의적 표현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철학의 재현의 의미로서 무용수의 창조적 움직임은 공간의 생산물이자 공간을 생성하는 주체로서 무대에 존재하게 되고, 무대 공간은 무용수의 움직임과 함께 무대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통해 무한하게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무대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평면의 캔버스에 입체적인 형상으로 에너지의 흐름을 표현하는 에셔의 테셀레이션 기법의 관계성을 차용하였다. 에셔의 테셀레이션 기법에서 나타난 공간의 규칙성과 자기준거적 표현형식은 무용창작작품을 안무하는 과정에서 무대를 다각도로 변화시키는 방법적 계기로 작용되어 새로운 표현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또 하나의 안무방식으로서 그 필요성을 갖는다. 연구자는 들뢰즈의 재현성을 바탕으로 한 무용작품「리듬부호」의 창작과 분석에 앞서 후기구조주의를 구축한 기호의 작용과 해체주의에 의한 부정의 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들뢰즈의 재현성의 의미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에셔의 테셀레이션 기법의 다시점적 공간성을 차용하여 무용예술에 반영할 수 있는 틀로 해체적 혼돈성, 유목적 우연성, 역동적 반복성을 무용의 표현방식으로 유추하여 작품 창작과 분석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무용창작작품「리듬부호」는 모든 개체는 고유한 의미를 내재하고 있으며 상대적인 위치와 기호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그 형태들은 개별적 고유한 의미로 구성된다는 주제로 안무되었으며, 작품은 총 3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은 각 구역에 존재하는 개체들의 해체된 다양한 상태를 가시화하며 위계적인 구조형태가 붕괴된 다시점적 공간 구성을 통해 고유한 에너지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며 전개시켰고, 2장은 진동과 파장을 통해 전달되는 개체의 에너지들이 유목적으로 이동하며 우연한 만남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분화되는 과정을 나타내었으며, 3장에서는 각 개체에서 파생된 에너지들의 끊임없는 만남이 반복됨에 따라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에너지는 제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나지만 모든 변형 속에는 본연의 고유함이 남아있음을 표현하였다. 각 장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장면구성 및 이동경로와 움직임, 오브제, 음악, 의상, 영상의 사용은 해체적 혼돈성, 유목적 우연성, 역동적 반복성의 표현방식에 의해 연계성을 갖으며 잠재, 분화, 리듬의 재현적 개념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면서 공간을 변화시켜 표현적 의미를 새롭게 생산하고 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들뢰즈의 재현성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리듬부호」를 안무하여 다음과 같이 공간의 표현적 의미를 이끌어 내었다. 첫째, 일의적 연계성은 해체적 혼돈성의 재현적 표현방식을 통해 공간의 표현적 의미로 나타내었다. 연구자는 무대 공간을 구성하는 해체된 무대요소들이 역동적인 생성 에너지를 가지며 다차원적으로 연결되는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탈중심적인 무대공간을 설정하였다. 무용수의 움직임, 상징적 표현매체, 비정형화된 공간은 고전적인 무대의 위계 구조에서 벗어나 탈중심적인 무대구조에서 파편화되어 나타나는 에너지들에 의해 공간의 잠재적 에너지와 연결되고 머무르면서 일의적 연계성의 표현적 의미로 나타났다. 둘째, 우발적 개별성은 유목적 우연성의 재현 방식을 통해 공간의 표현적 의미로 나타내었다. 공간에 내재된 잠재적 에너지는 유목하며 공간에 남아 있다 우연히 발산되어 예기치 못한 장면을 만든다. 작품에서 사용된 상징적 오브제의 유입은 순간적으로 새로운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다양한 선들을 무대에 혼재시키며 유목적 에너지의 가시화를 통해 우연적으로 발생된 에너지에 의해 변형된 공간을 보여주며 우발적 개별성의 표현적 의미를 표출하였다. 셋째, 잠재적 순환성은 역동적 반복성의 재현적 표현방식을 통해 공간의 표현적 의미로 나타났다. 역동적 반복성은 차이를 반복하는 역동적인 에너지로 발생된 공간의 리듬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의미를 형성하는 표현방식이다. 본 작품에서는 무용수들의 움직임과 이동경로의 반복으로 무대의 역동성을 표현하였고, 오브제의 의미와 사용을 통해 에너지의 생성과 소멸을 상징하며 잠재적으로 순환되고 있는 에너지를 표현하였다. 또한, 실시간 영상으로 복제된 가상의 무용수 움직임은 무대 구역의 구분과 경계를 지우며 공간을 확장시키고, 공간의 에너지를 증폭시키며 공간에 잠재된 에너지의 순환을 표현하였다. 음악에 있어서도 미니멀하게 반복되는 1장의 효과음악과 차이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2장 바흐의 대위법적 음악, 3장의 다양하게 겹쳐진 기악적 선율과 강한 비트감은 작품이 전개됨에 따라 공간에 내재된 잠재적 에너지가 반복적으로 순환되며 증진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리듬부호」의 연구를 통해 무한한 형태가 잠재되어 있는 무대공간의 새로운 표현을 생산하고 표현적 의미를 찾는 안무의 실험적 시도를 꾀하였다. 이와 같이 새로운 안무 방법이 끊임없이 시도되어 예술공간을 무수히 확장시키면서 무용예술의 창작공간으로써 무대공간의 의미를 보다 공고히 해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철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연구되어 나타난 공간의 의미 창출은 무용작품의 또 다른 창작 환경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6 C. 연구의 제한점 11 Ⅱ. 이론적 배경 12 A. 후기구조주의의 현상 12 1. 기호의 작용 15 2. 부정의 미학 18 B. 들뢰즈의 재현성의 의미 21 1. 상사로의 재현 21 2. 일의적 존재론 26 3. 촉각적 형상들 33 C. 에셔의 테셀레이션을 차용한 재현성의 표현방식 39 1. 테셀레이션의 다시점적 공간성 39 2. 무대공간에서의 무용의 재현적 표현방식 47 가. 해체적 혼돈성 48 나. 유목적 우연성 50 다. 역동적 반복성 53 Ⅲ. 안무의도 56 A. 내용적 측면 56 B. 형식적 측면 58 Ⅳ. 무용창작작품리듬부호의 분석 61 A. 주제 및 내용 61 B. 장면구성 및 이동경로와 움직임 63 1. 1장 66 2. 2장 73 3. 3장 88 C. 무대표현매체 113 1. 오브제 113 2. 음악 119 3. 의상 121 4. 영상 125 Ⅴ. 무용창작작품리듬부호에 나타난 공간의 표현적 의미 139 A. 일의적 연계성 139 B. 우발적 개별성 141 C. 잠재적 순환성 142 Ⅵ. 결론 및 제언 146 참고문헌 150 ABSTRACT 1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0929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질 들뢰즈의 재현성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리듬부호」에 나타난 공간의 표현적 의미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ve Meaning of Space in the Newly Choregraphed Work 「Rhythm Code」 Based on Reproducibility by Gilles Delueze-
dc.creator.othernameHwang, Hee Sang-
dc.format.pagexiii, 16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