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조선 후기 船遊文化와 船遊圖 연구

Title
조선 후기 船遊文化와 船遊圖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lture of Seonyu and Seonyudo in late Joseon dynasty
Authors
유주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본 연구는 한강과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船遊圖의 제작배경과 의의를 고찰하여 선유도의 의미가 단순히 풍류 문화를 기록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강에 대한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선유도는 유람문화의 한 형태인 뱃놀이를 다룬 그림으로, 뱃놀이를 시각적으로 기록하고자 하는 조선 후기의 일련의 움직임 속에서 나타났다. 특히 조선 후기에 이르면 선유는 풍류 문화를 넘어 행위의 폐단으로 기록될 만큼 성행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이 조선 후기에는 선유와 관련된 문학작품이 다수 생성되었고, 동시에 선유도라고 명명할 수 있는 뱃놀이 그림이 활발히 제작되기 시작했다. 선유도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우선 뱃놀이에 관한 용어의 고찰을 시도하였다. 뱃놀이는 신라시대부터 존재해왔던 풍류 활동으로, 오랜 세월 동안을 이어져 온 만큼 다양한 용어가 혼용되었다. 이에 조선 후기 선유도의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용어 및 용례를 고찰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결과‘船遊’가 뱃놀이 그림을 지칭하는 가장 적합한 단어임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선유 문학이 증가하게 된 원인을 밝히고, 실제 선유가 이루어지기까지의 전 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이 과정에서 소식의 「전·후적벽부」와 주희의 「무이도가」와 같은 문학작품이 선유도의 제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 판단했다. 또한, 17세기에 이르면 조선에서도 선유기와 같은 문학작품이 상당수 증가하였는데, 이 역시 중국 문학의 유입으로 인한 문화의 증가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는 조선시대 제작된 개인 문집과 회화작품을 이용하여 선유의 준비과정을 복원하였다. 그 결과, 선유에는 화공이 대동되었고, 선유도는 기획 과정에서부터 ‘기록’을 일차적 목적으로 두고 있었음을 파악했다. 전술된 내용을 통해 조선 후기 선유문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반 사항이 갖추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조선 후기 한강과 낙동강 유역에서 제작된 선유도를 고찰했다. 國都로서의 한강과 퇴계학의 발원지로서의 낙동강은 조선 후기의 문화와 사상, 정치를 대변한다. 문화의 대표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동시에 보여준다는 점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합당할 것이라 여겨진다. 한강은 조선 초기부터 왕실과의 관계 속에서 태평성세를 보여주는 장소였다. 게다가 고려시대에는 송도를 중심으로 임진강과 한강 하류에 세워졌던 누정과 별서들이 조선시대 한양과 가까이에 위치한 남한강, 북한강 및 한강 상류를 포함하며 넓혀져 갔다. 이렇게 세워진 누정과 별서를 방문하며 문인들은 선현들의 자취를 쫓아 풍류를 즐기고 동시에 조선의 태평성세를 향유하였다. 이로 인해 한강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이 등장하였고, 이러한 요인은 한강 유역 선유도가 명승 유람과 계회도의 형식으로 제작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낙동강 유역은 한강 유역과는 구별되는 방향으로 선유문화가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선비들에게 풍류의 행위는 공통으로 내재되어 있었지만, 낙동강을 선유하는 행위에 대해 ‘道’를 잇는 수단으로 인식한 것이다. 이는 이황이 낙동강 상류 退溪 가에 강학과 수도의 공간으로서 도산서당을 마련한 후 생겨난 것으로 이와 같은 인식 형성에는 주희의 󰡔伊洛淵源錄󰡕의 영향도 감지된다. 바로, 정이·정호 형제가 강학한 이수·낙수와 동일한 이름을 지닌 낙동강을 따라 이황의 도가 흐르고 있다고 인식한 것이다. 이러한 시각 아래에서 낙동강 유역의 선유도는 명승유람도와 시회도로 구별되어 제작되었다. 본고는 한국 회화사에서 단편적으로만 다루어졌던 선유도라는 畵題를 정의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선유문화가 발달하게 된 다층적 요인을 분석한 뒤 한강과 낙동강으로 대표되는 조선 후기 선유도의 제작배경과 의의를 살펴, 한국 회화의 역사적 흐름 안에 선유도를 위치시키고자 한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Seonyu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basin, to reveal that the meaning of Seonyudo is not just a record of the culture of elegance(p’ungnyu), but a reflection of the literati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onyudo is a painting that depicts people enjoying boating. Boating is a form of travel culture, and it emerged from the movement to visually record boating perform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t was a recreational activity that was actively performed, and the negative effects of boating culture frequently appeared in the record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flection of this situation, a number of literary works related to boating culture were created at the tim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t the same time, boating paintings, which can be named Seonyudo, were also actively produced.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give priority to the consideration of terms related to boating. Boating is a recreational activity that has existed since the Silla Dynasty. Since it is a recreationaly activity that has continued for a long time, various terms have been used interchangeably to refer to boating. Since the mixture of these terms is an essential process for defining Seonyudo, this study considered the terms related to boating and proposed “Seonyu ” as the most appropriate word to refer to boating paintings. Next, this paper attempted to clarify the cause of the increase in Seonyu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entire process of realization process of Seonyu. This paper restored the preparation process using personal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history books, geography books, and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is proces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painters were accompanied for Seonyu. In other words, Seonyudo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recording from the planning process. Based on all matters related to boating, we considered Seonyudo, which was created in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basi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chosen because the stark cultural and regional contrasts given by both regions can represent the cause and significance of the production of Seonyu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this study confirmed that literary works from China, such as Su Shi's Former Ode on the Red Cliffs and Second Ode on the Red Cliffs, and Zhu Xi's Poems of the Nine Valleys at Wuyi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Seonyudo.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Han River was expressed as a metaphor that synecdochizes Hanyang in Sindopalgyeongsi (Eight Scenic Views of the New Capital), Sindosi (Poem of the New Capital), and Rugeonggi (pavilion essay), and as a means of showing the piping time of peace. Enjoying boating at the Han River was a way to enjoy the piping time of peace. Furthermore, the pavilion and villa built in the Imjin River and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centering on Songdo during the Goryeo Dynasty, spread throughout the Namhan River, Bukhan River, and the upper reaches of the Han River, which were the basis of the Hanyang in the Joseon Dynasty. In this way, the Han River has begun to have various facilities where scenic spots can be developed. As a result, the Han River emerged as the subject of many literary works, which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Seonyudo Island in the Han River basin in the form of Myeongseungyuramdo (Painting of Touring Places Famous for Good Scenery, ) and Kyehoedo (paintings of literary gathering). In the Nakdong River basin, boating culture began to develop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Han River basin. Although recreational activity was common to Seonbi (virtuous scholars), the act of boating on the Nakdong River was recognized as a means of connecting the “Do (dao)”. This began to occur after Yi Hwang established Dosan village study hall as a space for educational activity and ascetic practice of Toegye family in the upper stream of the Nakdong River. The influence of Zhu Xi's Irak Yeonweonrok (Records of the Origins of the Yi-luo School)is perceived in the formation of cognition. It was recognized that Yi Hwang's Do is flowing along the Nakdong River, which bears the same name as the Yi River and the Luo River where Cheng Yi and Cheng Heo brothers were educated. Therefore, in the Nakdong River basin, Seonyudo, which reflects this perspective, was created centered on Myeongseungyuramdo and Siheodo. This paper attempted to define the painting subjects of Seonyudo, which has been treated only in fragmentarily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In addition, we can find significance in the attempt of this paper to place Seonyudo within the historical flow of Korean paintings by looking at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production of Seonyudo, which is represented by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after analyzing the multi-layered factors that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boating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