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원-
dc.contributor.author안다혜-
dc.creator안다혜-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2:10Z-
dc.date.available2021-01-28T16:32:10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0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08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69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covered bowls(有蓋鉢) produced in the Goryeo Dynasty, analyze the specific type through excavation patterns, and understand the transition process and use of each period. A covered bowl combines a upright shaped rim(直立口緣) lid with a bowl, a body, and various handles were attached to the lid, such as seven treasure-shaped handles(七寶形), animal-shaped handles(禽獸形), lotus bud-shaped handles(蓮峯形), and plate-shaped handles(楪匙形). In this study, focusing on a plate-shaped lid with chinese ‘凹(ao)’ word-shaped handle, which clearly show changes by period and type among the various types of handles, the characteristics and uses of covered bowls are identified. Covered bowls have been called by several names such as covered boxes(盒), covered objects(蓋物), and covered (small) bowls(蓋碗) depending on its external features and combination. Since the lid and the body can perform their respective functions, the lid has often been mistaken for a bowl, plate, or dish. For this reason, the concept of covered bowls has not been established,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the quantity and as a result research has been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dissertation, I regard the combined structure as a covered (small) bowl(蓋碗), but the concept is defined by reflect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combined body and called it as a Covered bowl. Although the proportion of celadon was high in the porcelain covered bowls produced in the Goryeo Dynasty, it was identified that a white porcelain covered bowl was also produced through excavated remains from the upper half of pottery klins site in Yongin's Seori. Production sites were mostly concentrated in southern regions such as Gochang, Hampyeong, Yeongwang in Jeolla province, and Chilgok and Busan in Gyeongsang province, mainly in Gangjin and Buan. In addition, excavation patterns were also appeared in Gyeonggi area. Thi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excavation pattern of the consumption site, and tends to be concentrated on the tomb ruins and temple site. Based on the annual data of the remains excavated at Seongpungsaji, a temple site, in Yeongam, 1009 and the chronicled year of each remains, the bowls covered with a plate-shaped lids began to be produced in the late 10th century to the 11th century, and until the late 13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it has been continuously produced and consumed. After that, the presence of the leg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owl was added, and the shape of the handle, which was in the form of a plate-shaped handle, was produced in various other ways under the influence of the Yuan Dynasty.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covered bowls shows affinity with the Tang-Unified Silla and the pottery and metal wares of Balhae,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 record to indicate the direct relationship. However, it is presumed that both the foreign policy Goryeo implemented in the early days in order to establish legitimacy and the policies to embrac the immigrants might hav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As for a covered bowl, combined with a plate-shaped lid, the lid and body are symmetrical in the formation of a handle/leg-body of lid(蓋身)/body-rim formation, and the elements changing in each formation are consistent. In addition, as the width of the handle affects the appearance of the lid's body, and the change of the leg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ody affects the rim, it maintains a mutual relationship rather than individual changes, and a certain regularity in the shape changes is examined. Accordingly, a covered bowl was classified into types Ⅰ,Ⅱ, and Ⅲ considering the shapes of the lid and the leg, and the combination ratio of the shapes. In type I, a lid has a gentle shape with the curved side extending from the handle up to the lid with upright shaped rim, and the body, the leg, are characterized by a leg and a lid with upright shaped rim. From type Ⅱ, a Jeolyo Style, that is the rim of the bowl is bent outward, is identified on the side of the lid. At the point from the center of lid's body to the lower part, a curve-shaped Jeolyo Style shape is identified, and the shape is the same as that of the Unified Silla. At this time, a change occurs in the leg combined with the lid, and the form in which the heel of the leg disappears and the rim is curved outward continues to type III. Type Ⅲ shows the influence of the metalwares of the Goryeo Dynasty in the shape of the lid. The appearance of the side of the bowl changes into a staircase shape, and the height of the lid's body decreases, resulting in a difference of 1:2~3 or more in the bonding ratio. Between each type, a transitional appearance in which the shape was changed was identified, and this was classified into subtypes. In the Goryeo Dynasty, the proportion of plain bowls was high, but it was identified that various decorative techniques such as engraving, embossing, iron painting, and inlaid were used through excavated remains and an object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is, it was figured out that there exist specific materials and techniques that are suitable for each type of shape. Apart from the plain bowls produced throughout the Goryeo period, type Ⅰ is concentrated on Lotus Petals Design(蓮瓣文) using intaglio technique, and from type Ⅱ, the form of Branch Design(折枝文) appeared in earnest and decorated with iron painting, embossing, engraving, and inlaid techniques. The iron painting technique is mainly concentrated in type Ⅱ. Floral Scroll Design(唐草文) is s decorated alone or appears in a combined form, and in the case of intaglio technique or extruded embossing technique, it is represented by Peony or Lotus Spray Design(牡丹折枝文, 蓮花折枝文). In type Ⅲ, inlaid techniques are generally concentrated, and the entire composition of the screen is designed, such as Floral and leaves Design(草花文) and auxiliary patterns decorated with custom patterns are print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In the case of the inlay technique, the pattern is divided into black and white inlay and inverse inlay according to the method of using the pattern. At this time, the screen composition of the inverse inlay shows the upper and lower pattern arrangements centering on the main pattern, and the secondary patterns occupy more parts. Based on the fact that the shape changes and the corresponding decorative techniques and pattern materials have a certain regularity, when comparing the annual and excavation patterns of the production site, the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the remains largely occurred in the late 10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11th century. In the late 11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type Ⅱ, type Ⅲ-ⅰ·ⅱ, and type Ⅳ appear in combination, and type Ⅲ-ⅲ is produced in the late 13th century. The use of the covered bowl was estim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the documentary records, and the case of metalware manufactured with the same shape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Goryeo. First, it can be understood as Sarira Reliquar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excavated around the temple site and the same shaped metalware expressed in the illustration of Maitreya-vyakarana-Sutra(彌勒下生經變相圖). Second, it could be use as a medison container(藥器) by interpreting the inscription on the lid from the excavated products of the Hejia Village Hoard(何家村窖藏) in the Tang dynasty. Finally, It was estimated to be the same purpose as Gui(簋, ritual vessels), one of the bowls used in rituals appearing 󰡔高麗史󰡕, according to the glaze put into the inside of the lid and the location of decorated patter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and analyze the types of covered bowls in the Goryeo Dynasty, where no shape study was conducted. However, as the production form of covered bowls had been continued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Goryeo Dynasty, further research on the change of this shape by period and material is needed in the future.;본 연구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有蓋鉢의 개념을 정리하고 출토양상을 통해 유형을 분석하여 시기별 변천과정 및 용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려시대의 유개발은 직립구연형식의 뚜껑과 몸체인 발이 결합된 기종이며, 뚜껑에는 七寶形, 禽獸形, 蓮峯形, 楪匙形 등 다양한 손잡이가 부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 중에서도 시기별, 기형별 변화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凹자형 손잡이가 부착된 접시형뚜껑에 한하여 유개발의 특징과 용도를 파악하였다. 유개발은 기종의 구조 및 결합방식에 의해 盒이나 蓋物, 蓋碗 등의 다양한 명칭과 혼용되었으며, 뚜껑과 몸체가 분리되었을 때에도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뚜껑은 대접이나 접시, 承盤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이유로 그동안 유개발은 기종의 개념이 정립되지 못하였으며 정확한 수량 파악 또한 어려워 연구성과가 미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종의 결합구조를 개완과 같은 형식으로 보되, 결합된 몸체의 크기와 형태를 반영하여 유개발로 칭하면서 개념을 정리하였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자기 유개발은 청자의 비중이 높지만, 용인 서리 상반요지의 출토품을 통해 백자로도 생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생산지역은 강진과 부안을 중심으로 전라지역에 고창, 함평, 영광, 경상지역에 칠곡, 부산 등 대체로 남부지역에 집중되었다. 이외에 경기지역에서도 출토양상이 확인되었다. 이는 소비지유적의 출토양상과도 크게 다르지 않으며 분묘유적과 사찰지에 집중된 경향을 보인다. 1009년에 해당하는 영암 성풍사지 출토 유개발의 편년자료와 각 유적의 편년 등을 종합하면 접시형뚜껑을 덮은 유개발은 이르면 10세기 후반부터 11세기경에 제작을 시작하였고, 13세기 후반까지 지속적으로 생산·소비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후에는 원의 영향을 받아 받침의 존재가 추가되면서 접시굽 형태였던 손잡이의 외형이 다양하게 제작된다. 한편, 유개발의 기형은 당-통일신라, 그리고 발해의 도기 및 금속기와 친연성을 보이지만, 직접적인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고려가 건국 초기에 국가의 입지를 다지기 위하여 실시했던 외교정책과 내투인들 포용하는 정책들로 하여금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접시형뚜껑을 덮은 유개발은 뚜껑과 몸체가 손잡이/굽-개신/동체-구연의 구조로 대칭되어 각 구조에서 변화하는 요소가 일치한다. 또한 손잡이의 넓이가 개신의 외형에 영향을 주고, 몸체 저부에 부착된 굽의 변화가 구연부에 영향을 끼치는 것처럼 개별적인 변화양상이 아닌 상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기형변화에 일정한 규칙성이 확인된다. 이에 따라 유개발을 뚜껑과 발의 형태, 기종의 결합비율을 고려하여 Ⅰ·Ⅱ·Ⅲ유형으로 구분하였다. Ⅰ유형의 뚜껑은 손잡이에서 뻗어 나온 곡선형의 기측면이 직립구연에 이르기까지 완만한 형태를 취하고 몸체인 발은 다리굽과 직립구연을 특징으로 한다. Ⅱ유형부터는 뚜껑의 기측면에 절요형식이 확인된다. 개신 중앙부에서 하단부에 이르는 지점에 곡선형의 절요현상이 확인되며 그 형태가 통일신라의 기종과 같다. 이때, 뚜껑과 결합된 발에서도 변화가 일어나는데, 다리굽이 사라지고 구연부가 외반되는 형식이 Ⅲ유형까지 지속된다. Ⅲ유형은 뚜껑의 형태에서 고려시대 동기의 영향이 드러난다. 기측면의 외형이 계단식으로 변화하며 개신의 높이도 줄어들어 결합비율에서 1:2~3 이상의 차이가 나타난다. 각각의 유형 사이에는 기형이 변화하는 과도기적인 모습이 확인되어 이를 세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고려시대 유개발은 무문의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유적 출토품과 전세품을 통해 음각, 양각, 철화, 상감 등 다양한 장식기법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형의 유형별로 시문되는 특정 소재와 기법이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고려 전시기에 걸쳐 생산된 무문을 제외하면, Ⅰ유형은 음각기법을 사용한 연판문과 국판문에 집중되는 모습이며, Ⅱ유형부터 본격적으로 절지문형식이 등장하여 철화, 양각, 음각, 상감기법으로 장식된다. 철화기법은 주로 Ⅱ유형에 집중되어 있는데 당초문이 단독으로 시문되거나 화문이 결합된 형식으로 등장하고, 음각기법이나 압출양각기법의 경우에는 모란절지문 또는 연화절지문으로 대표된다. Ⅲ유형에서는 대체로 상감기법에 집중되어 있으며, 주문양으로 장식되는 절지화문과 보조문양이 기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문되는 등 화면구성 전체가 도안화된 양상이다. 상감기법의 경우에는 문양을 시문하는 방식에 따라 흑백상감과 역상감으로 구분되는데, 이때 역상감의 화면구성은 주 문양을 중심으로 상하의 문양배치를 보이며 이중원권문이나 뇌문, 당초문등 보조문양의 비중이 커진다. 기형의 변화와 그에 따른 장식기법 및 문양 소재가 일정한 규칙성을 띤다는 점을 토대로 생산지유적의 편년 및 출토양상을 비교했을 때, 유개발의 변화는 크게 10세기 후반~11세기 중반에 Ⅰ유형, 11세기 후반~13세기 중반에 Ⅱ유형과 Ⅲ-ⅰ·ⅱ유형, 그리고 Ⅳ유형이 복합적으로 등장하고, 13세기 후반에 Ⅲ-ⅲ유형이 제작되는 양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개발의 용도는 기종의 특성과 문헌기록, 그리고 고려 전후시기에 같은 기형으로 제작된 금속기의 사례를 기반으로 추정하였다. 먼저, 사찰지를 중심으로 출토된 기종의 특성과 <彌勒下生經變相圖>에 표현된 같은 기형의 금속기를 통해 사리구나 공양구로 이해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당대 何家村窖藏의 출토품에서 뚜껑에 시문된 명문을 해석하여 藥器로써의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뚜껑 내부까지 시유된 유약과 장식된 문양의 위치를 종합하여 󰡔高麗史󰡕에 등장하는 의례기 중 하나인 簋와 같은 용도로 추정하였다. 본 논문은 기종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고려시대 유개발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유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지만, 유개발의 제작형태가 고려시대 전후의 시기에도 이어지는 만큼 시대별, 재질별 기형의 변화와 사용에 대하여 보다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유개발의 출토 현황과 양상 6 A. 생산지유적 7 1. 경기지역 7 2. 전라지역 10 3. 경상지역 24 B. 소비지유적 29 1. 분묘유적 29 2. 사찰지유적 33 3. 해저유적 35 Ⅲ. 유개발의 유형분석과 장식기법 42 A. 기형 43 1. Ⅰ유형 45 2. Ⅱ유형 49 3. Ⅲ유형 52 4. Ⅳ유형 56 B. 장식기법 57 Ⅳ. 유개발의 시기별 변천 과정과 용도 77 A. 시기별 변천 과정 77 B. 용도 88 Ⅴ. 맺음말 99 참고문헌 102 부록 112 도판목록 115 도판 116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661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고려시대 청자 유개발(有蓋鉢)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eladon Covered Bowls of the Goryeo Period-
dc.creator.othernameAhn, Dahye-
dc.format.pagevii, 12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