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한∙중 지속상 표지 ‘-고 있다’와 ‘在zai’,‘着zhe’ 대조 연구

Title
한∙중 지속상 표지 ‘-고 있다’와 ‘在zai’,‘着zhe’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durative aspect markers of Korean ‘-ko issta’ and Chinese ‘zai’, ‘zhe’:focus on translations of texts
Authors
QIU, YAJU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상은 시간과 관련된 중요한 문법 범주이다. 지속상 표지의 하나인 ‘-고 있다’와 ‘在zai’, ‘着zhe’가 외국인 학습자가 초급 단계에 배우는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많이 남용, 혼용에 빠진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한국어 지속상 표지 ‘-고 있다’와 중국어 지속상 표지 ‘在zai’, ‘着zhe’의 통사적 특징과 상적 의미를 검토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중 병렬 말뭉치 텍스트에서의 실현 양상을 살펴봄으로 한·중 지속상에 대한 이해와 사용에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한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 대상으로 삼는 ‘-고 있다’와 ‘在zai’, ‘着zhe’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한·중 병렬 말뭉치의 구성과 추출 방법을 설정하여 연구 범위를 정하였다. 2장에서는 언어학 관점에서의 시제와 상의 개념 그리고 한국어의 시상 체계와 중국어의 상 체계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지속상 표지 ‘-고 있다’의 통사적 특징과 상적 의미, 중국어 지속상 표지 ‘在zai’, ‘着zhe’의 통사적 특징과 상적 의미를 병렬 말뭉치에서 추출한 예문과 결합하여 검토하였다. 4장에서는 ‘-고 있다’와 ‘在zai’, ‘着zhe’가 각자 번역 텍스트에서의 실현 양상을 대응 일치와 대응 불일치, 그리고 대응 불일치의 경우 어떤 방식으로 실현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 있다’를 진행상 표지 ‘-고 있1다’와 지속상 표지 ‘-고 있2다’로, 출현 위치에 따라 문중과 문말 나눠 고찰하였다. ‘着zhe’를 진행상 표지 ‘着1’와 지속상 표지 ‘着2’로 나눠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의 논의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렸고 본 연구의 의미와 한계성을 밝혔다.;Aspect is a kind of very important grammatical category related to time. As the durative aspect marker, ‘-ko issta’ and ‘zai’, ‘zhe’ are usually abused and misused by foreign learners even though these aspect markers appear on books of elementary levels. We have studied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aspectual meanings of Korean durative aspect marker ‘-ko issta’ and Chinese durative aspect marker ‘zai’, ‘zhe’, based on this, also investigated the correspondence of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texts hoping that this study can be a little bit helpful to foreign learners in understanding and usage of ‘-ko issta’ and ‘zai’, ‘zhe’. This dissertation is composed of 5 chapters. The first chapter mainly told the the significance, purpose, and the advanced research about the object ‘-ko issta’, ‘zai’ and ‘zhe’. In the second chapter, the concepts of tense and aspect have been introduced based on viewpoint of linguistics, as well as the system of tense and aspect of Korean language and the system of aspect of Chinese language.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d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aspectual meanings of durative aspect markers, ‘-ko issta’, ‘zai’ and ‘zhe’ by illustrating examples extracted from parallel corpus texts. The fourth chapter analyzed how were ‘-ko issta’, ‘zai’ and ‘zhe’ translated in the translation texts in case of consistent and inconsistent correspondence. ‘-ko issta’ and ‘zhe’ were divided into two parts: ‘-ko iss1ta’, ‘zhe1’ and ‘-ko iss2ta’, ‘zhe2’. The former means progressive aspect and the later means durative aspect. The last chapter conclud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also admitted the limitation to be solv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