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과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Title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과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on Social Skills of Students and Class Climate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Authors
최주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for a senior elementary students as a period of experiencing early adolescence, to recognize his feelings, expressing them appropriately and receiving positive feedback. However, there is not enough opportunity among students to acquire social skills naturally, So more and more students are having trouble with their peers and teachers. Also,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y experience greater burdens and difficulties in interacting with their peers. Especially, with Corona 19 (COVID-19), The proportion of remote classes is increasing and this growing challenge also call for way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work together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n online learning.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guide all students in the clas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how to accommodate various differences and properly cope with conflicts. In this study,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was conducted for students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es to find out impact on social skills and class climat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2 students(including 4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with two classes participating as experimental groups and two classes as control groups.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consists of a total of 12 sessions of programs reconstructed by researcher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using online learning platforms as a universal intervention of class.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by researcher using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ime of classes. In addition, Individual support was provid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ach session to effectively participate in class programs. The pre-po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social skills test and class climate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bega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z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xamined through the arithmetic variation of the pre-post-test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experimental groups and scores of all sub-regions (cooperation, assertiveness, self-regulation and empathy)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control groups. In other words,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s a result of an arithmetic examination of the social skills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total score of social skills and scores in all sub-reg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than those with control group disabilities. Second, The total score of class climat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led group.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imacy, which is a sub-section of class climate t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conflict, difficulty and competitiveness. In other words,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otal score of class climate perceived b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intimacy among a sub-section of class climate. As a result of an arithmetic examination of the class climate test scor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total score of the class climate and all sub-regions perceived by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But the overall scor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control group decreased. In conclusion, The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using online cooperative learning positively affected the social skills and class climat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lusive classe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utilized the online environment. Subsequent research recommend utilizing various online and offline teaching methods and carrying out programs through cooperative teaching with teachers in inclusive classes. ;초등학교 고학년은 초기 사춘기를 경험하는 시기로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며 이에 따라 적절하게 표현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는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비장애학생 중에서도 사회성 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기회가 부족하여 또래, 교사와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장애학생의 경우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더 큰 부담과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COVID-19)로 원격수업의 비중이 커짐에 따라 이러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도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과제를 수행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통합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환경의 제약 없이 장애학생을 포함하여 학급 내의 모든 학생들이 다양한 차이를 수용하고 갈등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회성 기술 및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의 N 초등학교 5학년 통합학급 학생 82명(장애학생 4명 포함)으로, 이 중 두 학급은 실험집단, 두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학급 차원의 보편적 중재로서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협동학습을 통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한 프로그램으로 총 12회기로 구성하였다.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주 1~2회기씩 총 12회기에 걸쳐 연구자가 진행하였고 장애학생이 학급 프로그램에 효과적으로 참여하도록 매회기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지원을 제공하였다.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성 기술 검사와 학급분위기 검사를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 초등학교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의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고, 장애학생의 변화 정도는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산술적 변화 추이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의 총점 및 모든 하위영역(협력, 주장성, 자기조절, 공감)의 점수가 통제집단 비장애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즉,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 검사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산술적으로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장애학생이 통제집단 장애학생보다 사회성 기술 총점 및 모든 하위영역에서 점수가 향상되었다. 둘째,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이 지각한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비장애학생이 지각한 학급분위기 총점이 통제집단 비장애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학급분위기 검사의 하위영역인 친밀감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만족도, 갈등, 곤란도, 경쟁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통합학급 비장애학생이 지각한 학급분위기의 총점 및 하위영역 중 친밀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급분위기 검사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산술적으로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장애학생이 지각한 학급분위기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의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 장애학생의 전체 점수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이 포함된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을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수업 방식을 활용하고, 담임교사와의 협력교수를 통해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