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상미-
dc.contributor.author정희수-
dc.creator정희수-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2:02Z-
dc.date.available2021-01-28T16:32:02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5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50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661-
dc.description.abstract사회변화와 경제위기로 인한 소득양극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여러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다종의 사회문제는 정부의 역량만으로는 해결의 한계가 있다는 현실적인 분석에서 사회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부각된 사회적기업은 사회문제를 해결할 핵심 주체로 여겨지기 시작하였다. 한국 사회적경제 조직 중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으로 최초로 제도화를 이룬 사회적기업은 사회 공익의 실현과 시장경제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새로운 경제 분야로 인식되었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양적 증대를 이루었다. 하지만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은 정책적 방향과 내용에 있어 다양한 비판에 직면해 있다. 사회적기업은 경제적 성과가 적고 지속가능성을 담보하지 못하므로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평가가 대두되고 있다. 반면에 사회적기업은 이윤극대화를 우선적인 가치로 두는 시장경제와는 다르게 사회적 가치를 우위에 두고 불평등과 빈부격차, 환경파괴 등의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분명한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가 함께 공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대한 분석이 엇갈리는 현시점에서 그간의 한국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재고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사회적기업 관련 연구는 다양하게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적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실증 연구와 데이터는 부족하며(김형돈, 2019), 잦은 휴·폐업 으로 인해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없어 일반화가 어려웠다. 특히 대다수의 연구는 사회적기업 성과의 내용과 측정에 한정되었으며, 사회적기업 성과관련 경향분석은 2편 외에 발견하지 못하였다. 더 나아가 메타분석은 사회적기업과 관련하여 전무하였다. 그러므로 사회적기업 성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추출한 후 이들을 수렴하여 양적분석으로 종합 효과크기를 살펴보는 메타분석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었다. 메타분석을 진행하기에 앞서 우선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으로 제도화된 2007년을 기점으로 2007년부터 2020년까지 사회적기업 성과 관련 학술지 및 학위논문 187편을 대상으로 사회적기업 성과 연구 경향분석을 진행하였다. 경향분석을 통해 한국사회적기업의 성과 영향요인으로 개인 요인, 조직 요인, 지원 요인을 추출하였다. 경향분석 후 30편의 분석 대상 논문을 선별해 STATA v14, 16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수행, 사회적기업의 성과 영향요인 연구들의 효과크기를 살펴 종합적이며 실증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메타분석에 대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요인이 경제적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으로 조직 요인, 지원 요인 순이었다. 개인 요인에서는 CEO 특성 및 역량이, 조직 요인에서는 조직역량이, 지원 요인은 정부지원이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성과와 관련해서 개인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지원 요인이었으며, 조직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개인 요인은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지원 요인은 정부지원이 높은 효과를 보였다. 셋째, 조직형태(영리, 비영리)와 지원시기는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대한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요인은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높였다. 즉 사회적기업의 초기 성과를 이룬 인재 양성 교육을 상기하며, 개인 요인의 강화를 위해 사회적기업가를 위한 교육 훈련의 확대가 필요하며, 사회적기업이 지닌 고유 가치인 공동체와 사람에 대한 재집중과 고양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둘째, 조직 역량 강화가 요청된다. 사회적기업 조직은 핵심역량 전략을 수립하고, 바람직한 사회적기업 조직문화를 조성하며, 인적자원 관리가 중요하다. 셋째, 정부 지원 방식의 제고가 필요하다.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에 따른 지원시기에 따른 변화가 연구결과로 나타났으므로, 정부 지원을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적 성과 측정 문제로서 기존 선행연구와 SVI의 사회적 성과 측정지표 불일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적 성과 측정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며 다각적인 논의가 개진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가 지니고 있는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경제적 성과는 매출액으로, 사회적 성과는 취약계층고용율로 분석하였으나 이 두 가지 지표가 각 성과를 과연 대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더욱 더 철저한 검증과 노력이 필요하며 이후 추가적 연구가 요청된다. 둘째, 향후 연구에서는 실증 조사를 더해 경향분석과 메타분석의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조직형태와 지원시기, 업력, 조직규모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다른 다양한 요인과 메타-구조방정식 등의 더욱 구조화된 방법을 통해 심화된 결과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성과에 대하여 경향분석과 함께 최초로 메타분석을 시도하여 13년 간의 연구를 체계적이며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개인과 조직, 정부지원에 대한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함의를 모색하였으며, 특히 사회적기업 사회적 성과 측정문제에 대한 제언을 더해 연구적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주제어: 사회적기업 성과 영향요인, 경제적 성과, 사회적 성과, 경향분석, 메타분석;A variety of social problems are occurring in many areas of Korea recently due to income polarization resulting from social changes and economic crisis. Based on the realistic analysis and prospect that there is a limit to solving social problems occurring in various fields with the government capacity alone, social enterprises are draw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social problems. Among Korea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social enterprises, which were first institutionalized under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in 2007, have been recognized as a new economic field that will concurrently realize social public interests and achieve the purposes of the market economy. Accordingly, social enterprises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on the strength of positive government support. However, the current social enterprise promotion policy faces various criticisms in terms of policy direction and content. One of the negative evaluations that has emerged is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enterprises on Korean economy is insignificant because their economic performance is low and sustainability is not guaranteed. On the other hand, positive evaluation also exist recognizing how social enterprises, unlike the market economy that places the highest value on profit maximization, are establishing themselves as clear alternative to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inequality,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while placing value on people. Thus, at this point of time when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coexis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performance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so far. In order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mak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ir performance. Until now, a great number of studies focused on the content and measurement of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while only a few studies covered trend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In fact, only two studies were found to discuss trend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Furthermore, meta-analysi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was nonexist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 thorough and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n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by synthesizing studies covering the performance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aims to deriv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will enhance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and ensure their sustainability. A total of 187 studi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were sampled including journal articles and theses published so far, beginning from 2007 when social enterprise was institutionalized with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up to 2020. These studies were examined in terms of trend by conducting descriptive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From the trend research, individual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s, and support factors were extracted as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Then, 30 studies were selected again, with which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ATA 14 and 16. Thus, comprehensive empirical results were drawn by examining the effect size of studies of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economic performance, individual facto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organizational factors and support factors. Among individual factors, the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CEO showed high influence, Among organization factors, organizational capabilities showed high influence, while among support factors, government support showed high influence. Second, in relation to social performance, individual factors showed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support factors.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 factor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ocial entrepreneurship among individual factors and government support among support factors were found to have high influ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moderating effects,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type (for-profit, non-profit) moderates the influence on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while timing of support moderates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ther than that, it was found that business history and company size do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offered.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hat can differentiate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In other words, the core competencies within an organization must be identified to perform strategic management of various organizational factors, and continuous connection and support must be provided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training, and network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enhance characteristics and inherent values ??of social enterprise, such as community, solving social problems, social value, and social entrepreneurship. Third, the paradigm of government support needs to be changed. A support program specialized for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developed by seeking multifaceted support policies that consider the types of social enterprise. Fourth, a desirable social enterprise organizational culture needs to be created. It is necessary to form an innovation-oriented culture based on mutual trust and communication with stakeholders and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ctively responds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Fifth, as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social enterprises is raised, it must be reminded that securing human resources can make a difference in performance and lead to reinforcement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capabilities. Sixth, in raising the problem of discrepancy between existing studies and the SVI, the index that measures the social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pursuing social value, more in-depth discussions should be set forth from various vantage points for measuring social performance and social valu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a trend research and meta-analysis targeting studies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Thu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future research that verify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adding empirical research. Second, the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was analyzed with sales, while the social performance with the employment rate of the vulnerable social group. However, a more thorough investigation and additional research are called for to determine whether these two indicators truly represent each performance.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ype, timing of support, business history, and organization (company) size, and subsequent studies will need to derive more meaningful results through structured methods involving various other factors and meta-structural equations.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studies on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conducted published in the past 13 years through trend research and meta-analysis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ndividuals, organizations, communitie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Keywords: Factors influencing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economic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trend research, meta-analy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5 A.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국내 현황 5 1. 사회적기업의 개념 5 가. 사회적기업의 정의 5 나. 사회적기업의 발달과정 7 다. 사회적기업의 범위와 역할 9 2. 사회적기업의 현황 및 지원정책 12 가. 사회적기업의 현황 12 나. 사회적기업 경영공시제도 14 나. 사회적기업 지원정책 15 라.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 19 B. 사회적기업 성과 영향요인 이론 30 1. 리더십 역량이론 30 가. 리더십의 개념과 역량 30 나. 리더십 역량 연구 31 다. 사회적기업가와 사회적기업의 성과 35 2. 자원준거이론 36 가. 자원과 역량 36 나. 내부자원과 사회적기업의 성과 38 3. 체계이론 40 가. 조직, 체계, 환경 40 나. 외부자원과 사회적기업의 성과 42 C. 한국 사회적기업 성과 관련 선행연구 44 1. 사회적 기업의 성과 44 가. 경제적 성과 45 나. 사회적 성과 48 2. 사회적 기업 성과 영향요인 53 가. 개인 요인과 사회적기업의 성과 54 나. 조직 요인과 사회적기업의 성과 56 다. 지원 요인과 사회적기업의 성과 59 Ⅲ. 연구방법 62 A. 연구 설계 62 1. 연구분석틀 62 2. 연구문제 62 3. 연구절차 63 B. 경향분석 64 1. 경향분석의 개념과 필요성 64 2. 사회적기업 성과 경향분석 고찰 64 3. 경향분석 모형 66 4. 연구대상 논문 67 C. 메타분석 68 1. 메타분석 연구모형 68 2. 메타분석의 개념 및 절차 68 가. 메타분석의 개념과 특징 68 나. 메타분석의 절차 70 3. 자료의 수집 72 가. 대상 연구의 수집 및 선정 72 나. 데이터 코딩 및 관련변인 범주화 75 다. 데이터 처리 77 4. 자료의 분석 77 가. 코딩 77 나. 효과크기 산출 및 해석 77 다. 고정효과 모형과 무선효과 모형 79 라. 이질성 및 조절효과 검증 80 마. 출판편의 분석 81 Ⅳ. 연구결과 84 A. 한국 사회적기업의 성과 경향분석 84 1. 기술분석 84 가. 연구영역 84 나. 연구시기 86 다. 연구방법 87 라. 연구지역 88 마. 분석단위 89 2. 주제분석 91 가. 사회적기업의 성과 구분 91 나.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 92 다.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 93 라. 사회적기업의 성과 영향요인 95 B. 한국 사회적기업의 성과 영향요인 메타분석 98 1. 경제적 성과 영향요인의 효과크기 99 가. 동질성 검정 99 나. 경제적 성과 효과크기 99 다. 경제적 성과 영향요인 효과크기 100 2. 사회적 성과 영향요인의 효과크기 105 가. 동질성 검정 105 나. 사회적 성과 효과크기 105 다. 사회적 성과 영향요인 효과크기 107 3. 조절효과 분석 111 가. 조직 형태: 영리, 비영리 111 나. 지원시기 :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 112 다. 업력 114 라. 기업규모 115 4. 출판편의 검증 116 가. 경제적성과 116 나. 사회적성과 118 Ⅴ. 결론 및 제언 120 A. 연구 결과 요약 120 1. 한국 사회적기업의 성과 연구경향 120 2. 한국 사회적기업 성과 영향요인 122 B. 논의 및 제언 127 1.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높인 개인 요인 128 2. 조직 역량 강화가 요청되는 사회적기업 132 3. 정부 지원 방식의 제고 135 4. 사회적 성과 측정문제 138 C.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 140 참고문헌 141 부록 1. 코딩표 160 부록 2. 메타분석에 포함된 연구 161 부록 3. 사회적기업 경제적성과 선행연구(학술지, 학위) 162 부록 4. 사회적기업 경제적성과 측정지표 167 부록 5. 사회적기업 사회적성과 선행연구(학술지, 학위) 173 부록 6. 사회적기업 사회적성과 측정지표 179 부록 7. 사회적기업 성과 영향요인 선행연구(학술지, 학위) 185 부록 8. 사회적기업 성과 영향요인 측정지표 191 ABSTRACT 1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700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30-
dc.title한국 사회적기업의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Meta-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dc.creator.othernameChung, Hee Soo-
dc.format.pagexii, 20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적경제협동과정-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ETC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