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2 Download: 0

식품문해력(Food Literacy) 척도 개발 및 적용

Title
식품문해력(Food Literacy) 척도 개발 및 적용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 Tool for Food Literary Assessment for Young Adults : Findings from a Korean Validation Study
Authors
나예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미숙
Abstract
개인의 조리 기술과 가정에서의 식사 준비 능력이 공중 보건의 핵심 목표로 대두되면서 식품문해력(food literacy)은 건강 증진(health promotion)분야에서 지난 20년간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떠올랐다. 식품문해력이란 개인이 더 나은 식품 선택과 식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및 영양적 지식, 기술, 능력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식품과 사람의 관계는 환경적, 문화적 맥락을 피할 수 없으므로 각 문화적 맥락에서 규정되고 측정되어야 한다. 해외에서 식품문해력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었으나, 식품문해력 측정 도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식품문해력과 관련한 국내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20대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음주, 불균형한 영양섭취, 고열량 ·저영양 간식 섭취, 야식 등의 식생활 문제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부적절한 영양소 섭취상태는 체중증가, 만성질환, 의료비 증가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식품문해력을 평가하고 증진시켜 식습관 개선에 기여한다면 국민의 건강과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적지 않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수행 및 만성 질환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영양교육 계획시 교육대상자들의 식품문해력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Ⅰ에서는 한국 문화적 상황과 맥락에서 식품문해력의 정의와 구성 요소를 규명하고, 문헌연구, 델파이 조사, 예비조사, 본조사의 과정을 거쳐 성인의 식품문해력을 평가할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첫째, 식품문해력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구성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구성 영역과 측정 문항 초안을 마련하여 식품 관련학과 교수, 식품 업체 연구원 및 대표이사 등 전문가 패널 15명을 대상으로 2019년 8월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1단계에서는 식품문해력의 범주 및 구성 요인에 대한 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2, 3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규명된 2개의 범주와 하위 요인에 해당하는 121개의 문항에 대한 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문헌 연구, 델파이 조사 결과와 연구자의 경험적 내용을 바탕으로 문항을 정제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통해 총 2개의 범주, 105개의 측정용 문항이 추출되었다. 둘째, 예비조사와 본 조사 단계를 거쳐 척도 타당화가 진행되었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추출된 105개의 측정 문항들의 적합도와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경기 지역 거주 20대 남·녀 108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문항 삭제시 Cronbach’s ɑ상승으로 삭제할만한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는 서울·경기 지역 거주 20대 남·녀 총 45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 및 내적 구조 관련 타당성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9개의 하위 요인 중 식사의 계획과 관리 요인이 삭제 되었으며, 55개 문항이 삭제되어 지식 범주 25문항, 기술 범주 25문항의 최종 척도가 완성되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과 수렴-판별 타당도의 분석 결과, 개발된 측정 도구의 모델 적합도 지수는 모두 양호하였다. 일주일 간격으로 실시한 재현성 조사에는 본 조사 대상 453명을 대상 중 70.5%인 307명이 재응답에 응하였고, 재현성 분석 결과 역시 타당한 결과를 보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춘 식품문해력 측정 척도가 개발되었다. 연구 Ⅱ에서는 개발된 척도를 적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 거주 20대 여성 479명을 대상으로 세분화된 식품문해력 평가를 위해 식품 전공 여부에 따른 식품문해력 수준 차이를 비교 및 분석하고, 각 구성 영역에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의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는 정량적 연구 방법을 실시하였다. 또한 식품문해력 척도를 통해 평가된 식품문해력 수준에 따른 식행동 및 식생활교육에 대한 태도를 비교, 분석하여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건강증진을 위한 식생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식품 전공 여부에 따른 식품문해력 수준은 식품문해력의 8개 구성요소 중 6개 구성영역에서 식품 전공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5), 50개 문항 중 40개 문항에서 식품 전공자가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두 집단에서 모두 교육수준에 따라 식품·영양 지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비전공 집단에서는 거주형태에 따라 자아효능감 및 자원관리기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식품문해력 수준에 따라 분류된 상위집단은 하위집단에 비해 조리 참여 횟수가 ‘매일’이라고 응답한 응답자 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최근 2년 이내 식생활 교육 수강 횟수가 ‘4회 이상’이라고 응답한 응답자 수가 유의하고 높았고(p<0.05), 식생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조사대상자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식품문해력 측정 척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척도를 적용하여 20대 여성의 식품 전공 여부에 따른 식품문해력 수준과 그에 따른 식행동 및 식생활교육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체계적인 식품문해력 교육의 실시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계획 및 수행시 교육대상자들의 식품문해력 수준을 평가하고 국민의 식품문해력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식생활 교육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ck of competency in food preparation is a primary barrier to make healthier food choices. A societal decline in home meal preparation has led to an increase in consumption of food prepared away from home and convenience foods that are calorie-dense with high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 and have low iron, fiber, and calcium content. This increase in unhealthy diet among young adults may cause negative health outcomes throughout their lifespan. There is evidence that food preparation and structured meals are associated with good dietary intake, especially in young adults. In the last two decades, food literacy(FL)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concept in health promotion. FL is a complex and broad topic that extends beyond nutritional recommendations and cookery lessons to foster important and vital connections between food, people, health, and the environment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levels. A widely cited definition of FL is described as “a collection of inter-related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required to plan, manage, select, prepare and eat foods to meet needs and determine food intake. FL is the scaffolding that empowers individuals, households, communities and nations to protect diet quality through change, and support dietary resilience over time.”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nhancing people’s ability to understand and practice healthy diets” to reduce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 and has identified this as a significant task area for promotion of public health and nutri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ment tools that evaluate the integrative concepts of FL. Previous research on FL in Korea demonstrated that no such tools exist. There are no validated assessment tools appropriate for use with this target group. As no tools have been designed for application in the Korean context, this study developed a tool to measure FL for young Korean adults and assessed its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reliability. A food literacy measurement tool for young Korean adults was developed in three phases: (1) tool development and content validation using the Delphi method (2) pilot testing(n=108) and (3) confirmatory study (n=435) and internal consistency using Cronbach’s α and the test-retest for reliability. p<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 pool of 121 items was generated after reviewing existing questionnaires. In August 2019, 15 experts with undergraduate degrees in nutrition and either a Master’s Degree or PhD in nutrition or another food or another related discipline evaluated the content and fac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hrough three rounds of the Delphi survey. Feedback from the Delphi rounds resulted in modification and rewording of nine items, yielding 105 items with acceptable content validity ratio (CVR).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revealed an eight-factor construct: food and nutrition knowledge, food safety, food systems, socio-cultural context, food skill, food choice, self-efficacy, and food resource management. For both domains, the KMO test showed sampling adequacy(KMO>0.70; KMO=0.924 in the knowledge domain, KMO=0.952 in the skills/ability domain). Bartlett’s test confirmed that factor analysis was appropriate for both domains(p<0.50). Four factors with 25 items were extracted for the knowledge domain, including 11 items for food and nutrition knowledge, four items for food safety, four items for food systems, and six items for socio-cultural context. “Meal management” was eliminated by EFA; therefore four factors consisting of 25 items were extracted from the skills/ability doma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indicated that the validated tool met the acceptable indices of basic psychometric standards,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 Comparative fit index(CFI), and Turker-Lewis index(TLI), the most popular chi-square model fit indices were used. Internal consistency was satisfactory for all subscales(Cronbach’s α >0.70).The total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was 0.90, which indicates satisfactory stability of the developed tool. Study 2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and attitude towards dietary education of 20’s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ubjects major in food and nutr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ribute of 8 FL attributes(p>.05). In both group,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d and nutrition knowledge and ‘living stat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nd food resource management in non-major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FL, higher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of cooking’,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in last 2 years’. As a result, there’s a need for dietary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for Korean young adults who have started independence from their parents.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community-based food literacy education program using the internet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and elements of food literacy in the cultural context of Korea were identified, and a food literacy scale with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developed.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hat enables a scientific approach to future food literacy education research, and further enables evaluation of food literacy that can help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thereby reducing public health maintenance and social and economic cos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not only help to save money, but can also be used for developing food literacy education programs and researching effects to improve food liter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