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3 Download: 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클래식 공연에 관한 고찰

Title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클래식 공연에 관한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Non-Contact Classic Music Performances in the Post-COVID-19 Era : With a focus on the case of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Authors
심소명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음악예술경영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정소희
Abstract
본 논문은 코로나 현상 이후에 등장한 비대면 클래식 공연의 고유한 특성에 대해 고찰한 연구이다. 2020년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19(COVID-19)로 인해 많은 부분이 변화되었다. 지역 사회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과 캠페인이 강도 높게 진행되면서, 공연계가 잠정 중단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공연예술계에서는 라이브 공연 대신 ‘비대면 클래식 공연’이 독립된 공연예술의 형태로 등장하였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지속되면서 비대면 클래식 공연은 단지 라이브 공연을 영상으로 옮겨놓은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공연예술형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비대면 클래식 공연을 가장 활발하게 시도하고 있는 공연예술단체 중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벤치 마케팅하여 뉴노멀이라는 매뉴얼을 가지고 온라인 공연의 체계를 구축하며 새로운 활로를 모색한 단체이다. 본 연구의 본격적인 사례연구에 앞서, 비대면 클래식 공연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전통적인 공연과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전통적인 공연의 경우 동일한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성, 동일한 공간의 공존을 나타내는 공간성, 현장 공연에 모인 관객성이 모두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와 기술 매체의 발전으로 비매개적 특성을 지닌 공연과 영상매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확장된 공연으로 라이브 공연에 대한 정의가 변화되었다. 이에 국내에서도 예술의 전당, 메가박스, 서울시향 등 변화된 라이브 개념을 토대로 다양한 공연 영상화의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서울시향의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비대면 클래식 공연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비대면 시대에 따라 서울시향의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는 레퍼토리의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서울시향의 연주가 그동안 19세기 작품들 위주의 대규모 편성으로 연주되었다면, 무대 위에서 1.5m씩 띄어 앉기를 진행함에 악기 및 연주자의 편성 규모가 줄어들었다. 변화된 소규모 편성에 새로운 레퍼토리가 생겨났으며, 목관악기의 비중을 줄이고 현악기 연주의 비중이 높은 작품들로 변화 되었다. 둘째, 클래식 음악 역시 연극이나 기타 장르와 마찬가지로 시간적 요소, 공간적 요소, 관객성의 요소를 가질 때 비로소 라이브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가 발발한 이후 라이브니스의 형태는 (기존에 나타났던 공연의 영상화보다도) 훨씬 다층화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고전적 라이브니스의 개념인 공간적요소가 상실함에 현장성을 라이브의 변화 및 확장으로 나타내려는 시도를 거듭하였다. 서울시향은 공연의 현장성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거듭하였다. 관객이 공연장에서 관람하지 못하는 부분을 다각도의 카메라 앵글에 담아 지휘자의 앞 모습, 무대 위, 연주자의 운지법 등을 관찰 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아이 레벨 (eye-level) 촬영기법으로 관객과 스크린 속 연주자와의 눈높이에 맞게 촬영함에 연주자 바로 옆에서 관람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촬영은 공연장보다 더 생생한 현장감을 느끼는 ‘하이퍼리얼리티’(Hyperreality)를 관객으로 하여금 경험하게 한다. 셋째, 고전적 라이브니스에 토대한 기존의 라이브 공연과 다른 새로운 관람방식이 등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기존의 라이브니스의 속성에 변화가 나타났으며, 그 중 대표적으로 관객성의 수용경험의 변화에 관한 것이다. 영상화를 통해 공연을 관람할 경우, 온라인 관객과 온라인 관객, 공연관계자와 온라인 관객간에 공연 정보나 의견을 공유하는 등 지식적·정서적 교류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연영상화는 이번 코로나19로 새롭게 생겨난 형태는 아니다. 하지만 비대면 공연과는 또 다른 공연예술형태로 구분되어진다. 비대면 시대 이전의 공연이 아카이브 형식의 보관과 기록의 산물 이였다면, 비대면 시대 이후의 공연은 인터넷매체의 접목으로 온라인 스트리밍 공연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온라인 스트리밍 공연에서도 실시간 송출과 녹화송출에 따라 라이브의 개념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비대면 시대에 온라인 콘텐츠로 공연예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영상장비 및 플랫폼 등 안정적인 재원이 필요하며, 저작인접권(실연자의 인격적 권리) 또한 풀어나가야 할 과제이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비대면 클래식 공연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 되지 않은 부분을, 공연의 존재론적 라이브니스에 대해 살펴보며 외연을 확장했다는 점에 의의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서 비대면 클래식 공연 영상화에 대한 연구가 확장되길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non-contact classic music performance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 2020, the corona virus disease(COVID-19) has caused changes to many parts around the world. As strong measures were introduced including social distancing policies and campaigns to stop the spread of the virus infection in the community, the performance business has come to a temporary halt. In the current scene of performance arts, "non-contact classic music performances" have emerged as an independent form of performance arts to replace live ones. As the COVID-19 pandemic continues on, non-contact classic music performances are establishing themselves as an independent form of performance arts rather than simply presenting live shows in the form of video.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non-contact classic music performances different from live performances with the case of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which is making the most active attempts at non-contact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among the performance arts organizations around the nation. Before a full-scale case study,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differences between non-contact classic music performances and traditional ones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raditional performances need all three elements including temporality representing the same time, spatiality representing the coexistence of the same space, and the audience that has gathered around a live on-site performance. Following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advancement of technological media, however, live performances have been changed in their definition and got to mean performances that are expanded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performances with non-mediated features and video media. In South Korea, Seoul Arts Center, Mega Box,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and others are making an attempt at presenting their various performances in video based on the changed concept of live performances. Based on the case analysis results of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non-contact classic music performances: First, one of the noteworthy changes to the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in this non-contact era happened in their repertoire. The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used to put on large-size performances, mainly playing works of the 19th century. The size of their performances has been reduced in the number of instruments and players as they need to sit apart with 1.5m between each other on the stage. A new repertoire has been created according to the changed organization in small size. The new repertoire includes works characterized by a low proportion of woodwind instruments and a high proportion of string instruments. Secondly, when classic music performances were put on the stage with the elements of time, space and audience satisfied, they were called live performances like theater and other genre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however, the forms of live performances have been even more multistratified than the old trend of presenting performances in video. As the element of space, a classic concept of live-ness, was lost, site-ness has been presented in changes and expansion of live in repeated attempts. The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made a range of attempts to keep the site-ness of performances alive. Since the audience was not able to be on the site, they captured many parts of performances that the audience might miss at various camera angles and allowed the viewers to observe the space before the conductor, on the stage, and players' fingering. Specifically, the eye-level shooting technique was employed to capture the performances at the eye level of audience and players on the screen so that the viewers could feel as if they were watching the performances right next to the players. This method of shooting offered the viewers "hyperreality" experiences and had them feel even greater site-ness than the performance venues. Finally, a new way of viewing was emerging different from that of the old live performances based on classical live-ness. There were changes to the old attributes of live-ness, and one good example involved changes to the audience's acceptance experiences. As they watched performances in video, the online viewers were able to share performance information and opinions each other and also with the performance staff, having intellectual and emotional exchanges. Presentation of performances in video was not an outcome of COVID-19 pandemic, but it is a different form of performance arts from non-contact performances. Before the arrival of non-contact era, performances were products of preservation and recording in an archive format. In this non-contract era, performances are streamed online with the integration of Internet media. Even online streaming performances would have differences each other in the concept of live according to real-time and recorded transmission. There is, however, a need for stable financial sources including video equipment and platforms to have a competitive edge with online content in the field of performance arts in this non-contact era. Copyright is another issue to resol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ontological liven-ness of performance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did not discuss non-contact classic music performances in the nation in full scale, broadening their extension and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researches on the presentation of non-contact classic music performances in vide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음악예술경영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