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형중-
dc.contributor.author양주희-
dc.creator양주희-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57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57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26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263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63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increase the dance adherence intention of Korean dance majored students by examining how the fun factors and social support of Korean dance classes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dance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It was aimed at. To this end, it was analyzed what differences were there in the fun factor, social support, and the danc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ow the fun factor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d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among th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using the convenient table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131 questionnair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questionnaires that were unfaithful and questionnaires with missing answers. For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fun factor, social support, and danc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un factor, social support, and danc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un factor according to the grade, and the fun factor of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grade, and the average of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the grade, and the aver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 According to the dance perio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un factor, and the average of 5-9 years was high. Social support also differed according to the dance period, and the average of 5-9 years was high.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da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fun factor on dance adherenc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fun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ance adherence intention. Among the sub-factors, health maintenance, cultivation of sociality, and autonomy and ease of instruction were significant. It has been shown to have one effec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ance adherenc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support for parents, support for teachers, and support for frien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ance adherence intention. In conclusion, there were ifferences in fun factors, social support, and dance adherence intention according to grade and duration of d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un factors and social support of Korean dance had an effect on dance adherence intention of Korean dance majored students.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seeking a lesson plan for Korean dance that considers the fun factor in order to increase dance adherence intention of Korean dance majored students to continue their dance and the need for specific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for Korean dance classes for Korean dance majors.;본 연구는 무용전공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무용수업의 재미요인과 사회적 지지가 무용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 무용전공학생의 무용지속의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재미요인, 사회적 지지, 무용지속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고, 재미요인과 사회적 지지가 무용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하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학생 중에서 무용을 전공하는 학생 150명을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해 설문하였다. 불성실한 설문지와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한 131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빈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전공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재미요인, 사회적 지지, 무용지속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재미요인, 사회적지지, 무용지속의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에 따라서는 재미요인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의 재미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의 평균이 높았다. 무용지속의도는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학생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기간에 따라서는 재미요인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용기간 5-9년의 평균이 높았다. 사회적 지지도 무용기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용기간 5-9년의 평균이 높았다. 반면 무용지속의도는 무용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재미요인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재미요인은 무용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건강유지와 사회성 함양, 수업의 자율성과 용이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가 무용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년과 무용지속시간에 따라 재미요인, 사회적 지지, 무용지속의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한국무용의 재미요인과 사회적 지지는 한국무용전공 학생들의 무용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무용 전공생들의 무용지속의도를 높이기 위하여 재미요인을 고려한 한국무용 수업방안을 모색할 필요함과 구체적인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무용전공자를 위한 한국무용 수업의 교육방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되리라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3 C. 연구가설 4 D. 용어의 정의 5 E. 연구의 제한점 6 Ⅱ. 이론적 배경 7 A. 한국무용 7 B. 재미요인 10 C. 사회적 지지 14 D. 무용지속의도 17 Ⅲ.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조사도구 21 1. 설문지 작성 21 2. 재미요인 측정 22 3. 사회적 지지 측정 22 4. 무용지속의도 측정 22 C. 측정도구들의 타당도 및 신뢰도 23 D. 자료처리 29 Ⅳ. 연구결과 30 A. 변인들의 일반적 특성 30 B. 변인들의 상관관계 35 C. 재미요인과 사회적 지지가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36 Ⅴ. 논의 38 A. 인구통계학적 배경과 재미요인 38 B. 인구통계학적 배경과 사회적 지지 39 C. 인구통계학적 배경과 무용지속의도 39 D. 재미요인과 무용지속의도 40 E. 사회적 지지와 무용지속의도 41 Ⅵ. 결론 및 제언 42 A. 결론 42 B. 제언 44 참고문헌 45 부록1. 설문지 52 ABSTRACT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62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한국무용수업의 재미요인과 사회적 지지가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fun factors of Korean dance classes and social support on dance adherence intention-
dc.creator.othernameYang, Ju Hee-
dc.format.pagev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