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말레이시아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오류 연구

Title
말레이시아 한국어 학습자의 격조사 오류 연구
Other Titles
Error Analysis of Case Particle among Malaysian Korean Language Learners : Based on ‘이/가, 을/를, 에, 에서’
Authors
WONG DEN JU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립국어원에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구축된 학습자 말뭉치 자료를 기반으로, 말레이시아 학습자들의 주격 조사 ‘이/가’, 목적격 조사 ‘을/를’,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 사용에 나타난 오류를 살펴봄으로써 학습자의 격조사 오류 양상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에게 초급부터 한국어 조사를 교육시켜 왔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조사 사용에서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어 문장에서 주요 문장 성분을 구별하게 하는 문법 장치는 바로 조사이다. 이는 한국어 문법에서 조사라는 문법 요소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말레이시아 학습자 문법 오류 중 가장 많이 나타난 문법 오류의 하나는 조사 사용에서 나타난 오류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말레이시아 학습자 전등급을 대상으로 한 조사 오류 연구는 전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 학습자 말뭉치 자료를 바탕으로 수집된 해당 분석 대상의 오류들을 통계 처리하고 오류 사례를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연구 문제를 밝혔다. 선행연구를 통해 말레이시아 학습자가 문법 오류 중에서도 조사 사용에서 다양하고 많은 오류를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 학습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조사 오류 연구는 드문 것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한국어 조사의 체계, 한국어와 말레이시아어의 언어 대조, 오류 분석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였다. 2 장에서는 한국어 격조사의 개념 및 기능을 정리하고, 한국어 조사와 대응되는 말레이시아어의 문법 장치를 살펴보고, 오류 분류에 대한 기준을 파악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분석 자료의 수집 방법을 살펴보고 연구 절차를 제시하였다. 국립국어원에서 수집된 학습자 말뭉치에서 말레이시아 학습자의 작문 자료 112편에 나타난 조사 오류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분석 결과에서 말레이시아 학습자 주격 조사 ‘이/가’, 목적격 조사‘을/를’,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오류 빈도 및 오류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말레이시아 학습자의 조사 사용에서 나타난 조사별 오류 빈도 순위는 주격 조사 ‘이/가’> 목적격 조사 ‘을/를’> 부사격 조사 ‘에’> 부사격 조사 ‘에서’순으로 나타났고, 오류 양상의 빈도 순위는 ‘대치 오류 > 누락 오류 > 첨가 오류 > 오형태 오류’로 나타났다. 여기서 주격 조사 ‘이/가’의 대치 오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말레이시아 학습자의 조사 사용에서 나타난 오류 양상을 살펴본 결과, 말레이시아 학습자들이 모국어의 영향으로 격표지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문장 안의 문장 성분을 인지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자가 서술어의 성격을 잘 인식하지 못하여 다양한 조사 오류를 생산해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 학습자가 주격 조사‘이/가’, 목적격 조사 ‘을/를’,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 사용에 나타난 오류 양상을 살펴봤다는 점과 중복된 오류패턴을 통해 말레이시아 학습자에게 교육할 때 주의하여야 할 점을 알아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의 분석 결과가 말레이시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말레이시아 학습자 조사 오류 연구로서 향후 말레이시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s of subject particle‘이/가’, object particle ‘을/를’, postpositions ‘에’and ‘에서’ which occurred by Malaysian Korean language learners. To prevent these errors occurrence, some advices would b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of error analysis. Case particle and postpositions are essential grammatical elements in Korean sentence structure especially in writing. However, case particle does not exist in Malay language which is the national language of Malaysian learners. Thus, Malaysian Korean language learners always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Korean case particle and postpositions. This research’s findings could identify the error frequency of each case particle ‘이/가, 을/를, 에, 에서’and how the error patterns that learners written. The data of this error analysis is extracted from the Korean Learners Corpus which prepared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Republic of Korea. In this study, the first chapter identified the purpose and necessity carrying out this research, as well as reviewed some previous similar studies.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re are a lot of errors of case particles written by Malaysian learners. However, the research studies on errors of case particle of Malaysian learners were rare in the past. As case particl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rammatical element in Korean, learners are required to use the Korean case particle with least errors. Thus, the study of error analysis of Korean case particle is necessary. In order to analyze the errors of Korean case particle, it would be required to undertake the literature review before the error analysis. In chapter 2, this study carried out the research of literature review regarding the language system of Korean case particle and postpositions, the language grammatical element(s) of Malay language which corresponding to Korean case particle and postpositions, as well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rror analysis. The third chapter explained the research method and data which had been used in this error analys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defined what kind of data required in this error analysis. This study decided to extract the data from the Korean Learner’s Corpus which available in Korean Learner’s Corpus Search Engine. After the data extraction, the data had been filtered to be useful data in this error analysis. Then, this study is going to interpret the result based on this filtered data. The fourth chapter analyzed the case particle errors which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 Substitution, Omission, Addition, Form. The highest frequency error of case particle is substitution error in subject particle ‘이/가’ and the highest frequency of case particle to be substituted the subject particle ‘이/가’ is object particle ‘을/를’ . This indicated that Malaysian learners are hard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Korean case. Moreover, Malaysian Korean learners have the difficulty to distinguish the function and the usage between subject particle ‘이/가’and object particle ‘을/를’.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out Malaysian learners do not realize that the usage of Korean case particle is affected by the verb or adjective in the sent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rrors occurred in case particles and postpositions, it showed that Malaysian learners need to pay attention at the case particle existence in the sentence and the fact of ‘nature of verb’ is the selection criteria that affect the usage of case particle. The findings are useful in the Korean education especially to Malaysian Korean learners.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Malaysian learners which could assist them to reduce their error frequency of the Korean case particle and postpositions. This study also could assist to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to the relevant research to be undertaken in the future. However, this study did not analyze the errors based on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of learners, which showed there is limitation(s)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re is further research to be carried out on Korean case particle which could fill in the gaps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