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실-
dc.contributor.author김도연-
dc.creator김도연-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54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54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27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277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626-
dc.description.abstract실내 공간에서 마감재의 색채는 공간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공간 사용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공간에서 색채의 변화에 따른 사람들의 반응을 살펴보는 것은 원하는 공간의 연출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벽과 바닥 마감재가 변화하는 공간 이미지 자극을 통하여 느껴지는 감성을 살펴보고, 공간 스타일 유형별 실내 마감재 색채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벽 마감재는 2가지 명도로 나뉜 6가지 색상(Red, Yellow, Green, Blue, Purple, Gray)의 벽지와 바닥 마감재는 4가지 목재, 1가지 석재를 선정하여 총 60가지 실험 자극을 제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따뜻하다, 부드럽다, 자연스럽다, 편안하다, 쾌적하다’의 6가지 감성 어휘에 대한 반응을 7점 척도로 조사하여 분석하였고, ‘클래식, 모던, 내츄럴, 로맨틱, 캐쥬얼’의 5가지 스타일 유형별 공간 이미지 마감재 색채의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벽 마감재의 색채 변화에 따른 감성을 분석한 결과, ‘따뜻하다’감성은 명도의 구분 없이 Red 색상의 벽지는 따뜻하고, Blue 색상의 벽지는 따뜻하지 않았으며, Yellow 색상의 벽지는 명도 차이에 따른 응답 차이가 가장 컸다. ‘부드럽다’, ‘자연스럽다’, ‘편안하다’의 감성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고, 고명도 Red, Yellow 벽지에서 긍정적인 반응과 저명도의 Red, Purple, Blue 벽지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쾌적하다’는 전체적으로 Blue, Green 색상의 벽지에서 쾌적함을 느꼈고, Yellow 색상의 벽지는 쾌적하지 않다고 느꼈다. 바닥 마감재별 공간 감성은 전체적으로 바닥재 색채의 변화에 따른 감성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바닥재에서 목재와 석재의 재질에 관한 차이가 뚜렷한 편이었다. 전체적으로 목재는 따뜻함, 부드러움, 자연스러움과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석재는 따뜻하지 않으며 쾌적함을 느끼게 하였다. 통계적으로 벽 마감재의 명도에 따른 감성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Test 분석을 진행하였고, 벽 마감재의 명도 차이가 공간 감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간 감성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감성들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연스럽다-편안하다’는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따뜻하다-쾌적하다’는 본 실험에 사용된 감성 어휘 중 상관관계가 가장 낮았다. 스타일 분류 실험은 빈도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스타일별로 분류된 자극의 감성 평가 응답 평균값으로 스타일 유형별 감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클래식 스타일은 저명도의 벽과 바닥 마감재와 연관이 있었으며, 모던 스타일은 벽과 바닥에서 무채색 계열의 주된 사용이 나타났다. 내츄럴 스타일은 자연과 관련이 있는 고명도의 Yellow, Green 색상과 목재 바닥재의 사용이 돋보였고, 로맨틱 스타일은 전체적으로 고명도의 Red, Purple 벽지와 중명도 이상의 바닥재의 사용으로 전체적으로 밝은 분위기였다. 마지막으로 캐쥬얼 스타일은 Blue, Green 색상의 벽지, Brown 목재 바닥재와 연관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모던과 캐쥬얼 스타일에서 벽과 바닥 마감재의 명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클래식과 로맨틱 스타일은 벽과 바닥 마감재의 명도 차이가 작았다. 스타일 유형별 감성 분석 결과, 모던과 캐쥬얼 스타일에서 따뜻하지 않고 쾌적하다는 감성 반응이 높게 나타나 비슷한 감성이 나타났다. 내츄럴과 로맨틱 유형의 감성 반응도 서로 유사했으며, 모든 감성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클래식 유형은 전체적으로 모든 감성에 대하여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실내 공간의 연출에 있어 사용자의 감성 반응을 고려하고, 원하는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한 마감재의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olor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image of the space. I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interior space users. Therefore, investigating people's reactions to changes in color of space is essential for the creation of the interior space. This study looked at the sensibility felt through the spatial image stimulation that the wall and floor finishing color was different and the tendency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interior design style types. The wall finishing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6 hues(Red, Yellow, Green, Blue, Purple, Gray) and 2 different brightness, and the floor finishing materials consisted of 4 woods and 1 stone. So total 60 experimental stimuli are used in this study. Through these stimuli,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nsibility response of “Warm, Soft, Natural, Comfortable and Pleasant” on a 7-point likert scale. And another experiment classifying these stimuli into interior styles was conducted. The interior styles used in this study were“Classic, Modern, Natural, Romantic, and Casual.”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ensibility by the color change of the wall finishing material are as follows. ‘Warm’ - Red color wallpaper is warm and blue color wallpaper is not warm regardless of the brightness. And yellow wallpaper had the biggest difference in response between the low-brighhtness and high-brightness. Response the biggest difference. ‘Soft’, ‘Natural’, and ‘Comfortable’ was not clearly distinguished. There was similar result that high-lightness red, yellow wallpapers have positive responses and low-lightness red, purple and blue wallpapers have negative responses. ‘Pleasant’ - Blue and green wallpaper were pleasant, and yellow wallpaper was not pleasan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patial sensibility by floor finishing materials are as follows.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sensibility by the color change of the floor finishing materials, but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materials of wood and stone. Wood gives a feeling of warmth, softness, naturalness and comfort, while stone is not warm and makes people feel pleasant. T-Test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sensibility by the brightness of the wall finishing materials is statistically different, and the difference in the brightness of wall finishing materials affected the spatial sensibility. Also, there were correlations in all sensibility pairs. There was a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Natural-Comfortable' , and ‘Warm-Pleasant’ had the lowest correlation. The interior style classification experiment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he sensibility of each style was analyzed as the average value of the sensibility response of stimuli classified by style. Classic style was associated with low-lightness wall and floor finishing materials and modern styles showed the use of achromatic color on walls and floors. Natural style mainly used yellow, green colors of high lightness and wood flooring. Romantic style had a bright atmosphere with the use of red and purple wallpaper of high-lightness and medium or higher lightness flooring. And the casual style was related with blue, green-colored wallpaper, and brown wood flooring.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lightness of wall and floor finishing materials in modern and casual style. Classic and romantic styles had a small difference between the lightness of wall and floor finishing materials. Modern and casual styles evoked similar sensibilities reaction that were not warm and pleasant. The sensibilities of natural and romantic were similar, with positive reactions to all sensibilities. Classic style generally had negative reactions to all sensi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create an interior spaces that considers the user's reactions and to select an effective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to create the desired interior space atmosphe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5 A. 실내 공간 구성 요소별 마감재 분류 및 특징 5 1. 실내 공간 구성 요소 5 2. 실내 공간에서 사용되는 마감재 6 3. 벽 마감재의 종류 및 특징 7 4. 바닥 마감재의 종류 및 특징 8 B. 공간 감성 어휘 고찰 10 C. 공간 스타일 유형 고찰 12 Ⅲ. 실내 마감재 색채의 변화에 따른 공간 감성 15 A. 실험 설계 15 1. 실험 대상 15 2. 실험 방법 16 3. 실험 자극물 제작 및 측색 17 4. 실험 결과 분석 방법 21 B. 실험 결과 22 1. 벽과 바닥 마감재 색채의 변화에 따른 감성 분석 22 2. 벽 마감재의 명도 차이에 따른 감성 T-Test 분석 37 3. 공간 감성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38 Ⅳ. 실내 마감재 색채의 변화에 따른 공간 스타일 유형 39 A. 실험 설계 39 1. 실험 대상 39 2. 실험 방법 40 3. 실험 결과 분석 방법 42 B. 실험 결과 43 1. 스타일 유형별 실내 마감재 색채 분석 43 2. 스타일 유형별 공간 감성 분석 51 Ⅴ. 결론 및 논의 56 참고문헌 60 부록 1. 실험 자극 이미지 63 ABSTRACT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0020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실내 마감재 색채의 변화에 따른 공간 감성 및 스타일 유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patial Sensibility and Interior Design Style by Color of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dc.creator.othernameKim, Doyeon-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