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2 Download: 0

이건용 가야금작품 연구

Title
이건용 가야금작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ayageum compositions of Lee Geon-yong : Centered on Solo Songs
Authors
유윤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논문은 작곡가 이건용의 음악적 배경과 가야금 독주곡 7곡의 분석을 통해 이건용 가야금 작품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5현가야금 독주곡 <잎·물·빛> · 25현가야금을 위한 변주곡 <한오백년> · 25현가야금을 위한 <별과 詩 > · 25현가야금을 위한 허튼변주곡 <옹헤야> · 독주 가야금을 위한 <겨울밤, 초를 켜다> · 12현가야금 독주를 위한 <여름 정원에서> · 25현가야금 독주를 위한 <춤>이고, 주제동기와 그 전개방식을 중심으로 선율과 연주법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건용 가야금 독주곡의 음악적 특징을 작곡기법 활용양상과 연주법 활용양상으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곡기법 활용양상은 표제적 요소 전개방식, 변주곡 형식에 나타난 전개방식, 스밈의 표현, 현대음악적 요소의 활용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제적 요소의 전개방식은, 주제동기가 수평적·수직적인 구조, 음향적·선율적인 색채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성격으로 구성되고 교차 혹은 결합하며 나타난다. <잎·물·빛>에서는 악장별로 대비되어 나타나고, <별과 시>에서는 교차하여 나타나던 두 동기가 악곡의 후반부로 가면서 결합하며, <겨울밤 초를 켜다>, <여름 정원에서> 그리고 <춤>에서는 악곡의 중반부에서 표제적 요소가 서로 결합하는 양상을 보였다. 변주곡 형식인 <한오백년>과 <옹헤야>는 수평적인 선에서 수직적인 면으로의 선율진행을 보였고, 긴장과 이완으로 인한 기경결해적 흐름으로 전개되었다. 또한 다양한 변주선율과 각 악곡 안에서 발전된 주법들이 결합하였는데, 전통주법은 미분음의 독특한 음색을 발현시켰고 창작주법과 혼합주법은 유연하고 화려한 흐름, 풍부한 음향 효과를 이루었다. ‘스밈’의 표현에서는, 작곡자는 작품에 ‘스밈’이라는 주제를 반영하고자 하였고 그 표현적 요소로 잔잔한 악상에 의한 절제된 셈여림을 사용하였다. 또한 극적인 변화를 회피하여 점진적으로 리듬을 변화시키고, 붙임줄에 의한 당김음과 셋잇단음표를 활용하여 강박을 벗어나는 비(非)박절적 선율로 스며드는 음악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다악(茶樂)인 <잎물빛>, <별과 시>, <겨울밤 초를 켜다>, 그리고 <여름 정원에서>에서 나타났다. 현대음악적 요소의 특징으로 조현법을 활용한 무조적 선율, 자연배음을 활용한 화성구조, 반음계 활용, 창작주법의 활용이 나타난다. 총 7곡의 독주곡 중 <한오백년>을 제외한 6곡에서 단2도나 증2도를 포함한 조현법에 의해 무조적인 선율이 도출되었다. <별과 시>, <옹헤야>, <춤>에서 이명동음, 반음계에 의한 변화음이 포함된 선율이 다수 출현하였으며, 특히 <옹헤야>에는 자연배음을 차용한 화성이 악곡의 중심을 이루었다. 또한 이러한 요소들은 이어뜯기·동시화음·글리산도·트레몰로 등의 창작주법으로 연주되었는데, 작곡자가 전통선율적인 흐름이나 3화음 전개를 탈피하기 위하여 다양한 현대음악적 요소를 활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전통과 현대음악 요소의 결합으로는 <한오백년>에서 화성적 전개와 시김새가 결합한 선율이나, <겨울밤 초를 켜다>에서 반음계적 선율 중에 눌러내기 주법으로 연주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연주법 활용양상은 전통주법, 창작주법, 혼합주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전통주법은 단선율과 화성진행이 교차할 때 시김새에 의한 전통적인 선율감을 연튕김, 집기, 뒤집기, 농현, 전성, 눌러내기 주법으로 강조하였고 이는 <잎물빛>, <별과 시>, <옹헤야>, <춤>에서 나타났다. 또한 전통성악인 민요를 기악화하여 작곡된 <옹헤야>와 <한오백년>에서는 각 민요가 갖고 있는 신명과 처량함을 표현하였고 <여름 정원에서>에는 정가선율을 가야금의 전통주법으로 유사하게 표현하였다. 총 5곡의 표제음악에 나타난 표제적 대상 ‘잎, 시, 초(불빛), 정가, 춤’의 정적인 표현을 위해 눌러내기, 추성, 농현 등을 사용했고 이로 인해 매끄럽고 유연하게 연결하는 효과를 냈다. 전통주법의 활용도는 최소 6종류에서 최대 14종류가 사용되었고 산조가야금 편성인 <여름 정원에서>에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창작주법은 변주곡 <한오백년>, <옹헤야>에서 리듬 세분화에 의한 리듬의 변주를 동시화음, 뜯기와 이어뜯기, 글리산도 등의 다양한 주법으로 표현하였고 <잎물빛>, <춤>에서 현대적인 음악어법인 반음계적 선율이 진행될 때 이어뜯기, 글리산도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악곡에서 ‘물, 빛, 별, 여름의 약동, 강인한 춤’을 나타내는 표제적 요소의 동적인 표현을 위해 이어뜯기, 동시화음, 교차화음, 트레몰로 등의 다양한 창작주법이 활용되었다. 창작주법의 활용도는 최소 5종류에서 최대 9종류로 <잎·물·빛>, <옹헤야>, <춤>에서 총 9종류의 주법이 출현하였다. 혼합주법 중 농현과 동시화음, 연튕김과 동시화음, 농현과 이어뜯기는 각각 <잎물빛>, <한오백년>, <옹헤야>, <춤>에서 단선율과 화성이 함께 진행될 때 대비되는 선율을 강조하는 기능을 하였고, <옹헤야>, <춤>, <여름 정원에서>는 동시화음과 스타카토 주법을 사용하여 장단을 변용한 선율 · 장구의 다스름과 맺는 타법 등의 타악적 음색을 효과적으로 나타냈다. 혼합주법의 활용도는 총 6종류이고 <춤>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으로 이건용 가야금 독주곡 총 7곡의 분석을 통해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건용 가야금 작품은 시김새 활용 · 장단의 활용 · 전통음악의 음계 활용 · 시조 활용으로 전통적인 어법을 표현하였으며 화성적 진행 · 무조적인 선율 · 반음계 진행의 현대적인 어법이 활용되며 어법 간의 결합을 통해 가야금 음악어법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건용의 가야금작품 연구는 국악 및 서양음악 작곡가들에게 가야금 창작음악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연주자들의 악곡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는 이건용의 작품세계 연구와 가야금의 창작음악 연구에 활용될 것이라 보며 이건용의 국악작품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7 Lee Geon-yong's gayageum solo songs and, based on this, attempted to examin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Lee Geon-yong’s gayageum works. Study targets were 25 strings gayageum solo · variation for 25 strings gayageum · 25 strings gayageum · 25 strings gayageum silly variation · solo gayageum · 12 strings gayageum solo · 25 strings gayageum solo , and the melody and technique were thoroughly analyzed centered on the subject, motive and the unfolding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song, musical characteristics of Lee Geon-yong’s gayageum works were comprehensively contemplated, and the results of the appeared usage aspect of song writing and technique are as follows. The way of using composition technique was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the title element, the development method in the form of the variation, Permeating expression of music, and the use of contemporary musical elements, and they are as follows. The title element development method is divided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melodies, and acoustic and melodic colors in which the title elements of the title music have different theme motives, and each element appears contrasted in , and in , this contrast crosses as it goes to the second half of the piece, and in and , in the middle of the works, the title elements showed the aspect of being combined. The variations forms and showed the progression of the melody from a horizontal line to a vertical plane, and developed as a decision making flow of dynamism due to tension and relaxation. In addition, by combining various melodies of variation and the techniques developed in each piece of music, the unique tone of the differential sound that appears in traditional music was expressed, which showed a flexible and colorful flow and rich sound effect. Permeating in the expression of music, the composer tried to reflect the subject of Permeating expression in his work and used the restrained dynamics by calm melodic subject as an expressive elemen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gradual rhythm change without dramatic change in rhythm, pulling and connecting strings by attaching strings, and triple-stage notes were used to express permeating with a non-seating melody that avoids compulsion. These features were shown in tea musics, , , and . Th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music is that out of a total of 7 solo songs, a total of 6 pieces excluding were derived from a toneless melody by the tuning system including the minor 2nd or the augmented 2nd level. In addition, in , and , a number of melodies including the changing sound by enharmonic and chromatic scales appeared, and especially in , the harmony of natural overtones became the center of the music. This is a composer's use of various elements of modern music to escape the development of triads in Korean classical music, these elements were played in creative techniques such as tearing, synchronic chords, glissando, tremolo, etc., and it appeared in common in a total of 7 solo songs. The combination of elements of traditional and modern music was shown as a melody of harmony and short melody in , and in , as a combination of chromatic melody and pressing technique. Traditional, creative, and mixed playing techniques were used for the use of playing techniques, which are as follows. In traditional technique, in , , and , when the monophonic rhythm and harmony progress intersect, the traditional melody of the short melody is emphasized by repeat, picking up, flipping, shaken harmony, Jeon-seong and pressing technique. In addition, and , which were instrumentalized and composed of folk songs, which are traditional vocal music, express the deity and despair of each folk song, and in , gayageum similarly expressed the Jeong-ga melody in the traditional technique. Pressing, pressed high tone and shaken harmony were used for static expression of the title objects 'Leaf, Poetry, Candle (Light), Jeong-ga, Dance', which appeared in a total of 5 title music, and this resulted in a smooth and flexible connection effect. At least 6 types and up to 14 types of traditional techniques were used, and the weight was the highest in organized by sanjo gayageum. As for the creative technique, variations of the rhythm by rhythm subdivision were presented in the variations and with various techniques such as simultaneous chord, tearing, splitting and glissando, and in and , when the chromatic melody, which is a modern musical language, was in progress, the splitting and glissando were shown. For the dynamic expression of the title elements representing “water, light, stars, summer dynamism, and strong dance,” in each piece, various creative techniques such as slicing, simultaneous chord, cross chord, and tremolo were used. The utilization of creative techniques appeared by at least 5 to 9 types, and a total of 9 techniques appeared in , and . Among mixed techniques, shaken harmony and synchronic chords, repeated strum and synchronic chords and shaken harmony and splicing had function of emphasizing contrasted melody when monophonic and harmony proceed together in , , , and , respectively. It has a function of emphasizing the melody, and , and used the simultaneous chord and staccato technique to effectively show percussive tones such as the melody that changed the rhythm and the running and stopping technique of the Jang-gu. There are 6 types of utilization of the mixed playing method, and it was most often found in . As mentioned abov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his work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a total of 7 solo songs by Lee Geon-yong’s gayageum. Lee Geon-yong gayageum's work expresses traditional language by utilizing short melody, rhythm and musical scales of traditional music and Si-jo, harmonic progression · atonement melody · chromatic progression of modern phraseology were utilized, and through the combination of vocabulary, the gayageum musical vocabulary has shown the infinite possibilities. This study of Lee Geon-yong's gayageum work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direction for the original gayageum music to composers of Korean and Western music, and to help musicians understand and effectively perform music. In addition, this study will be used for the study of Lee Geon-yong's world of work and the study of gayageum's creative music, and I hope that follow-up study on Lee Geon-yong’s traditional musical work continu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