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한국 현대 상례 복식의 연원에 관한 연구
- Other Titles
- A Study of the Origin of Contemporary Korean Mourning
- Authors
- 배민경
- Issue Date
- 2021
- Department/Major
-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홍나영
- Abstract
- This study is about the origin of contemporary korean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 and verify the opinion of the public that there are remnants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m from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through the present, 2020. In addition, under the premise that there may be Western impacts on today’s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Western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 and inquired into the modernization of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 of China and Japan historically close relationships with Korea. This study referred to the literature, painting, and photographic materials of the relevant period. The detai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West, black color was considered the color of death from long ago. In the late 19th century, there was a culture of putting a mourning ribbon (Sangjang) on the arm and chest as well as black mourning costume. This culture of mourning ribbon came to enter China and Japan and then Korea.
In China that opened its port in 1840, Western civilization came in earnest in 1862, and the story about the spread of a Western-style mourning ribbon appeared in the literature in 1876. Since then, until now, the Chinese people wear ordinary costume instead of mourning costume and put on the Western-style mourning ribbon. And yet, this has changed by inscribing the letter, “孝” meaning filial piety on black mourning armband (Wanjang) or hanging little round red and blue balls of fluff to indic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Japan opened its port in 1854 and introduced Western-style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 for the first time in 1878. In the Decree for the Mourning of the Imperial House [皇室服喪令] stipulated in 1911, the Western-style mourning ribbon in the form of tying or attaching a butterfly-shaped mourning ribbon made with black cloth concretely appeared. The Japanese people still use the Western-style mourning accessories, and they use a black armband and white flower on the chest,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at the time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As mourning costume, most wear suits, but women often wear mourning costume in which patterns of white Kamon inscribed on five spots of black Kimono, that is, Mofuku(もふく).
In Korea that opened its port in 1876, military officers appeared, who seem to put on Western-style uniform and attach a black cloth on their left arm, instead of traditional mourning costume for the first time at Empress Sinjeong’s State Funeral in 1890. Also, starting with Mugwan-pyosangsik (“Formalities for the Uniforms of Military Officers at Funeral in Table”) declared in 1895, a Western-style mourning accessories officially appear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Japanese imperialism affected several norms related to the funeral. In addition, in the same period, with the influx of Western religion, there was a change in Korean funeral culture. Consequently, both Western countries and Imperial Japan asked the Korean people to put on a mourning accessories instead of the traditional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 and the Korean people showed a transitional reaction in this situation, e.g. They used the traditional mourning costume in parallel with the Western-style mourning costume and mourning accessories. After liberation, Korea kept trying to simplify the funeral rite and reduce empty formalities and vanity, and from 1973 through 1998, wearing Gulgeonjebok was prohibited by law. In addition, with industrialization, the Korean people’s perception of funeral culture changed, and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 also changed with the progress of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funeral.
From the fact that white mourning armband began appearing on photographic materials in the early 1900s in contemporary Korean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 black mourning armband came from Western countries, but white mourning armband was also used since there was a culture that considered white as a traditional color of mourning in Korea. Since the 1980s, to show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black stripes began to be added to the white mourning armband, and the culture of Korean-style mourning armband was settled. This is a different shape from the culture of mourning armband in China and Japan. In addition, chest crape is also similar to that in Western countries, and yet, in modern times,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is sometimes written on the chest crape, the mourning ribbon is also used as a means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in addition to mourning.
Black Hanbok worn by women began appearing in the mid-20th century, and at first, they wore it with the influence of a religion, and the recent universalized one was affected by funeral service companies and caused by the comfort of black than white and a change in the people’s perception of the funeral.
As a result of the above examination, there is nothing that can be called the remnants of Japanese imperialism in contemporary Korean mourning costume. As modern people’s costume changed with modernization,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 too, changed with the flow of the times. Hopefully, there will be a change in the people’s perception that there are remnants of Japanese imperialism in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 and this study will help following studies of the South Korean mourning costume and accessories.;본 연구는 한국의 현대 상례 복식의 연원에 대해 고찰해보고, 현대 상례 복식이 변해가는 과정을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오늘날의 상례 복식에 서구의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서구의 상례 복식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중국과 일본의 상례 복식의 근대화 모습도 살펴보았다. 1876년 개항 후부터 2020년 현재까지를 대상으로 각 시기의 문헌, 회화, 사진 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양에서는 오래전부터 검은색을 죽음의 색으로 여겼다. 19세기 말에는 검은색 상복뿐만 아니라 팔과 가슴에 상장(喪章)을 다는 문화가 있었다. 이러한 상장 문화는 중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에 차례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1840년에 개항한 중국은 1862년에 본격적으로 서구문물이 들어오기 시작하는데, 1876년 문헌 속에 서구식 상장의 보급화에 관한 이야기가 등장하였다. 이후 중국은 현대까지도 상복 대신 평상복을 입고 서구식 상장을 다는 형태가 되었다. 다만 검은 완장에 효(孝) 글자를 새기거나 붉은색, 푸른색 방울을 달아 망자와의 관계를 표시하기도 하면서 변화하였다.
일본은 1854년에 개항하여 1878년에 처음으로 서구식 근대 상례 복식을 도입하였다. 1911년 규정된 「황실복상령(皇室服喪令)」에서 나비 모양의 상장, 흑포를 팔에 묶거나 부착하는 형태의 서구식 상장이 구체적으로 등장하였다. 현대의 일본에서도 여전히 서구식 상장이 사용되고 있는데, 처음 들어왔을 때와 큰 차이 없이 검은색 완장을 차고 가슴에는 흰 꽃을 사용한다. 상복으로는 대부분 양복을 입지만 여성들은 검은색 기모노에 흰색 가문의 문양이 다섯 군데 새겨진 상복을 입기도 한다.
1876년에 개항한 한국은 1890년 신정왕후의 국장에서 처음으로 전통 상복이 아닌 서구식 제복을 입고 왼팔에 흑포(黑布)를 부착한 것으로 보이는 무관이 등장하였다. 또한, 1895년에 반포된 「무관표상식(武官表喪式)」을 시작으로 서구식 상장이 공식적으로 등장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장례 관련한 여러 규범들에 일제의 영향이 작용하였다. 또한, 같은 시기 서구 종교의 유입으로 한국의 장례문화에는 변화가 생겼다. 결과적으로 서구와 일제 모두 전통 상례 복식 대신 상장 착용을 하도록 하였고, 한국인들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통 상복과 서구식 상복 및 상장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등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였다. 해방 후 한국은 계속해서 상례의 간소화 및 허례허식을 줄이려고 하였는데, 1973년부터 1998년까지는 법적으로 굴건제복 착용을 금지하기도 하였다. 또한 산업화에 따라 한국인들의 장례문화에 대한 변화와 장례의 상업화가 진행되며 상례 복식도 변화해갔다.
한국의 현대 상례 복식 중 흰색 완장은 1900년대 초부터 사진 자료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서구에서 검은색 완장이 들어왔지만, 한국은 흰색을 전통 상(喪)의 색으로 여겼던 문화가 그대로 남아 흰색 완장도 혼용해서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 1980년대부터는 망자와의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흰색 완장에 검은색 줄을 더하기 시작하여 새로운 한국식의 상장 문화가 정착되었다. 이는 중국과 일본의 현대 상장 문화와 다른 형태이다. 가슴 상장 역시 서구와 유사하지만 현대에는 가슴 상장에 망자와의 관계를 적어, 상장을 애도 이외에도 망자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 사용하기도 한다.
여성들이 입는 검은색 한복은 20세기 중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처음엔 종교의 영향으로 입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보편화된 것은 때가 잘 타는 흰색의 불편함을 느낀 유족들과 상복을 대여를 하려는 상조회사 등의 영향으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제작 단가를 줄이기 위해 저렴한 소재를 사용하여 흰색 한복의 단점이 강조되고, 미관상 아름답지도 편안하지도 않게 되었다. 이에 흰색 대신 검은색, 전통 한복 대신 개량 한복을 찾게 된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 한국 상례 복식은 개항 후 일제시기에 서구화의 과정 속에서 제도적,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변화하였으며, 근대화에 따라 현대 사람들의 옷이 변한 것처럼 상례 복식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해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한국의 상례 복식에 관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