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재해·재난 관련 국가별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재해·재난과 안전’ 단원의 교과서 내용 분석

Title
재해·재난 관련 국가별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재해·재난과 안전’ 단원의 교과서 내용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Foreign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Korean Science Textbooks Regarding Hazards and Disasters
Authors
강주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현주
Abstract
최근 우리나라와 전 세계에 발생하는 재해·재난의 빈도가 점점 증가하면서 이를 대비하기 위한 재해·재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에서는 과학교육과정을 통해 재해·재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과학과 교육과정에 ‘재해·재난과 안전’ 단원이 신설되면서 재해·재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해·재난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미국, 호주, 캐나다 과학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재해·재난과 관련하여 어떠한 내용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2 ‘재해·재난과 안전’ 단원의 교과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재해·재난 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해서 함께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미국, 호주, 캐나다(온타리오)의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재해·재난 관련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가별 재해·재난 관련 성취기준 내용은 재해·재난 종류별과 학교급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재해·재난 관련 성취기준 기능은 미국연구회의 차세대과학기준에서 제시한 8가지 과학적 실천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5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각 교과서 내 본문과 탐구 활동을 분석하였다. 각 교과서 내용은 재해·재난 종류별로 분석하였으며 탐구활동은 탐구 활동 유형, 과학과 핵심역량, 8가지 과학적 실천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에 비해 미국, 호주, 캐나다의 성취기준 내용은 재해·재난과 관련된 구체적인 예시가 함께 제시되며 우리나라보다 성취기준 내용이 보다 자세하였다. 성취기준에 제시된 기능의 경우 국가별로 강조하는 활동에 차이가 있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재해·재난과 안전’단원을 분석한 결과 재해·재난 종류별 빈도의 차이가 있었고 재해·재난 종류별 대처 방안의 관점에도 차이가 있었다. 교과서 내 탐구 활동의 경우 재해·재난의 사례를 조사하는 활동, 재해·재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처 방안을 토의하는 활동, 감염성 질병의 전파 경로를 탐구하는 활동이 포함되어 있었다.;In recent years, as the frequency of disasters occurring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is increasing, the need for disaster education has emerged. Accordingly, in some foreign countries, hazard and disaster educ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science curriculum. In Korea, 'Disaster, hazard and safety' unit was newly established in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Canada (ON), where disaster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examines what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relation to disaster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in the unit entitled 'Disaster, hazard and safety', we tri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disaster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disasters presented in science curriculum in Korea,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Canada(Ontario). disaster-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by country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m by disaster type and school level, and the functions of disaster-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based on the eight scientific practices suggested in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In additio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selected as targets for analysis, and the text and inquiry activities in each textbook were analyzed. Contents of each textbook were analyzed by type of disaster, and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based on inquiry activity type, science core competency, and eight scientific practic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tent of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Canada compared to Korea is presented with specific examples related to disasters, and the cont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more detailed than that of Korea. In the case of the skills presented in the achievement criteria,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ctivities emphasized by country.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hazard and safety' unit of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showed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disaster type, and the perspectives of countermeasures for each disaster type. In the case of inquiry activities in textbooks, activities to investigate cases of disasters, activities to discuss countermeasures to reduce damages from disasters, and activities to explore transmission routes of infectious diseases were inclu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