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미혜-
dc.contributor.author하은경-
dc.creator하은경-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49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49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4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46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603-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Focus on Form(FonF) method-input enhancement for teaching of Korean expressions of conjecture and to fin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experimental classes were conducted in designed actual classrooms. As a result, the effect of Focus on Form method-input enhancement for teaching of Korean expressions of conjecture was verified. To this end, the expression of conjecture ‘-(으)ㄴ/는 것 같다’ was selected as target grammar and visual input enhancement(textual enhancement) was selected as FonF teaching method. As the type of visual input enhancement it was selected to write target grammar in red color. The experimental classes were conducted in two teaching methods. The one was a task-based class based on FonF method-input enhancement and developed explicit grammatical explanation for the effective learning of the expression of conjecture ‘-(으)ㄴ/는 것 같다’. The other class was used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cused on grammatical rule based on Focus on Forms(FonFs). And also in this class explicit grammatical explanations were presented but input enhancement was not used. For the experimental classes three groups were selected. Two groups didn't learn the target grammar as first–degree level and the other group learned it as second-dgree level. To two groups which didnt learn target grammar were used different teaching methods and input processing for verifying the effect of input enhancement. First group had a grammatical rule-based teaching class with non input enhancement data based on FonFs and was developed the explicit grammatical explanation in language which learners can understand. Second group was presented visual input enhancement data which target grammer was written in red color and had a task-based teaching class based on FonF and was developed the explicit grammatical explanation in target language. Third group which already learned the target grammar had a task-based teaching class with visual input enhancement data based on FonF in order to experiment with the effect of input enhancement on learning target grammar. To tes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classes, each group performed a pre-evaluation before the experimental class and a post-evaluation after the experimental class to score the results,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he SPSS 27 program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after the experimental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quantitative analysis on differences in teaching methods for teaching of the expression of conjecture was shown that both FonFs teaching method with non input enhancement and FonF teaching method with input enhancement have a positive effect in teaching of the expression of conjecture. However, FonFs teaching method with non input enhancement is a little more effective than FonF teaching method with input enhancement but the difference of the results was not significant. Second, quantitative analysis on learning the target grammar was shown positive result that FonF teaching method with input enhancement was effective for the group which learned the target grammar. Third,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surveys was shown that visual input enhancement which target grammer was written in red color have a positive effect on grammar learning. Thus, FonF method-input enhanc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xpressions of conjecture and also is effective for both the group which learned the target grammar and the group which didn't learn it.;본 연구에서는 추측 표현 교수를 위한 의미 중심 형태 교수(FonF)의 입력 강화의 효과를 검정하고 추측 표현 교수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제 교실 수업을 설계하고 실험 수업을 실시하여 추측 표현 교수에 대한 의미 중심 형태 교수의 입력 강화 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목표 문법으로 추측 표현 ‘-(으)ㄴ/-는 것 같다’를 선정하고 목표 항목의 활자를 빨간색으로 조작하는 시각적 입력 강화 기법을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추측 표현 ‘-(으)ㄴ/-는 것 같다’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 입력이 강화되고 과제를 기반으로 하여 명시적인 문법 설명이 제시되는 형태에 초점을 둔 의미 중심 형태 교수 수업과 입력이 강화되지 않고 규칙 중심의 명시적인 문법 설명이 제시되는 형태 중심 교수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 도구를 개발하여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대상으로는 목표 항목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비선수 학습 집단으로 초급 단계의 두 집단과 이미 목표 항목을 학습한 선수 학습 집단인 중급 단계의 한 집단으로 모두 세 집단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목표 항목을 학습하지 않은 비선수 학습 집단인 초급 단계의 두 집단에 대해 교수법과 입력 처리를 달리하여 입력 강화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 집단에게는 입력이 강화되지 않은 자료를 제시하고 학습자가 이해 가능한 언어로 규칙 중심의 문법 설명을 명시적으로 주어지는 형태 중심 교수 수업을 실시하고, 두 번째 집단에게는 목표 문법 항목의 활자 색깔을 조작한 시각적 입력 강화 자료를 제공하고 과제 활동을 기반으로 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목표 언어로 명시적인 문법 설명을 제시하는 의미 중심 형태 교수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목표 항목에 대한 선수 학습에 따른 입력 강화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목표 항목을 이미 학습한 중급 단계 집단을 대상으로 입력이 강화된 의미 중심 형태 교수 수업을 실시하여 입력 강화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실험 수업의 결과를 검정하기 위해 각 집단은 실험 수업하기 전에 사전 평가를 실시하고 실험 수업 후에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점수화하여 SPSS 27 프로그램을 통한 양적 분석과 실험 수업 후에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측 표현 교수에 대한 교수법의 차이에 따른 양적 분석에서는 입력을 강화하지 않은 형태 중심 교수와 입력을 강화한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모두 추측 표현 교수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입력을 강화하지 않은 형태 중심 교수가 입력을 강화한 의미 중심 형태 교수보다 약간의 차이로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추측 표현 교수에 대한 선수 학습에 따른 양적 분석에서는 입력을 강화한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목표 항목에 대한 선수 학습한 집단에게도 효과적이라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한 질적 분석에서는 목표 항목의 활자를 빨간색으로 조작한 시각적 입력 강화가 문법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적 입력 강화로 문법에 초점을 둔 의미 중심 형태 교수의 입력 강화가 추측 표현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입력이 강화된 의미 중심 형태 교수가 목표 항목을 학습한 선수 학습 집단과 학습하지 않은 비선수 학습 집단 모두에게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 7 C. 연구 과정 9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고찰 12 A. 언어 교육에서의 문법 교수의 흐름 12 B. 의미 중심 형태 교수법 14 1. 의미 중심 형태 교수법의 등장 배경 14 2. 의미 중심 형태 교수법의 정의 16 3. 의미 중심 형태 교수법의 기법 19 4. 한국어 교육에서의 의미 중심 형태 교수에 대한 연구 22 C. 제2 언어 습득에서의 입력 24 1. 입력과 상호작용 24 2. 입력과 입력 처리 25 D. 의미 중심 형태 교수법의 입력 강화 27 1. 입력 강화의 특징 27 2. 시각적 입력 강화의 효과 31 3. 한국어 교육에서의 입력 강화에 대한 연구 35 Ⅲ. 입력 강화를 활용한 수업 설계 41 A. 추측 표현 교수를 위한 수업 설계 41 1. 한국어 교육에서의 추측 표현 연구 41 2. 추측 표현의 개념 및 목표 항목 선정 47 3. 추측 표현 교수를 위한 수업 모형 설계 53 B. 추측 표현 교수를 위한 수업 구성 방안 56 1. 추측 표현을 위한 수업 자료 및 입력 강화 유형 57 2. 추측 표현을 위한 형태 중심 교수의 수업 방안 65 2.1. 도입 단계 66 2.2. 제시(설명) 단계 67 2.3. 연습 단계 68 2.4. 정리(확인) 단계 71 3. 추측 표현을 위한 의미 중심 형태 교수의 수업 방안 71 3.1. 도입 단계 73 3.2. 과제 활동 단계 73 3.3. 제시(설명) 단계 76 3.4. 연습 단계 81 3.5. 연습 후 과제 활동 단계 83 3.6. 정리(확인) 단계 84 Ⅳ. 실험 방법과 절차 84 A. 실험 참여자 85 B. 실험 절차 88 1. 사전 평가 90 2. 실험 수업 92 3. 사후 평가 95 4. 설문조사 97 Ⅴ. 연구 결과 분석 99 A. 추측 표현 교수에 대한 교수법의 차이에 따른 결과 분석 99 B. 추측 표현 교수에 대한 선수 학습에 따른 결과 분석 104 C. 설문 조사 결과 분석 107 1. 수업 내용의 이해도와 난이도 107 2. 수업 내용의 적절성과 용이성 109 3. 수업 내용에 대한 흥미 110 4. 수업 내용을 통한 한국어 능력 향상 및 만족도 112 5. 입력 강화의 효과 115 D. 목표 문법의 유창성과 정확성에 미친 효과 116 Ⅵ. 결론 및 제언 117 A. 결론 및 시사점 117 B. 연구의 제한점 121 참고문헌 122 부록 1. 실험참여자 정보 제공 동의서 설문지 129 부록 2. 사전 평가지 131 부록 3. 사후 평가지 133 부록 4. 설문지 135 부록 5. 물건 구매하기 과제 활동지 138 부록 6. 물건 교환하기 과제 활동지 139 부록 7. 시각적 입력 강화 문법 형태 연습지 140 부록 8. 시각적 입력 강화 문장 만들기 연습지 141 부록 9. 대화문 만들기 연습지 142 부록 10. 문법 형태 입력 강화 자료①, ②, ③, ④ 143 부록 11. 문법 형태 입력 강화 자료⑤, ⑥ & 불규칙 형태 변화 입력 강화 자료 ①, ② 144 부록 12. 대화문 입력 강화 자료 145 부록 13. 문법 형태 연습지 146 부록 14 문장 만들기 연습지 147 부록 15. 문장 생성하기& 대화문 만들기 연습지 148 Abstract 1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157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의미 중심 형태 교수의 입력 강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추측 표현 ‘-(으)ㄴ/-는 것 같다’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Korean Grammar Teaching based on Focus on Form method-Input Enhancement : focusing on expression of conjecture ‘-(으)ㄴ/는 것 같다’-
dc.creator.othernameHa, Eunkyeong-
dc.format.pagex, 1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