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배현아-
dc.contributor.author함은혜-
dc.creator함은혜-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48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48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4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47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600-
dc.description.abstract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 growing demand to utilize personal information, as its core resource. In response to such demands, Korea introduced the concept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through the passage of the three data-related bills and introduced special regulations on the processing of pseudonymised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a risk that special regulations on the processing of pseudonymized information will be applied to health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statistical purposes and scientific research purposes for processing pseudonymized information is ambiguous, potentially causing abusing health information.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difficulties in guarantee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here are several articles in Korea's legal system related to health care designed to guarantee the self-determination right to personal health information. However, as the passage of the three data-related bills breaks the balance between the power to utiliz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and the power of the data subject, the effectiveness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s decreasing. In particular, since health information is considered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 significantly violate an individual's privacy, it is necessary to substantially guarante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health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on how self-determination rights to personal health information should be understood and guaranteed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appropriate in Korea to understand and guarantee the rights to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health information based on the theory of liberty by John Stuart Mill. The self-determination rights to personal health information should be guaranteed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harm others, including doctors who have some degree of right to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addition, individuals should be guaranteed to exercise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standards, as each person has a variety of criteria to exercise control over the disclosure and use of their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s meaningful that it can serve as a mechanism for realizing liberty. Thus, our legislation should be improved in a way that substantially guarantee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health information.;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그 핵심자원인 정보를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데이터 3법 개정을 통해 가명정보 개념을 도입하고 가명정보의 처리에 관한 특례 규정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가명정보의 처리에 관한 특례가 건강에 관한 정보에 그대로 적용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가명정보의 처리 목적인 통계작성 및 과학적 연구에 대한 정의가 모호하여 건강에 관한 정보가 오남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보장에 어려움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보건의료 법체계에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자 마련된 여러 조항이 있다. 그러나 데이터 3법 개정으로 개인정보를 활용하고자 하는 힘과 정보 주체 간의 힘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실효성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건강에 관한 정보는 개인의 사생활을 현저히 침해할 수 있는 민감정보이므로 건강에 관한 정보에 대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실질적으로 보장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어떻게 이해하고 보장해야 하는지에 관해 합의된 바가 없다. 이에 대해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는 밀의 자유 이론에 근거하여 건강에 관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이해하고 보장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건강에 관한 정보에 대해 일정 정도 권리를 갖는 의료인을 비롯하여 타자에게 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해야 한다. 또한, 사람마다 정보의 공개와 이용에 있어 통제력을 행사하고자 하는 기준이 다양하기 때문에, 개인이 자신의 기준에 따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개인의 자유를 실현하는 기제가 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법제는 건강에 관한 정보에 대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개념 4 A.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개념 4 1.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정의 4 2.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대상 정보 11 가. 개인정보 11 나. 건강에 관한 정보 14 B. 해외 국가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인정 배경과 근거 18 1. 독일의 정보자기결정권 18 2. 미국의 프라이버시권 23 3.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독일과 미국의 관점 차이 33 C. 소결 35 Ⅲ. 보건의료 법체계에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 36 A. 보건의료정보 보호 법제 37 B. 정보 처리의 근거로서 동의 관련 법제 45 C. 정보 열람 관련 법제 53 D. 정보 정정 관련 법제 56 E. 정보 삭제 관련 법제 57 F. 소결 59 Ⅳ.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제한과 한계 60 A.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제도적 실현의 한계 60 B.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제한 근거 77 1. 헌법상 기본권의 제한 근거 77 2. 진료정보 교류를 위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제한 81 3. 공중 보건상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제한 84 C. 건강에 관한 정보의 특수성으로 인한 권리 행사의 한계 88 1. 의료정보에 대한 의료인의 권리 88 2. 개인의 의료정보 이해능력 93 D. 소결 96 Ⅴ.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한계 극복과 실질적 보장 97 A.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실질적 보장에 대한 요구 97 1. 의료서비스 소비자 중심의 건강에 관한 정보 활용의 필요성 98 2. 개인의 자기 건강 관리 주체로서 정보 활용 100 B. 밀의 자유 개념으로 본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의의 104 C. 소결 113 Ⅵ. 결론 115 참고문헌 118 ABSTRACT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30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의의와 한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건강에 관한 정보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 Based on the decision on health information-
dc.creator.othernameHam, Eunhye-
dc.format.pageiv,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