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석향 | - |
dc.contributor.author | 윤주현 | - |
dc.creator | 윤주현 | - |
dc.date.accessioned | 2021-01-28T16:31:38Z | - |
dc.date.available | 2021-01-28T16:31:38Z | - |
dc.date.issued | 2021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173628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628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552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media framing theory that the media not only composes reality in a special way through reporting according to the frame, but also affects the perception of reality of reporting recipients. Through this base,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related reports and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To this end, targeting articles on life in North Korea reported by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for 10 years from September 27, 2010 to September 26, 2020, in which Kim Jong-un was given the title of the People's Army commander and was designated as a de facto successor, the report volume, report type, information source type, report attitude, and report content a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this analysis, how each media reports on the lives of North Koreans, and what kinds of reports differ according to media with different ideological tendencies are explained. As a result, there were actu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ports of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on the lives of North Koreans. Firs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overage between the two media. Despite the results collec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260 articles were collected in the 「Chosun Ilbo」, while 35 articles were collected in the 「Hankyoreh」. This shows that the 「Chosun Ilbo」 has a higher degree of interest in the lives of North Koreans than the 「Hankyoreh」. Second,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format of reportage articles used by media. Both media reported the most straight articles, but the other results were very different. In the case of the 「Chosun Ilbo」, the frequency of use of editorial·contribution·column articles containing report producers' commentary and prospects, claims, and explanatory articles was higher than that of straight articles. In addition to these three types of articles, interviews, discussions, short stories, and other article types were also used to report on the lives of North Koreans repeatedly and in various way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ankyoreh」, more than half of the reports were straight articles focused on conveying the facts, and there were no reports in the form of interviews and discussion articles, short stories, and other articles. Third,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used by media. the「Chosun Ilbo」 used ‘anonymous sources’ most frequently, followed by ‘real-names of North Korean defectors’, whereas 「Hankyoreh」 used ‘real-name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institutes and experts in North Korea’ most frequently, followed by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North Korean media’.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be examined in reporting to North Korea. Considering the case where there were many misinformation through anonymous sources in the report on North Korea, the frequent use of anonymous sources is a reporting behavior which should be avoided.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reporting on the lives of North Koreans by media.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reporting attitude index of the two media, a total of -79 points for the 「Chosun Ilbo」 and a total of 6 points for the 「Hankyoreh」 showed 85 points difference in the absolute value of the index between the media. This indicates that the reporting attitude of the 「Chosun Ilbo」 was very negative, while the reporting attitude of the 「Hankyoreh」 was somewhat positive,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is factor is compared with a previous study showing that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 ideological disposition of the media, all of the reporting attitudes were negative. This is a contrasting result.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reports related to the lives of North Koreans by media, it was discovered that the two media were reporting on the same issue with different emphasis. When comparing the economic life stories of North Koreans, which have been reported the most by both media, 「Hankyoreh」 reports on the change of culture according to the higher level of economic living than before by revitalizing the North Korean market, while 「Chosun Ilbo」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change in North Korean economic life started with food shortages and the collapse of the distribution system, and that the residents are suffering from corruption and sex crimes occurring in the marketplace. That is a different emphasis on the same subject.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show that there is actually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media in the report of the life of North Koreans. For the past 10 years, the 「Chosun Ilbo」 has negatively reported the life of North Koreans, whereas the 「Hankyoreh」 has positively reported, according to the media’s ideological disposition. However, the fact that reports are made in different directions depending on the disposition of each media does not necessarily result in only negative consequences. It is because various media which with positive or negative attitudes about the lives of North Koreans interpret and forecast matters according to their inclinations can be helpful to the people to understand various viewpoints and establish their own perspectives as a whole in our society. However, the general public, who has no choice but to rely on the media for thei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without direct exchanges with North Koreans, needs a high-quality, cross-validated information source based on a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Therefore the frequent use of quotation and dependence of the anonymous should be avoided. In addition, as there are studies that show that report producers feel psychological pressure on value judgment according to social opinion, conservative media’s view of North Korea, and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report producers may not get on board with timing, policy, or public opinion. In order to ensure tha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value of North Korea's reporting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by media and to supplement the reporting system to protect it.;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가 프레임에 따른 보도를 통하여 현실을 특수한 방식으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그것이 보도 수용자의 현실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미디어 프레이밍 이론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 언론의 북한 주민 생활과 관련된 보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김정은이 인민군 대장 칭호를 부여받아 사실상 후계자로 등장한 2010년 9월 27일부터 2020년 9월 26일까지 10년간 「조선일보」와 「한겨레」에서 보도한 북한 주민 생활 관련 기사를 대상으로 보도량, 보도 유형, 정보원 유형, 보도 태도, 보도 내용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여 두 매체가 북한 주민 생활상을 어떻게 구성하여 보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념적 성향이 다른 매체에 따라 어떠한 보도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북한 주민 생활 관련 보도에는 실제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했다. 첫째, 두 매체의 보도량에 있어 큰 차이가 있었다. 같은 조건 아래 수집된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일보」는 260건의 기사가 수집된 것에 반해 「한겨레」는 35건이 수집되었다. 이는 「조선일보」가 「한겨레」보다 북한 주민 생활에 대해 더 높은 관심도를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매체별로 사용한 보도기사 형식에도 차이가 있었다. 두 매체 모두 스트레이트 기사를 가장 많이 보도하였으나 이 외에는 아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조선일보」의 경우 보도 생산자의 해설과 전망, 주장을 담은 사설·기고·칼럼 기사, 기획·해설 기사 형식의 사용 빈도가 스트레이트 기사 사용 빈도보다 높았다. 또한 이 세 가지 기사 형식과 함께 인터뷰·좌담, 단신 및 기타 기사 형식도 사용하여 다각적, 반복적으로 북한 주민 생활에 대해 보도하였다. 반면 「한겨레」의 경우 보도의 절반 이상이 사실 전달에 초점 맞춘 스트레이트 기사였으며, 인터뷰·좌담 기사, 단신 및 기타 기사 형식의 보도는 한 건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매체별로 사용한 정보원 유형에서도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조선일보」는 ‘익명 소식통’을 가장 많이, ‘실명 탈북자’를 두 번째로 많이 활용하였으며, 「한겨레」는 ‘실명 국내외 연구기관 및 대북 전문가’를 가장 많이, ‘북한당국 및 북한매체’를 두 번째로 많이 활용하였다. 정보원 유형은 대북한 보도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살피어야 할 항목 중 하나로 대북한 보도에서 익명 소식통을 통한 오보가 많았던 사례를 생각해본다면, 익명 정보원의 잦은 활용은 지양되어야 할 보도 행태이다. 넷째, 매체별로 북한 주민 생활에 대한 보도 태도의 차이를 보였다. 두 매체의 보도 태도 지수를 계산한 결과, 「조선일보」는 총 –79점, 「한겨레」는 총 6점으로 매체 간 지수의 절대값이 85점 차이가 났다. 이는 「조선일보」의 보도 태도는 아주 부정적이었던 반면 「한겨레」의 보도 태도는 다소 긍정적이었음을 나타내며, 이 항목의 분석 결과는 보도 매체별 이념적 성향 차이에도 불구하고 북한 주민 생활상이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다는 기존의 연구와 대비되는 결과이다. 다섯째, 매체별 북한 주민 생활 관련 보도기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두 매체가 같은 사안을 두고도 다른 강조점을 두어 보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매체 모두에게서 가장 많은 보도가 이루어진 북한 주민의 경제생활 기사를 비교하면 「조선일보」는 북한 경제생활의 변화가 식량난, 배급체계의 붕괴 등으로 시작되었다는 점, 장마당에서 일어나는 부패와 성범죄 등으로 주민들이 고통받고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하고, 「한겨레」는 북한 내 시장 활성화로 이전보다 높아진 경제생활 수준에 따른 문화의 변화에 초점 맞추어 보도하는 식의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한국 언론의 북한 주민 생활 관련 보도에 있어 실제로 매체 간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지난 10년간 매체의 이념적 성향에 따른 상이한 프레임으로 북한 주민 생활상이 일반 국민에게 전달되었음을 뜻한다. 그러나 매체별 성향 차이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의 보도가 이루어진다는 사실이 부정적인 결과만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북한 주민 생활에 대해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태도의 언론이 성향에 따라 사안을 해석하고 전망하는 것은 우리 사회 전체를 놓고 볼 때 국민들이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각자의 시각을 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한 주민들과의 직접적인 교류 없이 북한에 대한 이해를 언론매체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일반 국민에게 믿을만한 정보원을 기반으로 한, 교차검증된, 양질의 대북한 보도가 너무나도 필요하므로 익명 정보원의 잦은 인용과 의존은 지양해야 한다. 또한 북한 관련 보도에 있어 보도 생산자가 사회 여론이나 보수 매체의 대북관,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에 따라 가치 판단에 심리적 압박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 만큼 보도 생산자가 시기나 정책, 여론에 편승하지 않을 수 있도록 매체별 거시적 관점의 북한 보도 가치 재정립과 이를 지킬 수 있는 취재 시스템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4 A. 프레이밍 이론 4 B. 선행연구 검토 7 Ⅲ. 연구 설계 18 A. 연구 문제 18 B. 연구 방법 20 1. 내용분석 방법 20 2. 분석 대상 및 단위 21 3. 분석 범위 및 기간 24 4. 분석 항목 및 정의 25 Ⅳ. 연구 결과 30 A. 양적분석 결과 30 1. 매체별 북한 주민 생활 관련 보도기사의 양 30 2. 매체별 북한 주민 생활 관련 보도기사의 형식 33 3. 매체별 북한 주민 생활 관련 보도의 정보원 유형 36 4. 매체별 북한 주민 생활 관련 보도의 태도 41 B. 질적분석 결과 : 매체별 북한 주민 생활 관련 보도의 심층분석 45 1. 관련 보도가 많이 나온 시기 45 2. 관련 보도가 많지 않은 시기 73 Ⅴ. 결론 80 참고문헌 86 부록1. 분석 대상 보도기사 목록 91 부록2. 보도 태도 유형별 대표 기사 105 ABSTRACT 108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1497867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ddc | 900 | - |
dc.title | 한국 언론의 북한 주민 생활 관련 보도 분석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An Analysis of Korean Media Reports on the Lives of North Koreans | - |
dc.creator.othername | Yoon, Joohyeon | - |
dc.format.page | vii, 111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북한학과 | - |
dc.date.awarded | 2021.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