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도시재생 사업에서 문화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분석

Title
도시재생 사업에서 문화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분석
Other Titles
Critical Analysis of the Role of the Cultur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Case of Re-Sewoon Project
Authors
박해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샛별
Abstract
In a globalized and postindustrial society, culture is considered a economic and social resource and has emerged as a critical policy agenda. Culture serves as a competitive resource in a symbolic economy reorganized based on immaterial sectors such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finance, services, tourism, and cultural industries. Besides, cultural approaches were essential in coordinating complex relationships in a pluralized and globalized society. However, the complicated meaning of culture was shrunk to a measurable quality as it became an economic resource as well as something that should be managed by the society. As a result, culture was conveniently replaced with images and cultural products symbolizing the accumulated value system of life and history in the policy sector. The city, an invention of the industrial age, is a keyspace where distinct postindustrial society changes occur. Culture is the popular strategy in urban policy; it functions as a complex solution to urban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decline of economic growth, and degenerating living conditions. This dimension is marked b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seek to revitalize the city econom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The complicated life intertwined in urban culture is converted into fragmentary images and symbols in this process. Cultural sites of consumption colored with these images emerge, transforming the city itself into a symbol and a product as a result. The problem is that these transformations in urban spaces displace long term residents, who are the protagonists of the existing culture, which results in the loss of the indigenous sense of place.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caused by an instrumental and scattered approach of cultur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oject. To this end, four research questions are specified: First, what is the cultural identity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im to impose? Second, what is the indigenous cultural identity of the Sewoon Arcade that was accumulated from the past? Third, how does the conflict between the imposed cultural identity and the indigenous cultural identity present itself? Fourth, can the two cultural identities be reconciled? Prior to the analysis,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Sharon Zukin's framing of public space(Zukin, 1995). Based on this framework, Zukin described the shifting cultural identity of public spaces as culture and symbols were imposed in the symbolic public spaces in New York(1995). Zukin's framework is considered appropriate for researching the conflict and reorganizing cultural identities in the Sewoon Arcad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each component that constitutes the framework of public space structuring was reviewed before developing a research model that f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Primar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policy data and in-depth interviews. Policy reports and press releases related to the projec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cultural identity imposed to the Sewoon Arcade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analysis of policy data wa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First, the contents of the project were organized into two parts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model: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ed community. The various programs in the Sewoon Arcade from 2017 to 2019 and the public participation projects implemented as part of residential governance since 2016 were categorized by theme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obtain a quantitative sense of the themes that were highlighted in the project. Finally, the press releas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word cloud, identifying keywords to reconfirm the themes emphasized in the project.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nder three objectives: To identify the cultural identity shared by original residents of Sewoon district who have made their living in the Sewoon Arcade for a long time. To see how this cultural identity comes into conflict with that of new residents as well as that which is recognized by consumers after the project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between the two cultural identiti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of three groups were conducted - original residents, new residents, and consumers.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categorized into common themes and conflicting themes. In particular, the voices of research participants from different groups were cross-presented to effectively emphasize the conflicts between the cultural identitie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woon Arcade district's history as an arena of a technological myth was selected as the primary image to reshape the Sewoon Arcade. Cultural tools such as culture, art, and education served a mediatory role, enabling the theme of technology to be transplanted into the Sewoon Arcade. The central theme of the project was represented in the space and community. Cultural spaces cultivating technology education and leisure activities with a technological theme were promoted inside and outside the Sewoon Arcade. Also, technical artisans were actively discovered as principal agents, and communities were organized around them. This was confirmed once again by the fact that the most frequently held events in the Sewoon Arcade were about technology education or technology-themed festivals and exhibitions. The emphasis on technology reconfirmed as the press release analysis results showed technology and maker as keywords. Second, original residents consist of a geographical and social community that shares baby boomers' successful business experience. They defined the Sewoon Arcade district as the most familiar and comfortable playground and workplace. The strongest memory shared by existing resident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 Sewoon Arcade district for more than 30 years was the golden time of the Sewoon Arcade as a "central commercial district where businesses thrived." The baby boomers, who have experienced both poverty and abundance, are proud of their successful experience based on hard work. Their work ethic continued to the present day, even when businesses have been declining. Moreover, the Sewoon Arcade district is not just a work place; it is a comfortable playground where they have spent years meeting long-time neighbors and customers. Third, while original residents defined their identity as business owners and recognized the Sewoon Arcade as a workspace, conflicts between cultural identities arose due to the excessive emphasis on technology and the creation of places for leisure as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is disruption led to skepticism and low participation of original residents in the project. As a result, the space and community of the Sewoon Arcade were disjuncture into two spheres: spaces created by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vs. existing spaces residents who participate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vs. residents who did not the Sewoon Arcade vs. surrounding redevelopment districts The disjuncture created an invisible barrier between the original and new residents as well as consumers who became a newly established entity of the Sewoon Arcade. The existing versus new groups identified each other as others. For example, one consumer recognized the ongoing life of original residents as an exhibited oldness, whereas original residents regarded the increased number of visitors as uninvited guests. Nevertheless,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is grasped a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ongoing for three years. Strategic organizations operating in the Sewoon Arcade played a crucial role in mediating the gap between the two different cultural identities as they lived alongside the residents. Next, room for common ground was expanding as "working young" moved into the Makers Cube formed business relationships with original residents. Finally, some of the consumers who visited the Sewoon Arcade were interested in the unique professional sales culture, and original resident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lbeit somewhat passively, by accepting the trend and being kind to the customer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pplied Zukin's framing of the public space to analyze a specific case. The framing of public space is an appropriate framework to analyze the changing identities of spac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reconstructed into a research model to analyze a specific case. Second, a complex analysis of a specific case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an instrumental and scattered approach to culture. This is significant because it can be a starting point to reach out to real life, rather than a theoretical and academic approach. Third, it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future by capturing not only the conflict between the cultural identities but also a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that appears in the project.;후기산업사회의 탈산업화 세계화 맥락에서 문화는 경제적 및 사회적 자원으로 여겨지며, 정책영역의 중요한 의제로 떠올랐다. 정보․통신․기술․금융․서비스․관광․문화산업 등 비물질영역을 중심으로 재편된 상징경제체계에서 문화는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적인 자원으로 기능했다. 뿐만 아니라, 세계화로 다원화된 사회의 복잡한 관계 조율에도 문화적 접근은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경제적 자원이자, 사회적 관리의 대상이 되면서 문화의 풍부하고 복잡한 의미는 ‘측정 가능한 것’으로 축소되었다. 결과적으로 정책영역에서 문화는 삶과 역사라는 누적된 가치체계를 상징화한 이미지, 문화상품 등으로 편리하게 치환되어 제한적으로 다루어졌다. 산업화 시대의 산물인 도시는 이와 같은 후기산업사회의 특징적 변화가 일어나는 핵심적인 공간이다. 물리적 공간의 쇠퇴, 경제성장의 둔화, 이로 인한 주민 삶의 질 하락과 도시 경쟁력 악화 등의 도시 문제에 복합적 해결책으로 기능하며, 문화는 도시 정책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쇠퇴한 도시를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복합적으로 활성화하고자 하는 도시재생 사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복잡한 삶의 양상이 얽혀 완성되는 도시의 문화는 단편적 이미지, 상징으로 축소된다. 도시에는 이 이미지를 입은 소비문화공간들이 생산되고, 결과적으로 도시 자체는 하나의 상징이자 상품으로 변화한다. 문제는 이와 같은 도시의 변화로 인해 본래 문화의 주인이었던 기존주민들은 도시 공간에서 배제되고, 종래에 도시가 지니고 있던 장소성이 소멸되어 버린다는 점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사업에서 문화가 도구적, 단편적으로 다루어지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다시, 세운>프로젝트라는 구체적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살피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도시재생 사업에서 부여하고자 한 문화정체성은 무엇인가? 둘째, 세운상가군에 과거로부터 누적된 문화정체성은 무엇인가? 셋째, 부여된 문화정체성과 기존 문화정체성의 충돌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넷째, 두 문화정체성간 조율가능성은 존재하는가? 분석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샤론 주킨(Sharon Zukin, 1995)의 공공공간 구조화의 틀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마련하였다. 주킨(1995)은 『도시의 문화 Cultures of Cities』에서 공공공간 구조화의 틀을 바탕으로, 뉴욕의 주요 공공공간에 문화와 상징이 도입되면서 공간의 문화정체성이 변화하는 양상을 기술하였다. 이는 세운상가군이라는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문화정체성간 충돌과 재구조화가 나타나는 양상을 보고자한 연구의 목적에 매우 적합한 틀이라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간 구조화의 틀을 구성하는 각 요소의 개념을 살펴본 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주요 연구자료로는 정책자료와 심층면접 자료가 있다. 먼저, <다시, 세운> 사업과 관련된 정책보고서, 보도자료 등 정책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에서 세운상가군에 부여하고자 한 문화정체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정책자료에 대한 분석은 세 단계를 거쳐 진행했는데, 첫 번째로 연구모형에 따라 <다시, 세운> 사업 내용을 물리적 환경의 변화와 조직된 공동체의 특성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2017년부터 3년간 세운상가군에서 벌어진 프로그램과 2016년부터 주민 거버넌스 활동의 일환으로 시행된 주민공모사업을 주제별로 범주화하여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사업에서 강조된 주제를 계량적으로 다시 한 번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보도자료를 워드클라우드 기법으로 분석하여 <다시, 세운> 사업에서 강조하고자 했던 주제를 핵심 단어를 통해 재확인 했다. 심층면접은 오랜 시간 상가군에서 삶을 영위해온 기존주민들이 공유하고 있는 문화정체성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러한 문화정체성이 <다시, 세운> 사업 이후 상가군을 이용하는 새로운 주체인 신규입주민, 소비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문화정체성과 어떻게 충돌하고 있는지, 또 둘 간의 조율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주민, 신규입주민, 소비자 세 개 집단에 대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면접한 내용을 전사하여 공통 주제와 충돌하는 주제를 묶어 분석하였다. 특별히 문화정체성간 충돌을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서로 다른 집단에 속한 연구참여자들의 목소리를 교차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시, 세운> 사업에서 ‘기술신화의 무대’로써 세운상가군의 과거가 세운상가군을 재생시키기 위한 중점적 이미지로 선택되었으며, ‘기술’이라는 주제는 ‘문화·예술’, ‘교육’ 등의 문화적 도구를 매개로 세운상가군에 이식되었다. 사업의 중심 주제는 공간과 공동체를 통해 나타났다. 세운상가군 안팎에는 기술 육성을 위한 기술문화 공간과 기술을 콘텐츠로 한 여가 문화 공간 등이 조성되었다. 또한 ‘기술 장인’을 적극적 주체로 발굴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조직하였다. 이는 세운상가군에서 가장 많이 열린 행사가 기술 교육 혹은 기술을 테마로 한 축제, 전시 등이라는 점을 통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기술 강조 경향은 ‘기술’과 ‘메이커’가 핵심단어로 나타난 보도자료 분석 결과를 통해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민들은 베이비붐세대의 장사 성공경험을 공유하는 지리적 및 사회적 공동체로서, 세운상가군을 ‘장사’라는 업을 감당하는 일터이자 가장 익숙하고 편안한 놀이터로 정의하고 있었다. 세운상가군에서 30여 년을 삶을 꾸려온 기존주민이 공유하고 있는 가장 강력한 기억은 ‘불티나게 장사가 잘되는 중심상권’으로써 세운의 과거였다. 가난과 풍요를 모두 경험한 베이비붐세대인 이들은 성실한 영업을 통해 성공을 일궈낸 경험을 자부심으로 삼고 있으며, 성실한 업무 태도는 장사가 잘 되지 않는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었다. 또한 청춘과 세월을 보낸 세운상가군은 이들에게 단순한 일터를 넘어, 오랜 이웃과 손님을 만날 수 있는 가장 편안한 놀이터이기도 했다. 셋째, 이처럼 기존주민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장사’로 정의하고, 세운상가군을 업무공간으로 인지하고 있는데 반해 도시재생 사업에서는 ‘기술’이 지나치게 강조되고, 여가를 위한 공간들이 다수 조성됨에 따라 문화정체성간 충돌이 일어나고 있었다. 이러한 괴는 도시재생 사업에 대한 기존주민들의 회의적 태도, 낮은 참여율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세운상가군의 공간과 공동체는 도시재생 사업으로 조성된 공간 대 기존 공간, 도시재생에 참여한 주민 대 그렇지 못한 주민, 세운상가군 대 주변지역으로 분절되었다. 결과적으로 기존주민과 <다시, 세운> 사업을 통해 새롭게 세운상가군의 주체가 된 소비자, 신규입주민은 보이지 않는 벽으로 나누어진 각자의 공간에만 자리하여, 서로를 타자로 인식했다. 한 예로 소비자는 기존주민의 현재 진행 중인 삶을 ‘전시된 낡음’으로 관람하는 한 편, 기존주민은 증가한 방문객을 불청객으로 여겼다. 넷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도시재생 사업이 운영되면서 조율 가능성도 포착되고 있다. 세운상가군에 입주하여 활동하는 전략조직은 주민들과 함께 살을 맞대고 생활하며, 서로 다른 문화정체성간 이해를 돕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메이커스큐브에 입주한 ‘일하는 청년’들을 중심으로 기존주민들과 거래 관계가 형성되며 접점이 증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운상가군을 찾았던 일부 소비자들이 상가 특유의 전문적 판매문화에 관심을 갖는 경우가 생겨나고 있으며, 기존주민들 역시 변화의 흐름에 따라 젊은 소비자들에게 친절히 응대하는 등 수동적으로나마 사업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킨의 공공공간 구조화의 틀을 기반으로 구체적 사례분석에 적합한 연구모형을 구성했다. 공공공간 구조화의 틀은 도시재생 사업에서 문화로 인해 나타나는 공간의 정체성 변화 과정을 분석하기 적합한 틀이다. 틀의 각 요소를 정의하여, 구체적 사례에 맞게 연구모형으로 재구성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둘째, 문화가 정책 영역에서 도구적·단편적으로 다루어진 맥락 아래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복합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이는 이론적, 학술적 지적에 그치지 않고 실제 현장의 목소리에 다가가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다시, 세운> 사업에서 나타나는 문화정체성간 충돌양상은 물론 조율양상까지 포착함으로써 향후 도시재생 사업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