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병준-
dc.contributor.author박미진-
dc.creator박미진-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32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32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6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66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52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한국전쟁기 문화인의 부역경험과 생존전략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한국전쟁 초기 문화인의 북한점령 체험과 수복 이후 부역문화인 처분에 대해 분석하고, 그 결과 문화인이 한국사회에서 생존전략으로 취했던 반공 활동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통해 한국전쟁기 문화인들이 반공선전의 주요 행위자가 되는 과정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전쟁이 개인과 사회에 끼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전쟁이 발발하자 국방부 정훈국에서는 문화인들을 계획적으로 활용했고, 문화인들은 대부분 피난 기회를 놓쳐 서울에 잔류했다. 북한점령하에서 문화인들은 각자 ‘살기 위해’ 행동했고, 대부분 부역을 하게 되었다. 이들은 조선문화단체총연맹에 가입해서 활동하거나, 의용군에 차출되었다가 탈출하거나, 월북을 감행했다. 이들의 북한점령기 경험은 수복 이후 부역심사에서의 위치를 결정했고, 부역 문제 해결 과정에 활용되었으며, 문화인들이 전쟁기 반공 활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는 계기가 되었다. 수복 이후 일반 국민들에 대한 한국정부의 부역자 처벌은 가혹했는데, 지방의 경우 법적 절차도 거치지 못한 채 부역혐의자들이 임의로 처형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반면 부역문화인들은 매우 관대한 처분을 받았다. 당시 문화인들이 부역심사에서 관대하게 처분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그들을 반공선전에 활용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도 때문이었다. 문화인들은 부역심사 과정에서 이미 반공선전에 동원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부역혐의를 상쇄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역문화인들은 여전히 사회적 비난과 사상적 의심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었고, 문화계 내부에서도 부역문화인들을 향해 반성을 요구하고 있었다. 한국전쟁기 부역문화인들은 북한점령 체험기 작성과 국방부 정훈국과 연계된 반공 활동을 통해 사회적으로 살아남고자 했다. 당시 북한점령 체험기는 북한을 상대로 하는 선전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다. 문화인들은 체험기를 작성하면서 반공·타공·멸공의 목소리는 높이고, 한국정부에 대한 비판 등 특정 목소리는 철저히 소거하는 방식으로 생존을 꾀했다. 이들은 또한 정훈국 산하에 소속되었는데, 특히 종군작가단에서 종군 활동과 반공선전 활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에 이르는 기간은 문화인들에게 생존투쟁의 연속이었다. 문화인들의 반공 활동은 생존전략의 일환이었고, 그들의 북한점령 체험과 부역심사 경험에 따른 결과였다. 전쟁기 문화인들의 반공 활동은 그들의 실지 체험에서 비롯된 사상적 지향이나 부역심사에서 관대한 처분을 받은 데 대한 반대급부, 생계유지 수단 등 다양한 원인이 개입되어있으며 단순히 어느 하나의 이유로만 이해할 수는 없다. 다시 말해 한국전쟁기 문화인들의 반공 지향과 문화계의 이념적 편향은 그때까지 이들이 겪어온 다양한 경험에서 기인한 것이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rtists’ collaboration and their strategies to survive during the Korean War. Specifically, the research analyzed what the cultural artists experienced under the occupation of North Korea in the early phase of the war, how they were treated as collaborators after South Korea’s recovery of the land, and what anti-communist activities they engaged in for survival. Therefore, the study aims to delve into the process and the meaning of the cultural artists transforming into main players in the activities for anti-communism during the Korean War as well as the impacts of the war had at the individual and societal level. At the outbreak of the war, the Korean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Division(政訓局) took advantage of the cultural artists in a manipulative way as most of them lost a chance to flee, ending up remaining in Seoul. Under the occupation of North Korea, each individual behaved for the sake of one’s survival and was forced to labor. While several people joined the Federation of Korean Cultural Organizations(朝鮮文化團體總聯盟), somebody escaped from the Korean Volunteer Army, and others managed to go north beyond the border. One’s experience during the period of North Korea’s occupation not only decided one’s position in the screening for the collaborators but also was used for addressing relative issues. Also, it later served as a cause for them to actively partake in anti-communism during the war. After reclaiming Seoul, the Korean government’s intention - to use the cultural artists as a tool for propagating anti-communism - let them b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in the screening for collaborators. In case of the punishment of collaborators in rural areas, they were executed arbitrarily without due process of law. On the other hand, the cultural artists received lenient treatments. By then, the cultural artists were already exploited as a tool for promoting anti-communism, which offset one’s accusation of collaborating in war. However, they could not fully avoid social criticism and suspicion in terms of ideology, and voices in the cultural circle called for their reflection. In order to get by in society, the cultural artists cooperated by writing their memoirs and working for anti-communist actions affiliated with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ir memoirs of the North Korea’s occupation were useful for a good propaganda against the North. To survive, they highlighted the message of boycotting, damaging and terminating Communism while completely eliminating any criticism about the Korean government in their memoirs. They were also under a detachment of the Korean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Division, particularly taking part in anti-communist activities under the Service of the Army. The path from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to the Korean War was a sequence of battles to survive for the cultural artists. Anti-communist actions were parts of their survival strategies, stemming from their experiences in North Korea’s occupation as well as in the screening for the collaborators. Different reasons -ranging from their ideological preference obtained through actual experiences, a quid pro quo for the lenient treatments in the screening, to a tool for survival- combined to cause their anti-communist activities during the war. As various factors contributed to their survival strategies a single reason is not enough to explain their behaviors in detail. To summarize, various experiences the cultural artists had during those times lie behind their preference for anti-communism and an ideological bia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한국전쟁기 북한점령과 문화인의 부역경험 7 1. 해방 이후~한국전쟁 직전 문화계의 좌우·남북 분열 7 2. 북한점령기 문화인의 동향과 부역경험 14 Ⅲ. 수복 이후 정부의 부역자 처벌과 부역문화인 처분의 특징 28 1. 한국정부의 가혹한 부역자 처벌 28 2. 부역문화인에 대한 처벌 논란과 관대한 처분 34 3. 부역문화인 처분의 배경과 요인 40 Ⅳ. 부역문화인의 생존전략: 북한점령 체험기 간행과 반공선전 활동 47 1. 부역문화인의 북한점령 체험기 간행과 그 특징 47 2. 문화인의 종군 활동과 반공선전 활동 55 Ⅴ. 맺음말 62 참고문헌 65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85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한국전쟁기 문화인의 부역경험과 생존전략-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llaboration and Survival Strategy of the Cultural Artists during the Korean War-
dc.creator.othernamePark, Mi Jin-
dc.format.pageiv,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