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박유미-
dc.creator박유미-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26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26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5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578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49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진로’라는 미래 문제 상황에 대하여 깨친 사고와 시의적절한 태도를 바탕으로 지혜롭게 헤쳐 나아가는 역량을 지닌 학습자를 교육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이에 학습자들이 창의인성을 품은 창조적이며 바른 인성의 인재로 자라나기 위해서는 올곧은 진로 가치관이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것을 본 연구에서는 정수에 놓고 ‘창의인성 진로 가치관’이라고 정의하였다. 창의인성 진로 가치관은 진로독서를 교육적 매개로 적극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학습자의 창의인성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독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진로를 구체적으로 생성해 나가는 진로 가치관에 대하여 본인만의 개성을 가진 창의인성을 형성해 나가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경험을 교육 프로그램 안에서 점차적으로 깨우쳐가며 자신의 진로를 개척해 나가도록 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이상의 목적을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상세히 밝히고 선행연구를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현재 진로독서 교육의 위상을 파악하였다. 실제적으로 진로독서 교육이 행해지고는 있으나 단편적 행사로 그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프로그램 구성에 구체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더욱이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와의 관련성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고 인성교육을 소홀히 다루는 면이 있었다. 아울러 학습자의 개성은 살리되, 협력적 대화를 녹여낼 수 있는 학습 환경의 구성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Ⅱ에서는 Ⅲ장에서 다룰 프로그램의 현주소를 점검하기 전, 연구의 가치와 논의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문헌 조사를 토대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1단계로 현재와 미래 교육이 가고자 하는 지표인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핵심역량과 ‘창의인성’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밝혔다. 그 결과 변혁적 사회로 나아감에 앞서 미래의 진로독서 교육은‘권리, 의무, 준비’의 3가지 필수영역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2단계에서는 ‘창의인성 역량’의 개념과 필요성을 피력하고 진로독서 교육 필수영역에서 발현할 가치가 높은 창의인성 역량 6가지(존중, 의지, 배려, 소통, 책임의식, 실천)와 그 양상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이러한 역량에 자연스레 녹아들어야 하는 ‘창의인성 진로 가치관’의 개념과 필요성을 말하고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상위요소와 각각의 대표적인 하위 요소들을 설명하였다. Ⅲ장은 Ⅱ장의 이론적 근거에서 나아가 현재 행해지고 있는 진로독서 프로그램의 실태를 내용과 방법으로 구분하여 점검하였다. 그 결과 내용 면에서는 진로 범위의 제약, 용어의 불명료화, 인성교육 부재를 문제점으로 밝히고, 방법 면에서는 학습 대상에 대한 고려, 협력학습의 강조, 영역의 통합 및 융합이 요구됨을 찾아갔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영역인 핵심 형태, 제재 활용, 환경적 맥락의 기준에 따라 개선 방향 3가지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내러티브 협동학습을 통한 진로 가치관 생성, 주제 중심 읽기를 통한 진로 게슈탈트의 형성, 정서적 공간을 활용한 진로에의 상상과 몰입 추구를 주장하였다. Ⅳ장은 실천적 방안으로 진로독서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구안한 후 현장수업에 반영하였다. 아울러 학습 대상자의 평가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의의까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전체 교육의 형태를 내러티브에 두고 내용, 방법, 목표 면에서 내러티브(이야기)로 짜임을 구축했다. 나아가 진로독서 교육 전체를 하나의 이야기로 보고 기승전결 4단계에 맞춘 6차시 세부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이에 현장교사들로부터 피드백 점검을 받은 사항을 반영한 2차시 축약 프로그램을 소수정예 학습자를 대상으로 현장에 적용하였다. 학습자들은 사전 사후 설문지를 통해 의견을 밝혀주었고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의의를 밝혀나갔다. 마지막 Ⅴ장은 종합적인 결론을 지으며 논의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앞서 강조한 사항들의 진행 과정, 단계별 핵심 사항 등을 요약하며 논의의 강조점을 피력하였다. 이후 연구의 아쉬운 점, 앞으로 풀어가야 할 것들에 대한 의견을 붙이며 마무리하였다. 지금까지 살핀 바를 녹여내어 연구가 향한 교육적 시사점을 밝히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 교육과정과 미래 교육이 가고자 하는 방향에 시의적절한 요소인 ‘창의인성’을 전면을 내세우며 학습자가 행복으로 나아가는 ‘진로’에 접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적 효과를 띠게 한 점이다. 특히 진로독서 교육에 창의인성의 정의적 요소를 담아내어 인지에 머물지 않고 정의·행동적 영역까지 고려한 진로 가치관을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미래 지향적이자 변화무쌍한 모습을 꿈꿔야 하는 학습자들에게 복합적 사고를 길러주게 한 점이다. 학습자는 진로독서를 하면서 내러티브를 만들고 주제 범주로 진로를 접하며 몸소 협력을 배운다. 내면에서 외면으로 나아가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균형감을 갖추고 총체적으로 진로를 살피고자 하는 능동적 사고가 자연스레 형성되기 때문이다. 셋째,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변혁적 인재의 역량에 맞춘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함에 있다. 인성이 부족하지 않는 창조적 인재가 바른 가치관을 정립해가도록 진로독서 프로그램 구성 요인에 타당성을 실으며 전개하였다. 기존의 진로독서가 학습자 ‘나’에 주목하였다면 본 연구는 ‘우리’에 집중하여 함께하는 ‘더불어’를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요소와 이들을 끌고 가는 교육 단계에 ‘관계’를 주안점으로 두고 연구 이야기를 풀어갔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미래가 진정으로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되었다. 꿈, 진로에 행복이 항상 머물러 있지는 않으나, 그것을 갈구하고 찾아가는 것은 결국, ‘우리’에게 달렸다. 여기에 교육은 우리들의 행복을 바르게 비춰주는 참된 길잡이가 되어 주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창의인성 진로 가치관을 단단히 정립하도록 진로독서 교육이 끌어주어야 하며 학습자들은 이곳에서 더욱 당당하게 본인의 미래, 진로를 꿈꿀 수 있어야 한다. 그들의 멋진 꿈을 진심을 다해 응원하며 논의를 마친다. ;This study has a problem situation called career path.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ducate learners with competence, which is an open mind and an appropriate attitude. Therefore, in order to grow up as a talented person wi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good values must be established. In this study, this was defined as ‘creativity personality-oriented career values’. For this, it is appropriate to operate career reading as an educational medium, and a reading program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designed program, the learner develops a personality that is in harmony with universal values. As a result, the ultimate goal is to gradually learn these experiences in the program and develop your own career.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were clarified and the preceding studies were analyzed. Career reading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but most are limited to fragmentary events, and the program composition lacks concreteness. Moreover, the evidence for learners' creative thinking was lacking and character education was neglected. In addition, it was urgently required to preserve the individuality of learners and to construct a learning environment with cooperative dialogue. In Chapter 2, the validity of the discussion was examined based on the theory before examining the current address to be covered in Chapter 3. As a first step, I analyzed the curriculum, which is an indicator of current and future education, and reveal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creativity and personality’. As a result, in order to advance into a transformative society, future career reading education must have three essential areas: ‘rights, duties, and preparations’. In the second stage,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oriented competence’ was emphasized. After that, the six creativity and personality-oriented competence (respect, will, consideration,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practice) that are highly valuable in the essential areas of career reading education were presented in detail. In the last third step,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oriented career values’, were presented, and the upper and lower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presented. In Chapter 3 went beyond the literature survey in Chapter 2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career path reading program divided by content and method. As a result, the limitations of the career range, ambiguity of terminology, and lack of character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problems. It was also found that consideration for learners, emphasis on cooperative learning, and domain integration are necessary. Based on this, three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core form, the use of sanctions, and the environmental context, which are the areas of i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insisted on the creation of career values through narrative cooperative learning, the formation of gestalt of career through topic-oriented reading, and pursuit of imagination and immersion in the career using emotional space. Chapter 4 designed and devised a career reading program as a practical plan, and then reflected it in the field classes. In addition, it tried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program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subjects of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around content, methods, and goals, and the entire educational structure was built around narratives. Furthermore, the entire career reading education was viewed as a single story, and a detailed program of six sessions was devised according to the fourth stage. This was applied in the field for a small number of elite learners through a second-level program that reflected feedback confirmation from field teachers. Finally, learners revealed their opinion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m qualitatively to evaluate the program and reveal its significance. Finally, Chapter 5 concludes the entire discussion with a comprehensive conclusion. The discussion was emphasized by summarizing the progress of the above points and key points by step. After that, I mentioned the regrets of this study and added suggestions. The following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study, focusing on what has been studied so far. First, ‘creativity and personality’, which is a timely factor i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and future education, is put to the fore. This point is a point wher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effects can be obtained by incorporating it into the path of happiness pursued by learners. In particular, this is because career reading education emphasizes career values that consider not only cognitive but also behavioral areas. Second, it fosters complex thinking for learners who must dream of a future-oriented and ever-changing appearance in a rapidly changing world. The learner creates a narrative while reading career paths, and learns direct cooperation by contacting career paths in subject categories. This is because they grow from the inside, have a sense of balance in the social context, and try to look at the career as a whole. Third, i present an efficient education program tailored to the transformative talents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The validity of the components of the career reading program has been enhanced so that creative talents who do not lack character can establish the right values. If the previous study focused only on the learner ‘I’, this is because this study focused on ‘We’ and emphasized ‘Together’.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the elements and ‘relationships' of the program at the educational level. Ultimately, this study started with a heart that hopes that the future of learners will be truly happy. Happiness doesn't always come with us in our career path, but it is up to us to long for it and meet it. Here, education should serve as a guide to the happiness of learners.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career reading education should lead to firmly establish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oriented career values. Learners should be able to dream of their own future and career more confidently here. This study sincerely supports their wonderful dre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4 1. 핵심 역량과 독서 교육 관련 연구 4 2. 진로독서 교육에 대한 연구 7 3. 창의인성 중심의 진로 가치관 교육에 대한 연구 9 C. 연구의 대상 및 방법 13 Ⅱ. 진로독서 교육과 창의인성 중심의 진로 가치관 교육 17 A. 2015 교육과정과 진로독서 교육 17 1. 2015 교육과정 핵심역량과 진로독서의 관계 17 2. 진로독서 교육 필수 영역 21 B. 창의인성 역량과 발현 26 1. 창의인성 역량의 개념 26 2. 진로독서 내 창의인성 역량과 발현 양상 30 C. 창의인성 중심의 진로 가치관과 교육 내용 35 1. 창의인성 진로 가치관의 개념 35 2. 진로 가치관 내 창의인성 교육 내용 요소 38 Ⅲ. 진로독서 교육 프로그램의 실태와 개선 방향 46 A. 진로독서 교육 프로그램의 실태 47 1. 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분석 48 2. 교육 프로그램 방법에 대한 분석 50 B. 진로독서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54 1. 내러티브 협동학습을 반영한 가치관 생성 54 2. 주제 중심 읽기를 통한 게슈탈트 형성 61 3. 정서적 공간을 활용한 상상과 몰입 추구 65 Ⅳ. 창의인성 중심 진로 가치관 형성을 위한 진로독서 교육 프로그램 71 A. 교수학습 설계의 절차 및 방향 71 1. 교수학습 설계의 절차 71 2. 교수학습 설계의 방향 82 B. 창의인성 진로 가치관 형성을 위한 진로독서 프로그램의 실제 88 1. 프로그램 개발 88 2. 프로그램 적용 115 3. 프로그램 분석 134 Ⅴ. 결론 151 참고문헌 154 ABSTRACT 1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477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창의인성 중심의 진로 가치관 형성을 위한 진로독서 교육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areer Reading Education Plans to Create Career Values Focused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dc.creator.othernamePark, Yumi-
dc.format.pageix, 1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