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전유미-
dc.creator전유미-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1:25Z-
dc.date.available2021-01-28T16:31:25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29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295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496-
dc.description석사학위를 수여받기 위해 제출된 포트폴리오임.-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의 독일인 중급 학습자들의 문화적 소통과 실질적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듣기 교재를 개발하는 데 있다. 한국어 교실 외에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노출이 어려운 KFL 학습자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인의 실제 담화와 문화 요소를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듣기 자료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정확하고 풍부한 한국어 지식과 함께 한국 사회의 실질적인 문화 현상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언어적, 문화적 발견을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적 활동에 직접 접목함으로써 문화 간 이해를 바탕으로 한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개발 교재의 목표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한류 콘텐츠가 주목을 받으며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독일에서도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을 원하는 수요가 늘고 있는데, 특히 독일 내 여러 대학에서 한국어와 한국학과가 전공과목으로 자리 잡으면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가 매우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한국어 세미나와 토론 등에 참여해야 하므로 수준 높은 듣기 학습이 강화되어야 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듣기 능력 배양을 위한 교육 과정의 도입이나 듣기 교재의 활용은 중요한 사안으로 고려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독일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현황은 대부분 문법과 어휘, 독해, 작문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런 현상은 독일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한국학 연구의 기초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한국어는 ‘한국’이라는 나라를 분석하고 연구하기 위한 ‘기초 언어’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김성희, 오문경, 2011:68). 그러나 이러한 읽기 중심의 번역 수업이나 작문을 위한 문법 중심의 교과 과정은 한국을 이해하고 문화적 소통을 원하는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지 않은 수업 설계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단조로운 내용으로 반복되는 한국어 수업이 초급에서 중급, 고급으로 진행되면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 한국어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되는 경우가 많다(김현진, 2006:2).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가 제기되고 실용적인 한국어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독일 내 몇몇 대학에서는 한국어 교육 과정에 듣기와 말하기 수업을 부분적으로 도입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으나 이 역시 ‘언어 기술’이라는 포괄적인 영역으로 기술되어 있어 실제 듣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교수요목 설계를 바탕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중급 단계의 한국어 수업을 살펴보면 '한국인 교수진'이 '한국어'로 진행하는 '실용 언어' 수업 시수는 한국의 한국어 교육 기관과 비교해 턱없이 부족하다. 거기에다 수업 진도가 빠른 독일의 교실 상황에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 모두를 '실용 언어' 수업에서 함께 다루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듣기와 말하기 수업은 그 시수의 1/4에도 미치지 못하게 된다(김성희, 오문경, 2011:67-68). 특히 KFL 학습자들은 교실 안에서만 한국어 학습이 가능한 환경적 제약을 가지고 있다는 점과 중급 학습자들의 실용적인 한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를 감안하면 기존의 교육 과정 중 듣기와 말하기 수업을 보다 강화하여 설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KFL 환경의 독일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할 요소는 바로 한국어 교재이다. 현재 독일에서 출판되는 한국어 교재는 아직 초급 교재에 많이 집중되어 있어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며, 한국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 항목도 교재에 제대로 반영되어 있지 않아 숙달도에 따른 문화 항목과 주제 선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원윤희, 2019:119). 교재의 구성 또한 대부분 맥락이 고려되지 않은 채 문법과 구조가 제시되고, 이에 대한 학습 강화로 기계적인 반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재로 보기 어렵고 학습자의 동기를 자극하기에도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는 상황에서 양 문화의 비교와 대조를 통한 이해 없이 한국어 자체만을 학습하게 되면 결국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독일인 학습자 대상의 한국어 교재에는 독일 문화와 한국 문화의 비교 및 대조에 의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며 이러한 비교 문화적 구성의 교재 활용을 통해 언어 발달과 문화 습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현윤호, 2004:8-10). 즉, 독일과 한국 문화 현상의 상이점들이 고려된 주제가 교재에 반영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문화적 주제가 새로운 경험과 지속적인 지적 흥미를 자극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언어 학습에 있어서 문화학적인 지적 흥미는 중요한 학습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독일인 대상의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은 학습자의 모어인 독일어를 교재 내에 담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학습자의 언어인 독일어에 대한 고려 없이 획일화된 교재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비능률적이며, 모든 언어에는 문화가 투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교재에는 문화와 함께 언어적 요소도 다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독일어와 한국어의 대조 언어학적인 지적 즐거움 역시 학습 의욕을 향상하는 데에 큰 동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이영남, 2009:43-44). 이에 본고는 KFL 독일인 학습자들의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한국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독일과 한국의 언어적, 문화적 상이점을 보여주는 다양한 문화 항목과 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의 문화 현상과 실제 한국인의 담화 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실제성 높은 듣기 교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객관적 시각의 문화 지식의 습득이 아닌 한국어 사용에 담긴 문화 현상을 접하고 독일어와 독일 문화와 비교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와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화 내용을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은 많은 양의 언어 입력과 함께 새로운 문화적 경험과 정보를 접하고 자신의 지식과 사고를 활성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한국 문화에 대한 발견을 성찰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도 새롭게 확립하게 되어 한국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상호문화적 관점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독일의 한국어 교육 환경과 실제적인 의사소통 활동을 필요로 하는 독일인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짧은 시간에 듣기 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섀도잉 기법을 교재에 활용하여 실제 한국어 담화 환경에 노출이 어려운 KFL 독일인 학습자들에게 실제성 높은 한국어 사용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발화 모형에 접근하여 가시적인 학습 성과를 얻을 수 있게 됨과 동시에 학습 의지를 고취할 수 있으며 학습자 스스로 듣기 전략을 적용하고 응용하여 의시소통 능력을 향상할 수 있게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교재 개발의 목적과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3 1. 섀도잉 학습과 듣기 교육 3 2. 독일인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육 6 Ⅱ. 이론적 배경 10 A. 독일인 대상 한국 문화 교육 10 1. 독일 문화와 한국 문화 10 2. 상호문화적 관점의 문화 교육 14 3. 문화 항목 선정 19 B. 섀도잉 기법을 활용한 듣기 교재 개발 23 1. 섀도잉 교수 방안 23 2.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 29 C. 독일인 대상 한국어 발음 교육 36 1. 독일어 발음과 한국어 발음 36 2. 한국어 발음 교육 41 D.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법 48 1. 내용 중심 교수 48 2. 프로젝트 기반 수업 53 Ⅲ. 교재 개발의 개요 60 A. 대상 학습자 집단 및 요구 60 B. 교수학습 상황 65 Ⅳ. 교재의 구성과 교육적 효과 69 A. 교재 구성 69 1. 교재 전체 구성 69 2. 교재 세부 구성 72 B. 교육적 효과 77 Ⅴ. 결론 79 참고 문헌 82 교재 이미지 자료 출처 88 부록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290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섀도잉을 활용한 문화 기반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독일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dc.format.page91,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