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9 Download: 0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uthors
이나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신종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과 함께 의료기관의 최전선에 있는 응급실 간호사는 신종감염병 확진 환자 또는 의심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감염관리지침 수행을 저해하는 인적 물적 구조적 환경적 요소들로 인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2020년 9월 23일부터 10월 18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전북, 부산지역의 신종감염병 확진 환자 또는 의심환자를 간호하는 응급실 간호사 224명을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신종감염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신종감염병 관리를 위한 의료기관 내 의사소통,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소진 및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비대면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종감염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평균 3.64±0.71점(1~5점), 신종감염병 관리를 위한 의료기관 내 의사소통은 평균 3.28±0.68점(1~5점),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는 평균 0.56±1.40점(-3~+3점), 소진은 평균 3.52±0.52점(1~5점)으로 나타났다.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은 평균 4.33±0.51점(1~5점)이었으며, 감염관리지침 수행 중 가장 높은 수행을 보인 항목은 환자이송 및 이동(4.58±0.59점)이었고, 에어로졸 생성시술(4.00±1.09점)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은 응급실 근무경력(F=3.480, p=.034), 적합한 개인보호장구가 적절히 공급(t=-3.275, p=.001), 근무지의 음압격리실 보유량(F=3.968, p=.009), 신종감염병 교육(F=5.270, p=.006), 개인보호장구의 교육(F=5.782, p=.004)과 감염병 유행 중 재교육(t=-2.885, p=.004), 개인보호장구의 모니터링 및 피드백(t=-6.075, p<.001)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은 신종감염병 관리를 위한 의료기관 내 의사소통(r=.425, p<.001),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r=.327, p<.001)와 정적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소진(r=-.251, p<.001)과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인구사회적 요인을 분석한 1단계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단계의 모형(F=6.230, p<.001)에는 근무지 및 간호제공 관련 특성요인이 추가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6.2 %였다. 2단계 모형에서는 근무지의 음압격리실 3~4개(β=.406, p<.001), 개인보호장구의 모니터링 및 피드백(β=.290, p<.001), 근무지의 음압격리실 1~2개(β=.269, p=.016), 근무지의 음압격리실 5개 이상(β=.265, p=.019), 적합한 개인보호장구가 적절히 공급 (β=.165, p=.012)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3단계의 모형(F=7.453, p<.001)에서는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과 상관관계가 있었던 변수가 추가되었으며, 설명력은 2단계에 비해 8.8 %가 증가된 35.0 %로 나타났다. 3단계의 모형에서는 신종감염병 관리를 위한 의료기관내 의사소통(β=.257, p<.001), 개인보호장구의 모니터링 및 피드백(β=.211, p=.001)이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의 영향요인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은 개인보호장구의 모니터링과 피드백이 있을 때, 신종감염병 관리를 위한 의료기관 내 의사소통이 원활 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관련 감염관리지침 수행의 향상을 위해 의료기관은 지속적인 개인보호장구의 모니터링 및 피드백 제공과 접근성을 높인 시스템을 확립하여 의료기관 내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더불어 이를 촉진할 수 있는 국가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which influence job performance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224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ho had experiences of taking care of confirmed or suspected cases of COVID-19 patients were recruited throug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ata collection took between September 23 and October 18, 2020 from Seoul, Gyeonggi Province, Incheon, North Jeolla Province, and Busa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 differed significantly by clinical career in emergency department, suitable and sufficient supply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number of negative pressure rooms at workplace, education regard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 training 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retraining in outbreak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monitoring and feedback in terms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within healthcare institu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nurs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 patient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 were communication within healthcare institutions, and monitoring and feedback in terms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healthcare institutions need to provide continuou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onitoring, and establish and maintain a more accessible communication system properly within the institution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mong emergency nurses. It is also necessary to give national support that can facilitate the effo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