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2 Download: 0

가정외보호 종료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과 자립

Title
가정외보호 종료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과 자립
Other Titles
A Study on Post-traumatic Growth and Independent Living of Youth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Authors
김지선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외보호 종료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과 자립 간의 관계를 밝히고 외상후 성장 유형과 그 예측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보호종료 청소년의 자립을 증진하기 위한 유형별 맞춤형 개입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변수중심적 접근을 통해 가정외보호 종료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외상후 성장이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또한, 대상중심적 접근을 통해 보호종료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을 유형화하고, 외상후 성장 유형과 자립 간의 관계 및 유형의 예측요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 아동가족연구소에서 실시한 2019년 「보호종료 청소년 자립실태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2013년부터 2019년 사이에 가정위탁, 아동양육시설, 아동공동생활가정(그룹홈) 보호조치가 종료된 청소년 405명이다. 가정외보호 유형별로 살펴보면, 가정위탁 151명, 아동양육시설 206명, 그룹홈 48명이다. 보호종료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과 자립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외상후 성장을 유형화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중심적 접근을 통해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보호종료 청소년의 자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외상후 성장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자립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은 가족 지지보다 타인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중심적 접근으로 가정외보호 종료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을 외상후 성장 수준이 가장 낮은 “외상후 성장 지체형”, 외상후 성장을 경험하는 이들 중 가장 일반적인 유형인 “외상후 성장 평균형”, 외상후 성장 수준이 가장 높은 “외상후 성장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외상후 성장 유형별 특성을 비교하여 종교 여부와 의미 있는 타인의 수에서 집단 간 차이를 발견하였다. 즉, 외상후 성장형은 외상후 성장 지체형과 외상후 성장 평균형보다 종교가 있다는 응답이 많았고, 의미 있는 타인의 수 역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보호종료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 유형에 대한 예측요인을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외상후 성장 지체형보다 외상후 성장 평균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외상후 성장 지체형 또는 외상후 성장 평균형보다 외상후 성장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의 역량인 자아탄력성을 기르는 것으로 외상후 성장 평균형에 도달할 수 있지만, 외상후 성장형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외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안과 밖의 힘이 합쳐졌을 때 달걀이 부화하여 병아리가 세상으로 나올 수 있다는 “줄탁동시(啐啄同時)”와 일맥상통하는 결과이다. 넷째, 변수중심적 접근과 대상중심적 접근으로 발견한 결과의 공통점과 차별점은 다음과 같다. 변수중심적 접근과 대상중심적 접근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 결과는 보호종료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이 자립의 영향요인이라는 것과 자아탄력성이 외상후 성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다. 변수중심적 접근의 차별적 결과로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성장을 통해 자립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대상중심적 접근의 고유한 결과로서 보호종료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의 상이한 유형을 도출하였고, 외상후 성장 유형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종료 청소년의 자립에 대한 외상후 성장의 영향을 최초로 검증하였고, 대상중심적 접근을 통해 외상후 성장을 유형화하여 차별적 개입방안을 모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가정외보호 아동과 보호종료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대한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고, 아동이 가정외보호 체계로 편입된 직후부터 보호종료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인력과 전달체계를 확대하고 관련 법률을 보완해야 한다. 즉, 아동양육시설에 임상심리상담원 또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확대 배치하고 전문가정위탁과 치료형 그룹홈을 활성화하여 아동에게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료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아동복지법 개정을 통해 자립지원 정책과 서비스에 심리정서적 회복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보호종료 청소년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근거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보호종료 청소년의 자립을 위해 외상후 성장 유형에 따른 개인별 맞춤형 개입과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호종료 청소년에 대한 심층 상담을 통해 외상후 성장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개입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상후 성장 지체형에 대해서는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상담과 심리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외상에 대한 치료와 회복을 도울 수 있다. 외상후 성장 평균형에 속하는 이들에게는 사회적 지지를 높이고 외상후 성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의미 있는 타인과 관계를 형성하여 가정외보호 기간부터 보호종료 후 안정적인 자립생활이 가능할 때까지 체계적인 사례관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외상후 성장형에 해당하는 이들에게는 사후관리를 통해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를 지원하여 안정적인 자립생활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배치의 안정성을 위해 아동에 대한 영구계획을 수립하여 안정된 배치 하에서 회복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영구계획을 수립할 때는 가족 복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되, 원가족과의 관계와 상황에 따라 맞춤형 개입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가족관계가 긍정적이라면 가정외보호 기간에 가정의 회복과 관계 지속을 위한 지원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원가족 복귀가 불가능하다면 가족으로부터의 부정적 영향을 예방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고, 가족을 대신할 수 있는 사회적 자원을 연결하여 그들과의 관계를 통해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examines youth that are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PTG) and independent living, and to explore the different typ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their predictive factors. Based on this analysis, an intervention plan that promotes independent living is suggested for each type of post-traumatic growth. To this end, a variable-centered approach was used to examine how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influence independent living. Furthermore, through a person-centered approach, this research categorized post-traumatic growth into three types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m and independent living, as well as the predictive factors of each typ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a survey on the independent life of youth that are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which was conducted by the Child & Family Research Institute of Ewha Womans Universit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05 adolescents who aged out of foster care, residential care, or child group homes between 2013 and 2019 (the sample included data from 151 foster care, 206 residential care, and 48 group homes). In order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independent living of youth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verified,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categori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it was confirmed that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directly affect independent living and the relationship was indirectly mediated by post-traumatic growth.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independent living, the support of others was found to be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family support. Second, the person-centered approach was used to categorize the post-traumatic growth of adolescents who aged out of out-of-home care. As a result, post-traumatic growth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delayed growth type” with the lowest post-traumatic growth level; “average type,” which is the most common type among those experiencing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growth type,” with the highest post-traumatic growth level. When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ost-traumatic growth,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number of people who believe in religion and meaningful others. In other words, there were more people who believe in religion in the post-traumatic growth type than in the other types, and the number of meaningful others was also higher. This difference was dee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in the analysis on the predictive factors of the latent types of post-traumatic growth,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great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average type than the delayed growth type. However, if the level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re both high, being in the post-traumatic growth type is more likely. This means that youth who have aged out of out-of-home care can reach the average type by developing resilience, but external help is essential for them to progress into the post-traumatic growth type. This is in line with the phrase “Pecking at the same time (啐啄同時),” which means that chicks can only come out when both internal and external forces are present at the same time. Fourt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and the person-centered approach. The common findings of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and the person-centered approach are that post-traumatic growth affects independent living in youth that are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and their resilience helps to increase post-traumatic growth. As a characteristic result of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the path in which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independent living through post-traumatic growth is identified. Through the person-centered approach, different types of post-traumatic growth were derived, and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impact of post-traumatic growth on the independent living of adolescents who have been discharged from out-of-home care, and suggested a customized intervention plan by classifying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a person-centered approac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therapeutic intervention is required for the psychological trauma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or youth that have been discharged from there, and it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from when the child is transferred to an out-of-home care system until the end of the protection period.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expand manpower, implement welfare delivery systems, and supplement existing laws to make this possible. That is, the number of psychological counselors and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residential care centers should increase, and professional foster care and therapeutic group homes should be activated, so that children in out-of-home care can receiv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therapeutic services. In addition,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hildren’s Welfare Act,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provision on psychological recovery in support policies and services for independent living, and to prepare applicable provisions to enable support for youth who have aged out of out-of-home care. Second, the kind of intervention and support offered should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post-traumatic growth. Therefore, the type of post-traumatic growth should be identified through in-depth counseling with such youth, and intervention plans for each type should be prepared. For example, for the delayed growth type,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reatment programs can be provided to create resilience and help the treatment and recovery of trauma. For the average typ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ocial support so that they can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To this end, systematic case management ought to be provided to establish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others from the period of out-of-home care until the end of protection, when a stable independent life is possible. Those of the post-traumatic growth type can be provided with necessary resources and services through follow-up management, so that they can maintain a stable and independent life. Third, permanency planning ought to be established to ensure placement stability, and there should be systematic support for them to experience recovery in a stable way. When preparing permanency planning, reunification with the family of origin should be considered a top priority, but a customized intervention plan should also be prepared for each case depending on the family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in question. If their family relationship is positive, it can provide support and services for recovery and relationship continuation during the out-of-home care period. In contrast, if reunification with the origin family is not possibl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children are not adversely affected by the family, and social resources ought to be made available to replace the emotional support of a fami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