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68 Download: 0

여자 청소년의 ‘자작 캐릭터(자캐) 커뮤니티’ 활동 경험

Title
여자 청소년의 ‘자작 캐릭터(자캐) 커뮤니티’ 활동 경험
Other Titles
Female adolescents' experience in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activities
Authors
손유경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otivation for female adolescents to participate in the ‘Self-made character(Ja-cke) Community’, one of the cyber community representing youth culture, and to understand the specific activities of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Also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what the various experiences in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meant to individuals, what the participants wanted to gain from their participation, and how their participatory experiences affected to their growth and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ocial implications to support the healthy growth and life of adolescents. Meanwhile, female adolescents a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factors in the process of forming relationships and self-identity than male adolescents. They also use the internet and online communities as a means to maintain and expand intim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 the study focused on the female adolescents' community experie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mong the late female adolescents aged 20 to 23, 6 were selected who had access to and subscribed to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through various SNSs, especially Twitter, Kakao Story, and Facebook within the past year, or are currently active in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behavioral observations,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2019 to June 2020. It took more than two hours per interview on average, an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wo to three more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alysis within a case, analysis among cases, as presented by Stake (1994). Through analysis within a case, I analyzed the experience by focusing on the experience before each of the study participants enters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and the experience and uniqueness of the community. Through analysis among cases, I sought to understand what flow and context their experiences in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represent. Through analysis within a case, the individual experiences in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of six study participa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 participant A,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was a space to experience recognition and to realize a sexual fantasy. Also, it was a place where the joy of creation existed. For participant B,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was a place of interest and accomplishment through anonymous relationships. She had a deep attachment to her self-made character, enjoyed the management of herself and character's popularity, and she was very empathetic to her own character. For participant C,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was a place to relieve stress from the school. It was a space that was able to resolve the desire for recognition that had not been resolved by peer groups. For participant D,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was the only refuge from the violence of her father. She was always able to meet people on her side in there. For participant E,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was a place to receive unconditional support and praise, a place of pleasure supported by many people, and a space for indirect experiences of various lives. For participant F,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was where people were gossiping about their parents together. It was a place to experience deep empathy. To friendly people, she relied psychologically on them and imagined a homosexual fantasy. Through analysis among cases, I found a common context over time from the experience of six study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study finally found 4 topics, 8 categories, and 17 subcategories. The 4 categories were categorized as ‘isolated from reality’, ‘creating my own relationship’, ‘seeking for recognition’ and ‘obsession and dependence’. The ‘isolation from reality' implies an experience of being unfairly excluded from family and school. It includes negative experiences such as indifference, bullying, violence, lack of communication, and forced sacrifice. Research participants have come to regard their homes and schools as scary and disappointing spaces and have come to think that they want to run away from them. Experiencing thorough isolation and feeling scared and lonel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approached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while looking for a place to accommodate them, and to be immersed in it in earnest. The ‘creating my own relationship’ implies honest and free communication, comfort through forming self-centered relationships,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s based on mutual support and understanding, and a pleasant experience of feeling strong belonging. This experience appears to have led research participants to regard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as a space of significance in their lives and to recognize it as something they want to protect. The ‘seeking for recognition’ refers to an act that meets the desire to be strongly recognized for one's existence. In order to be recognized by more people and by more colleagues, research participants drew praise and support from others through their painting and writing skills. They also showed their ideal selv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ir real selves. They wanted to be more popular, so they wanted to be . It has also been shown that there is excessive competition to take the name, or to maintain its position. The ‘obsession and dependence’ implies phenomena and experiences caused by excessive desire for recognition. It means excessive affection for self-made character who represent research participants, or reliance and obsession with others who have a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m. When they feel excessive anxiety, they try to resolve it in a violent form as a self-defens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emale adolescent' experience in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is ‘a process of creating their own network of relationships and worlds and struggling to keep them.’.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s out that when there is no target for close and intimate relationships in real life, study participants tried to find a new virtual world and became interested in virtual relationships. Second, parents-child relationships, which lack affection, interest, and communication, were found to hav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formation of self-esteem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were an important factor in the lack of recognition. Third, research participants who formed their own relationships enjoyed comfort, support, interaction, and free communication, and experienced satisfactory recognition. Fourth, when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one's real self and one's self-creative self, the level of immersion in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has increased. Fifth, the study participants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Ja-cke and Ann-cke as a relationship formed between themselves and Ann-cke’s owners. Sixth, the conflicting situations that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in the self-made character community were the result of desperate struggle to meet the desire to be recognized by the people around them and to share intimacy and love. Seventh,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research participants with training and education to build healthy relationships, as well as training to improve their ability to maintain that relationship. Eighth, research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cyberbullying caused by conflicts among participants in the community, and have been under severe stress. Finally, social welfare practice and welfare policies should be able to keep up with the rapid pace of change of youth culture. To this end, efforts are constantly needed to check and research youth cultur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is study,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the story of a teenage female teenager has not been heard. A follow-up study should study the experience of teenage girls who are heavily dependent on the Jacke community.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a meaningful follow-up study if we can compare the findings to find an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urthermore, this work has not been addressed, including experiences after immersion and dependency steps. The meaning of the Jacke community they feel when they reach the free stage will be quite different from what they felt in the immersion phase.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at how different.;본 연구는 여자 청소년들이 청소년문화를 대표하는 사이버공간 중 하나인 자캐 커뮤니티에 참여하게 된 동기를 알아보고, 자캐 커뮤니티에서의 구체적인 활동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자캐 커뮤니티에서의 다양한 경험이 개인에게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참여자들이 자캐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참여 경험이 참여자들의 성장과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삶을 지원할 수 있기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여자 청소년들은 남자 청소년들보다 관계를 형성하고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관계적 요인에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으로 나타나며, 관계 지향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 또한, 친밀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확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터넷 및 온라인 커뮤니티를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여자 청소년들의 자캐 커뮤니티 경험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만 20세~만 23세의 후기 여자 청소년 중에서 최근 1년 이내에 각종 SNS, 특히,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등을 통해 자캐 커뮤니티에 접근, 가입하여 자캐 커뮤니티 내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 자캐 커뮤니티에서 활동 중인 6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추가 검토를 통해 자캐 커뮤니티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대상자인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와 행동관찰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였다. 1회 면접 당, 평균 2시간 이상 소요되었으며, 연구참여자의 상황에 따라 2회에서 3회 정도의 심층 면접을 추가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사례연구 분석방법, Stake(1994)가 제시한 대로,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에, 사례 내 분석을 통해서는 연구참여자들 각자의 세부적인 기술로 자캐 커뮤니티 유입 이전의 경험 내용과 자캐 커뮤니티 내부에서의 경험 내용과 독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고, 사례 간 분석을 통해서는 각자의 사례에서 파악한 자캐 커뮤니티 경험이 어떻게 차이점을 나타내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험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점에 주목하며 범주를 통합하고자 하였다. 사례 내 분석을 통해, 6명의 연구참여자의 자캐 커뮤니티에서의 개별적 경험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참여자 A에게 있어 자캐 커뮤니티는 가족에게서 얻지 못했던 인정을 받는 공간이었으며, 성적 판타지를 실현할 수 있었던 공간이었다. 또한, 창작의 즐거움이 존재하는 곳이었다. 참여자 B에게 있어 자캐 커뮤니티는 익명적 관계를 통해 흥미와 성취감을 느끼게 해준 곳이었다. 자캐에 대한 깊은 애착심을 갖고 있었으며, 본인과 자캐의 인기관리를 즐겼으며. 자캐에게 감정이입하는 정도가 매우 강했다. 참여자 C에게 있어 자캐 커뮤니티는 학교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공간이었다. 또래집단으로부터 해소받지 못한 인정욕구를 해소할 수 있었던 공간이었으며, 그 공간에서 살아가는 자캐에 대한 애착심 역시 매우 컸다. 참여자 D에게 있어 자캐 커뮤니티는 아버지의 폭력으로부터 도망칠 수 있는 유일한 도피처였다. 그곳에서는 언제나 내 편이 되어주는 지인들을 만날 수 있었다. 참여자 E에게 있어 자캐 커뮤니티는 무조건적인 지지와 칭찬을 받는 곳이었고, 많은 사람으로부터 떠받들어지는 쾌감이 있는 곳이었으며, 살아볼 수 없는 다양한 삶을 간접체험하는 공간이었다. 참여자 F에게 있어 자캐 커뮤니티는 강한 지지를 제공하고, 함께 부모 험담을 해주는 공감해주는 존재들이 있는 곳이었다. 다정한 지인들을 상대로 심리적으로 의존하였으며, 동성애적 판타지를 표현했다. 사례 간 분석을 통해서는, 6명의 연구참여자의 자캐 커뮤니티 경험이 갖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특히, 공통점에 주목하여 범주를 통합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4개의 주제, 8개의 범주, 17개의 하위범주를 찾아냈다. 4개의 범주는 ‘현실로부터의 고립’, ‘나만의 관계 형성’, ‘인정욕구 추구’, ‘집착과 의존’으로 분류되었다. ‘현실로부터의 고립’은 가족과 학교로부터 부당하게 배제당한 경험을 내포한다. 무관심, 따돌림, 폭력, 소통 부재, 희생 강요 등의 부정적 경험을 포함한다. 연구참여자들은 집과 학교를 두렵고 실망스러운 공간으로 여기게 되었으며 그로부터 도망치고 싶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철저한 고립을 경험하고 두려움과 외로움을 느낀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을 수용해줄 수 있을 공간을 찾다가 자캐 커뮤니티에 접근하게 되었고, 본격적으로 몰입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나만의 관계 형성’은 연구참여자들이 현실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솔직하고도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 자기중심적인 관계 형성을 통한 편안함, 상호 지지와 이해를 바탕으로 한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 강한 소속감을 느끼는 즐거운 시간의 경험을 내포한다. 이러한 경험은 연구참여자들이 자캐 커뮤니티를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공간으로 여기게 만들었고, 지켜내고 싶은 나의 것으로 인식하게 한 것으로 나타난다. ‘인정욕구 추구’는 자신의 존재 가치를 더욱 강하게 인정받고 싶다는 욕구를 충족하려는 행위를 내포한다. 더 많은 사람으로부터, 더 많은 동료로부터 자기 자신이라는 존재의 필요성을 인정받기 위해,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그림과 글실력을 통해 타인의 칭찬과 지지를 이끌어냈다. 현실의 자신과는 다른, 자신의 이상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좀 더 강력한 인기를 얻고 싶어서 ‘존잘’이 되고 싶다는 욕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 이름을 차지하기 위하여, 혹은, 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과도한 경쟁을 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착과 의존’은 과도한 인정욕구에 의해 발생한 현상 및 경험을 내포한다. 자신을 대리하는 존재인 자캐에 대한 지나친 애정, 혹은, 특별한 관계를 맺은 타인에 대한 의존과 집착을 의미한다. 과도한 불안감을 느끼고, 자기방어하는 차원에서 폭력적인 형태로 그 불안을 해소하려고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에 따른 여자 청소년들의 자캐 커뮤니티 활동 경험은 ‘고립에서 벗어나 나만의 관계망과 세계를 만들고, 이를 지켜나가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이라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결과 및 결과가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의 삶에서 밀접하고 친밀한 관계를 맺을 대상을 찾지 못할 때, 연구참여자들은 인터넷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상세계를 찾아내려 하였고, 가상의 관계에 관심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정과 관심, 소통이 부족한 부모-자녀 관계는 연구참여자들의 자존감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인정욕구의 결핍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나만의 관계를 맺은 연구참여자들은 커뮤니티에서 맺은 관계로 인해 위로와 지지, 상호교류와 자유로운 소통을 즐겼으며, 충분히 만족스러울 만큼의 인정을 받는 경험을 하였다. 넷째,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실에서의 자신의 모습과 자캐 커뮤니티 내에서 스스로 창조해낸 자신의 모습 간 간격이 크면 클수록 자캐 커뮤니티에의 몰입 정도가 심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다섯째, 연구참여자들은 자캐와 앤캐 간 형성된 관계의 성격을 자신과 앤오 간 형성된 관계의 성격과 일치시키려는 경향을 보였다. 여섯째, 연구참여자들이 자캐 커뮤니티 내에서 경험한 갈등적 상황들은 주변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은 욕구와 친밀감과 사랑을 공유하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필사적이고 절박한 몸부림의 결과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에게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훈련과 교육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음은 물론, 형성한 그 관계를 건강하게 유지해가는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훈련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여덟째, 연구참여자들은 자캐 커뮤니티 참여자들 간 갈등, 그리고 갈등이 초래한 사이버불링 혹은 사이버폭력을 경험한 적 있었으며, 그 경험에 따른 스트레스를 심하게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청소년문화를 청소년복지 실천현장과 청소년복지 정책이 따라갈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끊임없이 청소년문화를 점검하고 연구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자캐 커뮤니티에의 몰입의 정도가 심한 상태를 경험하고 있을 10대 여자 청소년의 이야기는 들어볼 수 없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후속연구를 통해 자캐 커뮤니티에 과도한 몰입과 의존을 경험하고 있는 10대 여자 청소년의 경험 연구결과와 후기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한 본 연구결과를 비교하여 두 집단 간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찾아낼 수 있다면 더욱 의미 있는 후속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자캐 커뮤니티에의 몰입과 의존 단계를 거친 이후의 경험까지 포함하여 다루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자캐 커뮤니티에 몰입하고 의존하는 단계에서 완전히 벗어났을 때, 그들의 눈에 비친 자캐 커뮤니티의 의미는 몰입하고 의존하던 단계에서 바라본 자캐 커뮤니티가 갖는 의미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