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6 Download: 0

『독일·프랑스 공동 역사교과서』 편찬과정에 나타난 상호문화적 관점 연구

Title
『독일·프랑스 공동 역사교과서』 편찬과정에 나타난 상호문화적 관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rcultural aspects emerged in the course of compilation of 『History : Europe and the world since 1945』
Authors
손빛나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한업
Abstract
The starting point for this study was the question what kind of history education is required for both students with migrant background and native local students in Korean education marked by increasing diversity, and whether the current history education is coping well with the diversity in classrooms. Past history education has not adequately responded to the change of classroom environment in which diversity was introduced.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ntercultural education oringated from Europe as a new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consistent with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intended to suggest a methodology applicable to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in reference to 『History: Europe and the world since 1945』 in which an intercultural aspect could be detected, that centers around the activities performed for the sake of an improvement of the history texbooks by the European countries similar to Korea in their transformation to a multicultural society, particularly by Germany and France. An analysis of the activities performed by Germany and France for the sake of an improvement of their history textbooks and of 『History: Europe and the world since 1945』 results in the verification of four intercultural aspects. First, the bilateral activities to improve the history textbook were a process of intercultural dialogue shaped by continuous encounters and exchange of opinions. Second, efforts have been made to break from ethnocentricism. Third, the bilateral joint history textbook is a textbook suggesting important multi-perspectives. Fourth, the envisaged goal is that of a pan-European communality based on 'the European identity' that surpasses a national-state. Morever, the following is proposed by way of an analysis of 『History: Europe and the world since 1945』. First, the appropriate methodology of history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is intercultural education, and a history textbook is necessary, to which intercultural aspects apply. Second, the East Asian countries need to apply the intercultural aspects discovered in 『History: Europe and the world since 1945』 for the sake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and new transformation. If the intercultural aspects contained in 『History: Europe and the world since 1945』 apply to the Korean history textbook, it could become a history textbook which is suitable for the history education of a multicultural society and includes diversity. Besides that, intercultural history education could become a well-timed response to the educational question with regard to the history education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The intercultural aspects affirmed in 『History: Europe and the world since 1945』 is expected to be a good standard to not only apply to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but to a joint compilation of history textbook by South Korea and Japen or the East Asian countries.;본 논문은 다양성이 증대되는 한국 교육현장에서 여러 이주배경 학생들과 정주민 학생들 모두에게 필요한 역사교육은 어떠한 것이고, 현재의 역사교육이 교실 내 다양성에 잘 대처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기존의 역사교육은 다양성이 유입된 교실환경 변화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에 맞는 새로운 역사교육의 방향성으로 유럽에서 시작된 상호문화교육을 제시하는 데 있다.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 모습이 한국과 유사한 유럽국가 특히 독일과 프랑스의 역사교과서 개선 활동을 중심으로 상호문화적 관점이 견지된 『독일·프랑스 공동 역사교과서』를 통해 한국 역사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독일과 프랑스의 역사교과서 개선 활동과 『독일·프랑스 공동 역사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상호문화적 관점 4가지를 확인했다. 첫째, 양국의 역사교과서 개선 활동은 끊임없는 만남과 교류를 통해 의견을 교환하는 상호문화대화의 과정이었다는 것이다. 둘째, 자민족중심주의 역사를 탈피하려고 노력했다는 것이다. 셋째, 양국의 공동 역사교과서는 역사학습에서 중요한 다관점을 제시하는 역사교과서라는 점이다. 넷째, 민족국가를 뛰어넘는 ‘유럽 정체성’이라는 범유럽적 시각의 공동체적 목표를 지향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독일·프랑스 공동 역사교과서』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다문화 사회의 한국에 적합한 역사교육 방법론은 상호문화교육이고, 상호문화적 관점이 적용된 역사교과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동아시아 국가들이 역사적 화해의 새로운 변화를 위해 『독일·프랑스 공동 역사교과서』에서 발견한 상호문화적 관점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독일과 프랑스 공동 역사교과서에서 확인된 여러 상호문화적 관점을 한국 역사교과서에 적용한다면, 다문화 사회의 역사교육에 적합하고 다양성을 포함하는 역사교과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 다문화 사회의 역사교육에 대한 교육적 물음에 대답으로써 상호문화적 역사교육이 시의적절한 응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독일과 프랑스의 공동 역사교과서에서 확인한 상호문화적 관점은 한국의 역사교과서 개선을 넘어서 한국과 일본 또는 동아시아 공동의 역사교과서 편찬에 적용할 수 있는 좋은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