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김영재의 작품 <3중주를 위한 17현 단모리>에 관한 분석 연구

Title
김영재의 작품 <3중주를 위한 17현 단모리>에 관한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n <17-String Danmori for Trio> composed by Yeong-jae, Kim
Authors
민연홍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연구는 김영재의 작품 <3중주를 위한 17현 단모리>를 대상으로 전체 악곡의 구조와 음악적 요소를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악곡을 6개의 큰 부분으로 구분하고, 부분별로 다시 세부 단락을 나누어 음악의 구성 요소인 형식, 선율, 리듬의 요소와 연주 기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입부의 제1마디~25마디는 총 4개의 단락으로 구분된다. 대표적인 음형은 이다. 글리산도를 사용한 유니즌의 풍부한 음량이 특징적이며, 농현과 꺾는음이 사용된다. 둘째, A부분의 제26마디~57마디는 총 6개의 단락으로 구분된다. 단모리의 발랄한 느낌으로 곡이 시작되는 것이 특징이다. 튕기는 음, 연속하여 튕기는 음, 화음의 연주 기법이 나타난다. 유니즌으로 연주되는 부분에서는 풍부한 사운드를 만들어 낸다. 튕김, 연튕김, 화음, 오른손 3-1-2-1주법이 사용된다. 셋째, B부분의 제58마디~93마디는 총 5개의 단락으로 구분된다. 과 , 의 리듬 패턴을 유사하게 변형시켜 곡의 재미를 더 해준다. 곡이 진행되면서 전 파트가 유니즌으로 연주하고, 부점()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추성과 퇴성, 밀어 올려 내는 음(추성) 등 산조에 등장하는 전통적인 기법이 많이 나타나며, 이 부분 또한 화음과 연튕김을 사용한다. 넷째, C부분의 제94마디~127마디는 총 5개의 단락으로 구분된다. 단락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전 파트가 유니즌으로 이루어져 있다. 농현, 튕기는 음, 꾸밈음 등의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고 리듬이 등장한다. 다섯째, D부분의 제128마디~157마디는 총 4개의 단락으로 구분된다. 산조의 단모리 장단 부분에 대한 싱커페이션 리듬, 스타카토의 연주 그리고 전체 트릴을 매우 작은 소리(pp)로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남도계면조 느낌으로 곡을 구성하였다. 전성, 꺽는음, 오른손 3-1을 사용한 옥타브 도약, 스타카토, 양손을 사용한 트릴 주법이 사용된다. 여섯째, E부분의 제158마디~173마디는 총 3개의 단락으로 구분된다. E부분에서는 똑같은 선율을 파트별로 각각 한번 씩 반복하여 연주하는 데, 이것은 시각적 효과를 위한 구성으로 보인다. 점차 빨라지는 글리산도를 이용하여 17현의 모든 현을 긁어줌으로써 클라이맥스를 향한 느낌을 준다. 그 다음 마지막 마디에서 각 파트가 G Major의 3화음을 연주하면서 곡을 완전히 끝맺는다. 김영재의 중주곡 <3중주를 위한 17현 단모리>는 독주곡 <17현 가야금을 위한 단모리>를 바탕으로 각 파트의 구성을 재구성한 곡이다. 본 논문은 <3중주를 위한 17현 단모리>가 전통적인 음계를 바탕으로 화성적 진행과 폭넓은 음향, 유니즌을 통한 강한 사운드, 대위법적 형태의 신명난 놀이 등을 표현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분석 연구는 김영재의 3중주곡이 무엇보다도 개인의 기량을 목적으로 하는 독주곡과 상이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s in identiying musical characteristics of <17-String Danmori for Trio>, a work by Kim Yeong-jae,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musical elements of the entire music. The music was divided into 6 large sections, and they each were divided into detailed sentence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ir formations, melody, rhythmic elements and performance technique, which are components of music. The results deduct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1st to 25th measures in introduction section is divided into four sentences. The representative motif is . It is characterized by rich sound of song played with glissando in unison, and vibrato and bending notes are used. Second, 26th to 57th measures in Section A are divided into six sentences. It is characterized by Danmori’s cheerful feeling which marks the start of the song. Performance techniques such as flicking, continuous flicking and harmony are exhibited. Rich sound is produced at the part that is played in unison. Flicking, continuous flicking, harmony and right hand 3-1-2-1 technique are used. Third, 58th to 93rd measures in Section B are divided into five sentences. By similarly transforming the rhythmic patterns of and , , the song gets more interesting. As the song progresses, all parts are played in unison, the usage of dotted notes become prominent. Traditional techniques that normally appear in Sanjo (free-style solo), such as pushed up notes and released down notes, are widely used and this part also uses harmony and continuous flicking. Fourth, 94th to 127th measures in Section C are divided into five sentences. Apart from a part of sentences, all parts are played in unison.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vibrato, flicking and ornament grace notes are used, and rhythm appears. Fifth, 128th to 157th measures in Section D are divided into four sentences. This section is characterized by syncopation rhythm on Danmori beat in Sanjo, staccato, and extremely soft (pp) trills. The song was composed with Namdo minor tone. Transposition, vibrato, octave leap using right hand 3-1, staccato and trill using both hands are used. Sixth, 158th to 173rd measures in Section E are divided into three sentences. In Section E, same melody is repeated once in each sentence – this appears to be a composition for the visual effects. When all 17 strings scraped with accelerating glissando, the song hits the climax. As each part plays G Major triad in the next measure, which is the final measure, the song comes to a complete end. Trio by Kim Yeong-jae <17-String Danmori for Trio> is a song which restructures the composition of each part based on his solo . This paper disclosed that <17-String Danmori for Trio> expresses harmonic progression and broad sound based on traditional scale, strong sound through unison, and exhilarating play in contrapuntal form. This analys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prov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im Yeong-jae’s trio and his solo, of which the latter requires personal calib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