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베이징의 30-40대의 근로자의 은퇴준비태도와 은퇴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베이징의 30-40대의 근로자의 은퇴준비태도와 은퇴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tirement Attitude and Retirement Behavior of Workers in their 30s and 40s in Beijing : Effects of Regulatory Focus and Personality Types
Authors
JIN, YUNWE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소현
Abstract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간의 수명이 증가하면서 은퇴 이후의 삶이 과거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도 출산율 감소와 더불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은퇴에 대한 문제는 사회적인 주요 이슈로 강조되기 시작했다. 은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은퇴를 앞둔 장년층을 대상으로 은퇴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합리적 행동이론(TRA)이나 계획된 행동이론(TPB)에 따르면 인간의 행동은 의도나 태도에 따라 결정되며, 태도는 개인의 가치나 신념 등의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많은 연구들이 은퇴자의 연령이나 소득, 학력 등 인구통계학적 속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게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 19 등 외부요인으로 비자발적 은퇴가 증가하면서 은퇴준비는 30~40대에게도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데, 해석수준이론을 바탕으로 개인의 심리적 거리에 따른 은퇴준비 행동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계층적 성격모델(HPM)에 따르면 인간의 태도나 사회적 행동은 성격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 개방성 등 Big 5 성격유형이 개인의 태도나 행동을 결정짓는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개인의 성격유형이 은퇴준비 태도와 은퇴준비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면서 조절초점이 영향관계를 조절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수도인 베이징의 30대와 40대 근로자를 대상으로 정하여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한 현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실증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Big5 성격유형이 은퇴준비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신경증과 친화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성격유형에 따라 은퇴준비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Big 5 성격유형이 은퇴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신경증과 친화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직장인들이 스트레스는 은퇴 준비나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은퇴준비태도가 은퇴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이징시민들의 은퇴준비태도가 증가될수록 은퇴준비행동이 수반되고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Big5 성격유형이 은퇴준비태도를 매개로 은퇴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신경증과 친화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Big5 성격유형과 은퇴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은퇴준비태도가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은 Big5 성격유형과 은퇴준비태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ig5 성격유형이 은퇴준비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조절초점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은 은퇴준비태도와 은퇴준비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과 은퇴준비태도의 상호작용이 은퇴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예방초점과 은퇴준비태도의 상호작용이 은퇴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은퇴준비태도가 은퇴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예방초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30대와 40대 직장인 사이에서 은퇴에 대한 주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의 성격이나 생활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은퇴를 대하는 태도나 행동은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는 개인별로 차이가 나는 성격 유형에 따른 은퇴 준비 태도와 행동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은퇴 준비와 관련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향후 젊은 층에서의 은퇴준비 행동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한다면 은퇴와 관련된 연구의 질이 보다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The life after retirement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lso, the issue of retirement has begun to be highlighted as a major social issue as it enters an aging society along with declining birthrates in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As social interest in retirement increases, research on the factors that affect retirement preparation for the elderly ahead of retirement is actively being conduct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or Theory of Planned Behavior, human behavior is determined by intention or attitude, and attitudes are influenced by individual values or beliefs. Therefore, many studies focu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retirees. In addition, as involuntary retirement increases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COVID-19, retirement preparation is also becoming a reality for people in their 30s and 40s, and research on retirement behavior according to psychological distance is actively underway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However,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Personality Model, it can be seen that human attitudes and social behaviors are affected by personality, so the Big 5 personality types, such as extro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and openness, determine an individual's attitude or behavior. Based on the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gulatory focus controls the impact relationship while identifying how individual personality types affect retirement attitude and retirement behaviors. In addition, this study decided to target workers in their 30s and 40s in Beijing, the capital of China,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post-retirement life, which has recently spread among young people. For this purpose, prior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Big 5 personality type wa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retirement attitude. Specifically, openness, conscientiousness and extroversion had significant effects, but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were not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impact on retirement attitude varies somewhat depending on personality types. Second, the Big 5 personality type was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retirement behavior. Specifically, openness, conscientiousness and extroversion had significant effects, but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were not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stress may not lead to retirement attitude or behavior. Third, retirement attitude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tirement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more retirement attitude, the more they will be accompanied by and increase the retirement behavior in Beijing citizens. Forth, the Big 5 personality type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tirement behavior as a mediate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Specifically, openness, conscientiousness and extroversion had significant effects, but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were not significant. This means that retirement attitude plays an important mediat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g5 personality types and retirement behavior. Fifth, the regulatory focus(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was found not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5 personality type and retirement attitude. This means that the effect of the Big 5 personality type on retirement attitude does not depend on the regulatory focus. Finally, the regulatory focus(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is shown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ttitude and retirement behavior. Specifical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omotion focus and the retirement attitud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etirement behavior, bu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vention focus and the retirement attitude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tirement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impact of retirement attitude on retirement behavior depends on prevention focus. Recently, the topic of retirement has become a hot topic among workers in their 30s and 40s. However, because individuals have different personalities and lifestyles, the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retirement can only be differ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variety of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phenomena associated with retirement prepara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retirement attitude and behavior on personality types that differ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Considering this, an in-depth analysis of retirement behavior in the younger generation is expected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retirement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