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4 Download: 0

상악동의 형태 및 함기화가 전방견인 시 인접치 치축에 미치는 영향

Title
상악동의 형태 및 함기화가 전방견인 시 인접치 치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hape and Pneumatization of Maxillary Sinus Floor and Axis Change of Adjacent Posterior Teeth in Protraction : Directed by Prof. Min-Ji Kim, D.D.S M.S.D. Ph.D.
Authors
김수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 제1대구치를 발치한 전체교정 증례에서 공간 폐쇄를 위해 상악 제2대구치를 전방견인 하였을 때 상악동저의 초기형태(initial shape of maxillary sinus floor)와 함기화의 진행정도(progression of sinus pneumatization)에 따른 인접 치아의 치축 변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한 교정 클리닉에서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상악 제1대구치를 발치한 전체교정 증례에서 상악 제2대구치의 전방견인으로 공간 폐쇄를 시행한 47개의 치아(남성 치아 10, 여성 치아 37)를 대상으로 연구 시행하였다. 평균 치료시작 연령 21.58±7.14세, 평균 실제 치료기간 32.75±10.22개월이었고 상악 우측은 22증례, 상악 좌측은 25증례로 0.018-in slot edgewise bracket과 miniscrew 및 elastomeric chain 이용하여 활주역학으로 공간 폐쇄하였다. 상악동저의 초기형태는 치료시작 전(이하 T0) 파노라마 상에서 상악 제2대구치(M2) 근심협측 치근 길이에 대한 상악동저 함기화의 길이(root projection)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함기화의 진행정도는 치료시작 전(T0)과 치료완료 후(이하 T1) 파노라마 상에서의 상악동저 함기화의 증가량(△L)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세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group I(horizontal and stable): root projection <30%, △L <10%, group II(vertical and stable): root projection ≥30%, △L <10%, group III(vertical and progress): root projection ≥30%, △L ≥10%). 인접치아의 치축 변화는 상악 제2대구치(이하 M2)와 상악 제2소구치(이하 P2)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치축 평행성(teeth axis parallelism)과 치축 변화량(teeth axis change), 치축 개선량(teeth axis improvement)을 평가하였다. 치축 평행성은 T1의 파노라마에서 M2와 P2 사이의 치축이 이루는 각도(T1(AM2 – AP2), T1A), 치축 변화량은 T0와 T1사이 M2와 P2가 이루는 치축 각도의 변화량(T1(AM2 – AP2)- T0(AM2 – AP2), T1A – T0A), 치축 개선량은 T0와 T1 사이 M2와 P2가 이루는 치축 각도 절대값의 변화량(

T1(AM2 – AP2)

-

T0(AM2 – AP2)

,

T1A

T0A

)으로 정의했으며 이 값들이 상악동저의 형태 및 함기화의 진행과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총 47개의 치아 중에서 Group I은 n=19(40.4%), Group II은 n=17(36.2%), Group III은 n=11(23.4%)의 분포를 보였다. 각 그룹에 따른 치아 이동형태를 One-way ANOVA로 검정하였을 때 치축 평행성과 치축 개선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5). 치축 평행성은 Group I(-0.53±3.89)에서 가장 평행했고 Group II(-1.71±5.73)와 유사했으며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Group III(-7.64±11.52)은 Group I과 II에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치축 개선량은 Group II(-9.29±9.32)에서 가장 큰 개선량을 보였으며 Group III(-1.64±9.60)에서 개선량이 가장 적었고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Group I(-4.74±6.23)은 Group II와 III 모두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치축 변화량은 group II가 가장 크고 group I에서 가장 적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05). 본 연구를 통해 상악 제1대구치를 발치한 전체교정 증례에서 상악 제2대구치의 전방견인으로 교정적 공간 폐쇄 시행할 때 상악동저의 초기 형태가 수직적인 증례에서도 수평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치료기간 동안 함기화가 진행되지 않는다면 치료종료 시 인접치 치축이 평행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상악동저의 초기 형태가 수직적이며 치료동안 함기화가 진행되는 경우 인접치 치축이 발치공간으로 기울어지며 치축 개선량도 가장 적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상악 제1대구치 발치 및 상악 제2대구치의 전방견인을 통한 교정적 공간 폐쇄를 시행할 때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면 상악동저의 초기 형태에 관계없이 양호한 치축 평행성을 얻을 수 있으나 상악 제1대구치 발치로 인해 상악동의 함기화가 치료동안 진행되는 경우 인접치아 간의 치축 조절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는 노력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ape and pneumatization of maxillary sinus floor and axis of adjacent posterior teeth in maxillary second molar protraction. The records of 47 maxillary first molar extraction cases(10 male, 37 female; mean age 21.58±7.17 years; true treatment period 32.75±10.22 months; 22 right maxillary first molar extraction, 25 left maxillary first molar extraction) were treated between 2004 and 2018 by 0.018-in slot edgewise technique and maxillary second molar protraction using miniscrew and elastomeric chain. The initial shape of maxillary sinus floor was evaluated by vertical length of sinus pneumatization ratio to the mesiobuccal root length of maxillary second molar(root projection) at pre-treatment(T0) panorama. The Progression of pneumatization was evaluated by the amount of increase in vertical length of sinus pneumatization(△L) between pre-treatment(T0) and post-treatment(T1) panorama. The shape and pneumatization of maxillary sinus floor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Group I; horizontal and stable(root projection <30%, △L <10%), Group II; vertical and stable(root projection ≥30%, △L <10%), Group III; vertical and progressive(root projection ≥30%, △L ≥10%). The adjacent teeth axis was measured by teeth axis difference between M2 and P2 at T0(teeth axis parallelism), the amount of change of teeth axis difference M2 and P2 from T0 to T1(teeth axis change), and the absolute value of change of teeth axis difference between M2 and P2 from T0 to T1(teeth axis improvem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ree groups and adjacent teeth axis change were evaluated. Of the total 47 cases, 19 were in Group I(40.4%), 17 were in Group II(36.2%) and 11 were in Group III(23.4%). When One-way ANOVA was tested for the adjacent teeth axis by three groups of maxillary sinu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eth axis parallelism and teeth axis improvement (p <0.05), but teeth axis chang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Group I (-0.53±3.89) and Group II (-1.71±5.73) showed desirable results in teeth axis parallelism, but Group III (-7.64±11.52) showed poor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II and Group I or II. In teeth axis improvement, Group III(-1.64±9.60) showed the lowest and Group II (-9.29±9.32)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axis improvemen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I and III, but Group I(-4.74±6.23)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It was shown that in protraction of maxillary 2nd molar, the adjacent teeth axis was paralleled at the end of treatment in the case with vertical shape of maxillary sinus floor, as is the case with horizontal shape, unless sinus pneumatization was not progressing during treat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ith the vertical initial shape of maxillary sinus floor and progression of pneumatization during treatment, the adjacent teeth tilted to the missing site and the amount of axis improvement was the lowest. Therefore, in the case of maxillary 1st molar extraction and 2nd molar protraction, desirable root parallelism of adjacent posterior teeth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initial maxillary sinus shape. But in case of progressive pneumatization during treatment, clinician should be pay more attention to make adjacent teeth root to be parallel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