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Adler의 관점에서 바라본 초등학생의 학교 부적응 유형별 심리적 특성 비교

Title
Adler의 관점에서 바라본 초등학생의 학교 부적응 유형별 심리적 특성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ypes of maladaptation from Adler’s perspective.
Authors
곽소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학교는 학령기 아동들에게 주요한 삶의 배경이 되는 곳이며 관계 확장을 통해 사회화를 경험하는 등 개인이 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기관이다. 그러므로 학교에 적응하는 것은 개인의 발달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학교적응에 어려움이 발생할 때 다양한 형태의 문제 행동이 드러나는데 일련의 모든 양상을 학교 부적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학교 부적응이 심화될 경우 학교 폭력이나 학업 중단 등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기때문에 초기에 학교 부적응을 발견하고 적절하게 대처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학교 부적응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그 원인이 다양하여 이를 파악하고 접근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대다수의 선행연구에서 학교 부적응은 ‘교우 관계’, ‘교사 관계’, ‘학습’, ‘학교생활’의 정도에 따라 정의되고 있으나 이는 비가시적으로 나타나는 학교 부적응의 문제를 발견하는데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Adler의 개인 심리학적 관점으로 학교부적응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Adler는 아동의 왜곡된 신념에 의하여 잘못된 문제 행동이 나타난다고 보았으며 Dreikurs는 이러한 문제 행동이 공동체 속에서 발견되고 수정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들은 아동의 왜곡된 동기에 의하여 나타나는 문제 행동 목표를 ‘관심 끌기’, ‘힘의 오용’, ‘보복’, ‘부족감’으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의 문제 행동에서 목표가 되는 왜곡된 생각을 발견하고 각 행동 목표에 따라 알맞은 대처를 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이러한 관점은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문제 행동 외에 관계 속에서 발견되는 감정, 비언어적인 태도 등으로 부적응을 발견하고 이해하는데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장점은 기존 학교 부적응 측정이 가지고 있던 한계를 보완하기 때문에 현재 교육 현장에서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장에서 드러나는 문제 행동들은 하나의 문제 행동 목표로 정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문제 행동 목표 수준을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그 수준에 따라 학교 부적응을 새롭게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본심리욕구의 좌절과 만족, 자존감과 외․내현적 자기애를 심리적 변인으로 선정하여 유형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학교 부적응을 아동의 내면에 자리한 신념에 따라 이해하고 부적응 유형에 따른 심리적 차이를 분석하여 아동들의 결핍을 이해하고 취약점을 발견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와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 중 청소년 자기 행동 평가 중 한 영역에서 60점 이상을 받은 학생들을 학교부적응 잠재적 위험군으로 설정하였다. 학교 부적응 잠재적 위험군은 총 373명으로 전체의 37.6%였으며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학교 적응군과 학교부적응 잠재적 위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교 부적응 잠재적 위험군으로 선별된 학생들의 어긋난 문제 행동 목표를 측정하였으며 그 수준에 따라 2단계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군집에 따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진행하였으며 어떠한 군집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Scheffe 사후 검정(post-hoc test)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 가지 왜곡된 문제 행동 목표에 따라 네 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군집 1은 53명(14.2%)으로 가장 적은 수로 구성되었으나 모든 행동 목표의 수준이 높았다. 그러므로 복합적 고목표군으로 명명하였다. 군집 2는 110명(29.5%)으로 관심 끌기 행동 목표 우세 요인이 가장 두드러지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관심 끌기 집중군이라고 명명하였다. 군집 3은 108명(29.0%)으로 무기력 행동 목표 우세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나 무기력 집중군이라고 명명하였다. 군집 4는 102명(27.3%), 모든 행동 목표 수준이 낮아 복합적 저목표군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군집 별로 기본 심리 욕구의 만족과 좌절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복합적 고목표군에서 낮은 수준의 기본 심리 욕구 만족과 높은 좌절이 나타났다. 특히 관계성 욕구 만족 수준이 매우 낮았다. 관심 끌기 집중군에서는 높은 수준의 만족과 낮은 수준의 좌절이 나타났다. 부족감 집중군에서는 낮은 기본 심리 욕구 만족과 높은 기본 심리 욕구 좌절이 나타났다. 복합적 저목표군에서는 기본 심리 욕구의 좌절 수준이 낮았으나 기본 심리 욕구의 만족 수준도 높지 않았다. 셋째, 군집에 따라 자존감과 외‧내현적 자기애에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자존감 변인은 관심 끌기 집중군과 복합적 저목표군이 다른 군집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복합적 고목표군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적 자기애의 경우 복합적 고목표군과 관심 끌기 집중군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이 확인되었고 그 다음으로 부족감 집중군이었으며 복합적 저목표군이 가장 낮은 편에 속했다. 내현적 자기애 변인은 복합적 고목표군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관심 끌기 집중군, 부족감 집중군이었으며, 복합적 저목표군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학생들 내면에 자리한 왜곡된 행동 목표에 기반을 둔 학교부적응 군집은 서로 이질적인 집단이었으며 그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심리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렇기때문에 학교 부적응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때 학생 내면의 왜곡된 신념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심리적 변인을 확인하여 다양한 방면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무엇보다 보통 문제 행동 목표를 가진 아동들의 태도나 생각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특정 학생들이 학교 장면에서 억압되고 있거나 인정받을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찰해 보아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 부적응의 기준을 학생 내면의 욕구에서 찾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라 학교부적응을 바라보는 관점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Schools are the main background of the lives of school-aged children and help individuals adapt successfully to society by experiencing socialization through expanding relationships. Therefore, adapting to school is a very important issue not only from an individual's developmental aspect but also from a social aspect. When difficulties arise in adapting to a school, various forms of maladjustment occur, and all aspects can be defined as school maladjustment. If school maladjustment intensifies, there is a risk of school violence or suspension of schoolwork, so it is essential to find and deal with school maladjustment in the early stages. However, the reasons and forms of inadaptation to schools vary widely, an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nd approach them. In most previous studies, school maladjustment was defined by the degree of ‘friendship’, ‘teacher relations’, ‘learning’, and ‘school life’, but this has a limit to finding invisible problems with school maladjustment.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considered Adler's unadaptation to school from individual’s psychological perspective. Adler believes that children's distorted beliefs lead to incorrect problematic behavior, and Dreikurs understands that such problems can be detected and corrected within the community. They categorized problematic behavioral goals that arise from children's distorted beliefs as ‘attention’, ‘power’, ‘revenge’ and ‘inadequacy’. It is very effective to find distorted ideas in student behavior and to appropriately address each behavioral goal. This view has the advantage of discovering and understanding maladjustments, such as emotions and nonverbal attitudes. These advantages are now being highlight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easurement of maladjustment in schoo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problematic behavior as a single problematic behavioral goal that is identifies problematic behavior at the site. Therefore, this study comprehensively measured the four levels of problematic behavior, and tried to categorize school maladjustment according to those levels. The frustration and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esteem, and external and internal self-love were selected as psychological variables to identify differences among typ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aladjustment of schools based on the beliefs inherent in the children, analyze psychological differences of the maladjustment types, understand the deficiency of children, and discover weaknesses. Specific research problems and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In order to select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experience non-adaptation to the school from amo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tudents who scored 60T or higher in one or more areas of the Korean youth self-report(K-YSR) were set as potential risk groups for non-adaptation to the school. The school maladjusted potential risk group was 373, accounting for 37.6% of the total, identifi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 adaptation group and the school adaptation group by conducting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A two-stag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who were selected as potential risk groups for school maladjustment in accordance with the wrong behavior goals.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cluster, a multiple variance analysis (MANOVA) was conducted, and to see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hich group, the Scheffé post-hoc test was carried out.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ur cluster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four distorted action goals. Population 1 consisted of the smallest number with 53 people (14.2%), with the highest level of all action goals. Therefore, it is called a complex high-motive group. Population 2 is 110 people (29.5%), which has high characteristics of attention. Therefore, it was named as an Attention predominant group. Crowd 3 is the largest group of 108 people (29.0%), and has a high goal of inadequacy, and has been named a Inadequacy predominant group. Population 4 had 102 people (27.3%), and all action target levels were low. All behavioral target levels are low and named a complex low-motive group.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s in each community. A low level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satisfaction and high setbacks emerged in the complex high-motive group. In particular,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needs was very low. "High level of satisfaction" and "low level of frustration" appeared in the Attention predominant group. In the Inadequacy predominant group, satisfaction of low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rustration of high basic psychological needs appeared. In the complex low motive group, the level of failure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was low, but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desire was also low. Thirdly,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overt and covert narcissism among the clusters. Self-esteem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mplex low-motive group and attention predominant group than in other clusters, and complex high-motive group was found to be the lowest. In the case of overt narcissism, complex high-motive group and attention predominant group were found to be remarkably high, followed by Inadequacy predominant group and the lowest in complex low-motive group. Covert narcissism variables were markedly higher in complex high-motive group, followed by Attention predominant group and Inadequacy predominant group, and the lowest in complex low-motiv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chool maladjusted clusters based on the distorted behavioral goals of the students are different groups from each other, a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groups. Therefore, it suggests that when presenting a solution to school maladjustment, it is necessary to take various measures by understanding the distorted beliefs within the student and confirming psychological variables accordingly. Above all, we should consider whether certain students are being suppressed or deprived of the opportunity to be recognized in school scenes because the attitudes or thoughts of children with problematic behavioral goals are not common.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criteria for school maladjustment from the inner desires of students, thereby raising the need to apply a new paradigm to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school maladjustment. Finally, I suggest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ollow-up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