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2 Download: 0

셉테드(CPTED)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셉테드(CPTED)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ocial Engaged Art Class based on CPTED For 1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Sense of Community
Authors
오소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최근 코로나19시기로 급격한 사회변화와 교육체계의 변화를 겪고 있는 현대사회는 점차 개인 간의 소통의 단절로 공동체의식이 부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교의 교육현장에서도 오프라인수업이 아닌 온라인수업이 주로 진행되면서 교사와 학생들 간 혹은 학생과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 간의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다양한 학습 내용 및 학습활동,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 학교에 대한 주인의식과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높이기 위한 수업의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대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셉테드(CPTED)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와 관련된 최근 미술동향으로서의 사회참여미술은‘사회적 행위(social practice)로 지칭되는 실천적이고 사회참여적인 예술 행위’로서 단순히 예술의 한 영역의 형상이 아니라 실질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으로서 다양한 사람들과의 소통과 교류, 참여와 협업을 통해 현대사회의 다양한 사회 상황을 주제로 다룰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의미한 교육적 가치가 있다(Helguera, 2011/2013). 사회의 실천적인 행위에 대한 문제의식을 심어주며, 문제해결 방안에 대해 참여를 유도하는 성격으로서의 사회참여미술은 선행 연구를 통해서도 공동체의식과 깊은 연관성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공동체 내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및 소속감을 통한 실질적인 예술의 장으로서의 사회참여미술은 사회의 문제의식을 함께 나누고 실천적으로 개인, 집단, 지역사회가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동체의식과 깊은 상호관련성을 가진다. 최근에는 디자인을 활용하여 사람들의 행동을 변화 시키고, 더 나아가 사회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범위가 확장되어지고 있다. 이는 단순히 디자인의 기능이 실용적으로 제품을 만들거나 개선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삶의 방식과 가치관을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셉테드(CPTED)’는 환경의 개선을 통해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물리적인 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환경적, 물리적, 심리적 요소의 유기적인 관계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셉테드(CPTED)는 기존의 전통적인 범죄예방 연구나 대책과는 다르게 범죄예방을 위한 방안으로‘환경’이라는 새로운 요소를 반영하고,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더불어 사회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참여미술에서 제재로 활용하기 적합하다. 류지영(2017)은 사회참여미술교육의 재개념화를 언급하며 사회적 개인으로서 개인적·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고찰이 고루 이루어지기 위하여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사회 문제를 제기하고, 일상의 삶과 연관되어진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일상적인 삶의 터전인‘학교’를 배경으로 사회참여의 공간을 설정하였으며, 셉테드(CPTED)를 활용하여 교내에서 해결해야할 문제점을 탐색하고, 더 나아가 미술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스스로문제를 해결하며 실질적인 사회참여행위로 유발시키는 데에 중점을 두어 설계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의 실제 삶 속에서 공동체역량을 함양시켜줄 수 있는 실천적인 교육적 활용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실제 셉테드(CPTED)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을 총 6차시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참여미술과 셉테드(CPTED), 공동체의식에 관하여 문헌조사 및 선행 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각 이론의 연관성에 대해 파악하고 연구의 필요성 및 방향을 도출하였다. 둘째, 2015 개정 미술과 중학교 교육과정 내용체계와 교과서 분석을 통해 디자인을 반영한 사회참여미술수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셋째,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셉테드(CPTED)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에 기초할 수 있는 적절한 교과서 단원을 선정하고 세부 교수·학습 지도안을 계획하고 설계하였다. 넷째, 셉테드(CPTED)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을 실행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의 전체학급 중 48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단일집단으로 공동체의식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사전・사후로 수집된 공동체의식검사자료는 SPSS Ver 25.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로 검증·분석 하였으며, 수업 만족도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 본 연구에서 활용된 프로그램의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 및 방법을 통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셉테드(CPTED)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사전 공동체의식보다 사후 공동체의식과 각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수업 만족도 및 흥미도 검사의 분석 결과에서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흥미도, 만족도, 도움정도, 재미정도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수업 전·후 소감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이 학교생활 속 문제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데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셉테드(CPTED)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은 중학교 1학년의 학생들에게 학교생활 속 문제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사후 공동체의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셉테드(CPTED)를 활용한 사회참여미술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중학교 미술 수업에서 사회참여미술수업을 디자인을 통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이후에도 본 연구에서 개발된 셉테드(CPTED)에 기초한 사회참여미술수업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도 널리 실천되어 학습자들의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키며, 더 나아가 사회 변화를 위한 교육적 도구로서 활용되어 실질적으로 질 높은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In the modern society, which is undergoing rapid social change and educational system change since the recent Corona 19 period, there is no sense of community due to the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As in the education of the school is primarily an online class, not the class proceeding is offline reduce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r between students and student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esent a variety of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to cultivate a sense of community among individuals,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a sense of ownership of the school, and a direction of instruction to increase a sense of belonging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CPTED-based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 o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 modern society. Social participation art as a recent art trend related to society is a practical and socially participatory art act referred to as'social practice'. It is not simply a form of art, but as a practical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various people. It has significant educational value in that it can deal with various social situations in modern society as subjects through exchang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Helguera, 2011/2013). Social participation art as a personality that instills a problem consciousness on the practical actions of society and induces participation in problem solving methods can be found to have a deep connection with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prior research. In addition, whenever people engage in social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within a community, social participation in society as a venue for art is a deep interrelationship with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at art can share social problem consciousness and practically engage individuals, groups, and communities. In recent years, design is used to change people's behavior, and furthermore, the range that can lead to social change is expanding. This means that the function of design can not only make or improve a product in a practical way, it can also improve a way of life and values. In particular,'CPTED' is a design that can prevent crime by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mentions the need for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s well as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Unlike conventional crime prevention research or countermeasures, CPTED reflects a new element of “environment” as a way to prevent crime and It is suitable for use as a sanction in social participation art in that it can solve social problems and lead to change together with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Ryu Ji-young(2017) refers to the reconceptualiz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art education, and in order to reflect on personal and social identity as a social individual, a social issue that students can relate to and activities related to daily life must be performed. Therefore, in this study, a space for social participation was set up for students with the background of the 'school', the base of their daily life, and using CPTED to explore 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school and Furthermore learners solve problems themselves through art activities, and was designed to focus on causing a substantial social engagement behavior. Accordingly, we tried to find a practical 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 that can cultivate community competency in the real life of learners, and develop and implement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f 6 times in total, a social participatory art class based on CPTED.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after theoretically examining social participation art, CPTED, and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we grasp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theory and derive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study. Second, the educational value of social participatory art class reflecting design was analyzed through the content system of the 2015 revised art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Third, for the first year of junior high school, appropriate textbook units that can be based on CPTED-based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were selected, and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s were planned and designed. Fourth, in order to conduct a social participatory art class based on CPTED, 48 students were selected as a sample of all the first-year classes of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and the class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nse of community as a single group. Fifth, the community consciousness test data collected before and after were verified and analyzed with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using the SPSS Ver 25.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obtained as a positive result in the class satisfaction.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se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is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community consciousness and each sub-factor than the pre-community consciousness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PTED-based social participatory art class. Second,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lass satisfaction and interest test, the interest, satisfaction, help, and fun of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were evaluated positivel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class before and after the class,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 learners'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hange in problems in school lif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participatory art class based on CPTE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changing problems in school life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especially the post-community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at social participatory art class using CPTE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is is meaningful in suggesting that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can be effectively utilized through design in middle school art classes. Afterwards, the social participatory art class based on CPTED developed in this study was widely practiced in the actual school field to cultivate a sense of community among learners 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high-quality education will be realized by being widely us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social chan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