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양성평등교육 관점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Title
양성평등교육 관점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Art Textbook
Authors
김혜빈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급변하는 사회에서 다양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고정적인 틀에 매여서 살아가는 편협한 사고보다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학생의 육성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전의 가부장적인 사회로부터 이어진 전통적인 성 역할의 구별과 고정관념은 한 개인에게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인간상에 대한 가능성을 발휘하지 못하게 만들었으며 각자의 성별 울타리에 갇혀 편협한 사고 속에서 행동하게 만들었다. 현대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여성의 지위와 역할도 발전하며 사회적인 성역할의 큰 변화를 겪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 잔존하는 남성 중심의 모습은 다시금 남성 중심적 관점과 제도에 익숙해지도록 한다. 따라서 우리 사회의 지배 담론인 이원화된 정체성이 아니라 자유롭게 인간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삶의 방식을 모색할 수 있고, 젠더 간의 대립 갈등을 풀어 갈 수 있는 양성평등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학교 교육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대, 문화, 언어의 장벽을 뛰어넘어 소통하고 비판적 사고력으로 시각문화를 해석할 수 있는 미술과목의 성격을 바탕으로 교과서 이미지에 나타나는 성 역할, 성 차별적 요소에 대한 분석을 하고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학생들이 올바른 양성평등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살펴봄으로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미술교육을 위한 토대가 되어 다양한 연구와 발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교과서 분석에 앞서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미술교육과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고 미술 교과서의 주된 학습내용인 미술 교과서 시각자료의 기능 및 역할을 살펴보았다. 또한 데이비드 새드커와 마이라 새드커(1997)가 제시한 교수·학습 자료에 나타난 성 차별성에 대한 6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시각자료 분석에 적합한 성역할 고정관념, 희소성과 불균형, 비현실성 4가지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미술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분석기준으로 등장인물의 성별 비율, 성별 직업 및 역할 분포,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 묘사 3가지로 제시하였다. 등장인물의 성별 비율, 성별 직업 및 역할 분포는 세부기준에 따라 교과서의 수록된 이미지를 모두 계수하여 전체 인물 표현 중 남성과 여성이 각각 어느 정도 분포하는지와 남성과 여성의 성비를 계산하였고,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 묘사에 대한 부분은 교과서에 수록된 교육내용과 시각자료의 사례를 발췌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전체에 해당하는 10권이며, 교과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장인물의 성별 비율은 교과서 별 편차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작가 작품 및 삽화의 도판 이미지 속 인물의 성별 비율은 비교적 성비가 균형적으로 맞추어 지고 있으나 10권의 교과서가 동등하지 못하고 출판사 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별 비율과 여성과 남성의 누드 표현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이 등장하고 있어 학생 작품과 누드 작품에서 남성 표현의 희소성과 불균형이 우려되었다. 둘째, 성별 직업 및 역할 분포에서는 여전히 성역할 고정관념이 드러났다. 사실 오늘날 현대 사회는 이전 보다 사회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역할이 많이 커지고 있으며 여성과 남성의 역할도 대부분 분담되어있다. 그러나 교과서에서는 아직도 여성의 역할은 가사나 육아의 일로 소극적이고 종속적이며 전통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남성은 공적이고 성취 지향적이며 적극적인 다양한 직업인으로 등장하고 있었다. 미술 교과서이기에 더욱 아쉬운 점을 문화·예술 분야에 있어서도 남성의 등장이 여성보다 많았으며 전통적으로 미술계가 남성 작가 중심이었기 때문이라 해도 근, 현대 작가 소개 역시 여성 작가의 출현이 상대적으로 적어 학생들이 은연중에 유명한 작가들은 남성이라고 느낄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셋째,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 묘사는 현실과 동떨어져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 묘사를 파악하기 위해 가정, 사회, 학교라는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가정과 사회에서는 앞서 성별 직업 및 역할 분포에서 알 수 있듯이 남성과 여성의 묘사가 전통적인 고정 관념으로 표현되어 있었고 세부 내용에 있어서도 여성은 남성보다 무희, 소비자, 요부, 팜므파탈 등 부정적인 이미지로 그려지고 있어 학생들이 교과서 속 여성이미지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여성에 대한 편협한 사고를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설명이 교과내용에 충분하지 못하다면 여성에 대한 왜곡된 시선과 편견을 그대로 수용할 가능성이 있어보였다. 학교라는 공간은 남성과 여성의 균등하게 등장하며 인물들의 묘사도 비교적 현실성 있게 표현되었지만 가정과 사회에 비해 양이 적어 영향이 크게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양성평등교육 관점으로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해 봤을 때 이전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는 많은 개선점이 보였지만 세부적으로 성비의 불균형, 성역할 고정관념을 유발 할 수 있는 시각자료의 내용이나 구성에 있어서는 조금 더 세심한 보완이 필요했다. 마지막으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고등학교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결론 및 제언으로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이번 연구는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전체 출판사를 대상으로 한다는데 큰 의의가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고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 교육과정에서 놓치고 있는 성 역할 고정관념이나 성 차별성을 극복하고 학생들에게 올바른 양성평등의식을 심어줌으로서 세계화 시대의 따른 민주시민 육성을 위한 미술 교육의 다양한 연구와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In order to adapt to our rapidly changing society, it is a necessary to cultivate students who have the capacity to respond flexibly and effectively to situations from their closed-minded attitude. Yet, the distinction and stereotypes of conventional gender roles within Korea’s society, which have been inherited from the former patriarchal society, have made individuals to be trapped and performed in their respective gender fences, which in turn has limited their exertion to various possibilities of human characteristics. Likewise, although our modern society has changed along with the improvement in women’s societal status and roles, current society still remains its androcentric values which it leads us to become familiar with its viewpoint and system again. Therefore, continuous efforts on school education to realize gender equality should be made since it could enable us to freely purse human values and resolve our confrontational conflicts among genders which has been deeply rooted in our society as the dominant discours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oundation for art education,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to communicate and interpret visual culture with critical thinking ability by transcending the barriers of time, culture and language, by analyzing the gender role and gender discrimination elements that appear in modern art textbook images. Moreover, this paper would like to foster a proper sense of gender equality to students who live in current society by examining how the contents of modern art education implies gender biased terms. First of all, prior to the textbook analys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research survey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were examined to rationalize the relationship with art education. Meanwhile, the function and role of visual materials in art textbooks were examined since those methodologies performs as the main learning contents. In addition, among the six criteria for gender discrimin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presented by David Sadker and Myra Sadker (1997), this research paper has extracted four criteria that are suitable for visual material analysis: gender role stereotypes, invisibility, imbalance and unreality. Subsequently, three categories were proposed as the analysis criteria that can be used in art subjects: gender ratio of characters, gender occupation and role distribution and depiction of male and female images. For the analysis of gender ratio, gender occupation and role distribution of the characters, all images contained in the textbook were counted to calculate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and the distribution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among the overall character expressions. For the analysis of depiction of the image of men and women, the results were derived by extracting examples of educational contents and visual materials that were contained in textbooks. To this point, a methodologically rigorous case selection of entire 10 volumes of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were conducted into analysis; and the textbook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ratio of the characters differed by textbook. Overall, the gender ratio of the characters in the image of the artist's work and illustrations is relatively balanced, but it can be seen that the 10 textbooks are not equal an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publishers. In addition, since the expression of characters in student works and nude expressions were biased more to women, the invisibility and imbalance of male expressions in student works and nude works could be taken into concerns. Second, gender role stereotypes were still revealed in gender occupation and role distribution. Looking thoroughly inside our modern society, the women’s role has been explicitly improved so that the role distribution among gender has been fairly equally shared. However,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women’s roles are still portrayed as passive, subordinate and traditional, whereas the men’s roles are appeared as public, achievement-oriented and active professionals. Moreover, while the men appeared more than wome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the introduction of recent and modern artists showed relatively few female artists, which in turn could lead to the potential risk of implicitly generalizing famous artists as a masculine factor to students. Third, the images of men and women was depicted regrettably apart from rea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age description of men and women, the background of home, society, and school was respective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home and society, the descriptions of men and women were expressed in traditional stereotypes, as this paper have successfully sought from the distribution of gender occupations and roles. In terms of women, women were portrayed more negatively than men, such as dancers, consumers, coquettes or femme fatales. This, in turn, could lead students to unconsciously form intolerant thoughts toward women through the image of women in textbooks if the explanation of its contents does not suffice. In other words, the insufficient explanation towards women’s image in textbooks could arouse the possibility of students to adopt distorted gaze and prejudice toward women. On the other hands, in consideration with the background of school, the depiction of characters was expressed in a relatively equal and realistic way yet was lacking in its quantitative respect to reach equivalent effect as how background of home and society have. In conclusion, through analyzing high school art textbooks from the viewpoin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even thoug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t textbooks have approached a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before, the necessity for detailed supplementation on its contents or compositions of visual materials is required to eliminate any gender imbalance and gender role stereotypes. Fi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cumbent high school teachers, who are using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s, to voice their suggestions from their field to reach this research’s conclusions. Likewise, this study has reached its significance by targeting the entire publisher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to overcome any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 discrimination that were passed into silence in our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Furthermore,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divers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for democratic civic development in the globalization era by providing students with a proper sense of gender equ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