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협력학습에서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의 관계

Title
협력학습에서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C ollaborative Learning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aborati on Load
Authors
이슬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규연
Abstract
21세기의 급속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를 이해하고 정보를 통합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강조되면서 학습자에게는 주변인과의 원활한 상호작용, 문제해결이 핵심 역량으로 제시되었으며 교수자에는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는 실천적 교수역량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학습에 대한 관점과,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가 강조되는 상황이 맞물려 구성원들이 서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함께 활동할 때 가장 효과적이라는 신념에 따라 협력학습의 연구와 실천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협력학습의 긍정적인 효과가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협력학습에참여하는 학습자가 긍정적인 학습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서 협력학습이 정교하게 설계되어야 함은 물론, 주어진 과제가 복잡해야 한다. 과제가 복잡할 때 협력학습이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은 인지부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협력학습 집단이 하나의 정보처리시스템으로 간주되어 작동기억을 공유함으로써 내재적 부하를 공유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학습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Kirschner, Paas, & Kirschner, 2009b). 협력학습을 통해 내재적 인지부하를 공유하여 긍정적인 학습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이점은 협력학습에 주목할 필요성을 지지한다. 한편, 협력학습에서의 의사소통은 집단을 구성하기 위한 핵심요소이나, 오히려 이 의사소통으로 인해 협력학습 구성원간의 의사소통 등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협력학습을 통한 인지부하를 공유할 수 있는 이점이 무효화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협력학습 구성원간 공유된 이해나 멘탈모형이 형성된 관계라면, 불필요한 부하는 최소화 되고, 내재적 인지부하를 분산할 수 있는 이점은 극대화 된 만큼 본유적 부하에 인지적 노력을 기울일 수 있을 것이다. 인지부하에서 확인할 수 없는 이러한 협력학습에서의 인지부하는 협력부하로 정의하고 추가적으로 탐구해볼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또 다른 연구에서 협력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는 참여열의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며, 학습참여동기가 높은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학습방법이 협력학습이라는 연구에 따라 협력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를 위해 협력부하와 학습참여동기의 관계에 대해 탐구해 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선행연구를 종합해 보면 학습참여동기가 높을수록 학습성과나 학습만족도를 예측한다. 협력학습은 학습 만족도나 성과에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학습참여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협력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를 위해 협력부하와 학습참여동기의 관계에 대해 탐구해 볼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협력학습과 학습 만족도의 관계에서는 항상 일정한 연구결과가 도출되지 않는다는 점, 협력학습에서 학습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협력부하에 대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 협력학습상황에서의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참여동기와 학습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협력부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 협력학습 교수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협력학습에서 학습참여동기(활동지향성, 학습지향성, 목표지향성)는 학습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가? 2. 협력학습에서 협력부하는 학습참여동기(활동지향성)와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3. 협력학습에서 협력부하는 학습참여동기(학습지향성)와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4. 협력학습에서 협력부하는 학습참여동기(목표지향성)와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이를 위해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3개월간 협력학습을 진행하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2주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및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조절변인별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참여동기 중 학습지향성 학습참여동기가 학습만족도를 가장 강하게 예측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습지향성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협력부하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활동지향성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협력부하의 조절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목표지향성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 사이의 관계에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회귀분석을 실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 K기관의 교육프로그램에 한하여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성인학습자를 대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협력학습 맥락과, 다양한 소속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코로나 19 감염병으로 인해 집합교육에서 온라인 병행 교육으로 전환되면서 참여자를 모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더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다면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장효정, 김혜원(2012)의 협력부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협력학습 상황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는 협력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협력부하의 측정을 내재적, 외재적, 본유적으로 명확하게 나누어져 있는 도구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협력학습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느끼는 인지부하를 외재적, 내재적, 본유적 부하로 측정할 수 있는 협력부하 검사도구와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협력부하 조절효과를 보고자 하였으나, 모든 예측변수(활동지향성, 학습지향성, 목표지향성 학습참여동기)에 대한 조절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난 것은 아니다. 협력부하는 협력학습에서 인지부하의 분산 이점을 다루는 중요한 변인으로, 추후 선행연구의 심도 있는 검토를 통해 협력부하의 추가적인 탐구를(학습참여동기와 부정적 측면의 협력부하, 복잡한 과제에서 내재적 인지부하 분산 이점 등) 제언한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협력학습에서 긍정적 차원의 협력부하를 주목하였으며, 협력부하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협력학습 상황에서 학습참여동기와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협력부하의 조절효과를 다각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으며, 참여동기를 활동지향성 학습참여동기, 학습지향성 학습참여동기, 목표지향성 학습참여동기로 세분화하여 파악하고자 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the collaboration load variable between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has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situation. In this work, we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aboration loa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t was also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in the design of collaborative learning professors. Accordingly,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Does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ctivity-oriented, learning-oriented, goal-oriented) in collaborative learning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2. Does the collaboration loa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ctivity-oriented) and learning satisfaction? 3. Does the collaboration loa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oriented) and learning satisfaction? 4. Does the collaboration loa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goal-oriented) and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activity-oriented) are the strongest to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among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ollaboration loa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oriented)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ollaboration load could not be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activity-oriented)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no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this study, we noted positive-level collaboration loads in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esented the need for research on collaboration loads. We also sought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llaboration loa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situations in a variety of ways.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identify motivation of learning participation by subdividing them into activities-oriented, learning-oriented and goal-oriente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