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Gratitude Disposi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Psychological Well being
Authors
송영선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감사 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를 통한 간접적 영향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으로 남녀 대학생 232명(남학생 137명, 여학생 145명)을 선발하여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학생의 감사 성향은 McCullough, Tsang과 Emmons(2002)이 제작한 감사 성향 척도(Gratitude Questionnaire-6 [GQ-6])를 권선중, 김교헌과 이홍석(2006)이 번안하고 타당화 작업을 거쳐 만든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orean Gratitude Questionnaire-6 [K-GQ-6])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Folkman과 Lazarus(1985)가 제작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The Ways of Coping Checklist [WCC])를 김정희(1987)가 번안하고 요인분석 과정을 통해 수정한 척도를 박주영(1995)이 단축형으로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은 Ryff(1995)가 제작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김명소, 김혜원과 차경호(2001)가 한국판으로 번안 및 타당화하여 만든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통해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설정해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 각각의 개별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팬텀변인(phantom variable)을 설정한 후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생의 감사 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유의하였다. 즉, 감사 성향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감사 성향이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간접적 경로는 유의하여, 대학생의 감사 성향이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는 더 사용하고 소극적 대처는 덜 사용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감사 성향이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를 통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대학생의 감사 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기 상 다양한 스트레스로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의 삶의 질과 심리적 안녕감의 증진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direct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gratitude disposition and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coping strategies on psychological well being. A total of 282 undergraduate students (137 male and 145 fe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gratitude dispositio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were test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undergraduate students’gratitude disposition had a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undergraduates with more gratitude disposition had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ly, gratitude disposition had indirect effects on undergraduate students’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coping strategies. The higher gratitude disposition of undergraduates, the more active coping and the less passive coping were used, resulting in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research examined the direct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indirect effect through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Through this, our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undergraduate students’psychological well-being.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i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str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