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河南豫剧传统唱段用韵研究

Title
河南豫剧传统唱段用韵研究
Authors
ZHANG, XIAN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소희
Abstract
中国戏曲学和音韵学二者之间存在整合的可能性是不言而喻的。从戏曲的角度看,戏曲的剧本和唱念都离不开音韵问题;从音韵学角度看,从宋代至今的各种戏曲文献不胜枚举,而分布于各方言区的诸种当代戏曲,曲艺更是种类繁多,它们是汉语音韵学和汉语语音史研究中不可或缺的重要材料。 豫剧是河南的地方戏曲,兴起于明末清初,以其独特的唱腔和丰富的题材,深受人民大众的喜爱,成为中国最大的地方剧种。豫剧的语言基础是中州音韵的豫东地区(以开封为中心)、豫西地区(以洛阳为中心)的音韵和语调。本文以申景玉整理编写的《中华豫剧唱腔精选》中的261个传统唱段为研究对象,运用韵脚字系联法,辅助以词频统计法、历史比较法等,对归纳整理所得的韵脚字进行韵例审度,然后参照 《广韵》和《中原音韵》音系,在分析河南豫剧唱词的语言特征和语音演变的基础上,根据韵字和韵部的分合流向,归纳整理得出豫剧传统用韵的十二个韵部。 本文共分为六个部分: 第一章是绪论。介绍戏曲和音韵的关系,阐述研究的目的,综述河南豫剧研究取得的主要成果以及在戏曲音韵方面的研究现状,最后介绍本文研究的主要内容和研究方法。 第二章是对河南豫剧与河南方言的介绍。主要从豫剧的历史概况、河南方言以及河南豫剧和河南方言的关系这三方面进行介绍。在豫剧的历史概况中对豫剧的起源、兴起和发展以及豫剧唱腔进行了介绍;在河南地理和河南方言概述中整理了河南的地理历史和河南方言的形成和发展,以帮助读者对河南和河南豫剧有全面的理解;最后是通过对戏曲和语言、戏曲地理和方言地理关系的论述,分析了河南豫剧和河南方言的关系。 第三章是对河南豫剧传统唱段用韵的审度。通过对押韵的类型、韵例分析以及韵段的统计整理归纳出了豫剧传统唱段的韵脚字,为之后分析韵字语音的演变和韵部的分合以及对所得韵脚字进行整理归纳提供了基础。 第四章是对所得豫剧传统唱段的十二韵部进行总论和分述。先对所考察的豫剧传统唱段的韵部系统和所对应的韵段数进行总的概述,然后主要是对所得韵脚字进行归纳分析,对韵字的语音演变和韵部的分合,以及特殊韵脚字进行了说明,然后再进一步讨论韵部分合中表现的不同韵部的互押现象。 第五章是对豫剧传统唱段用韵反映出的河南方言的特点的分析。先参照《河南省·方言志》中对河南方言韵母系统的总结,探讨在豫剧传统唱段中没有反映出来的河南方言的韵母及其原因。然后把列举豫剧传统唱段的十二个韵部的韵脚字,以探讨河南豫剧传统唱段的用韵特征与河南方言特征的一致性和差异点,得到河南传统豫剧唱段的十二个韵部与相对应的河南方言的韵母之间有相当大的一致性,并从河南方言韵母特点中得到印证。 第六章是结语。主要对本论文总结出的河南豫剧传统唱段的韵部特点和所体现的河南方言韵母特点进行总的概述。 ;중국의 희곡학은 음운학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희곡의 극본과 창념(唱念)은 음운의 문제를 떠나서 논할 수 없으며, 송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희곡에 대한 수많은 문헌과 다양한 곡예의 연구성과는 중국어 음운사 연구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예극(豫劇)”은 하남성(河南省)의 지방 희곡을 지칭한다. 명말 청초부터 발전되어 온 예극은 독특한 노랫가락과 풍부한 소재로 대중의 환영을 받아 중국 최대의 지방극으로 발전하였다. 예극의 기초 음계는 중주(中州)음운으로서 개봉(開封) 중심의 예동(豫東)지구, 낙양(洛陽) 중심의 예서(豫西)지구의 음운과 어조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고는 신경옥(申景玉)이 정리한 『中華豫劇唱腔精選』의 261개 전통 창단(唱段) 연구 방법에 의거하여 운각자계련법(韻脚字系聯法)을 중심으로 통계법, 역사 비교법 등의 방법을 보완하여 귀납하여 얻은 운각자의 운례를 정리하였다. 이어 『广韵』과 『中原音韵』의 음계를 참조하여 하남 예극 가사의 언어적 특징과 음운의 변천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운자와 운부의 분합 양상에 따라 예극의 전통운 12 개의 운부를 정리하였다. 본고는 총 6장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1장 서론에서는 희곡과 음운의 관계를 소개하고,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하남 예극에 관한 주요 연구 성과와 희곡 음운에 관한 연구 현황을 종합하고, 본고의 주요 내용과 연구방법에 대해 약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하남 예극과 하남 방언에 대해 소개하였는데 예극의 역사적 개황, 하남 방언, 그리고 하남 예극과 하남 방언의 관계를 세 가지 각도에서 설명하였다. 먼저, 예극의 역사적 개황 부분에서는 예극의 기원과 발전에 대해 소개하였고, 하남의 지리 및 하남방언 부분에서는 하남지역의 지형적 특징과 역사에 연유하여 하남 방언의 형성과 발전을 정리하여 하남과 하남의 예극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에는 희곡과 언어, 희곡지리와 방언지리의 관계에 대해 논하며 하남예극과 하남방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제 3장에서는 하남 예극을 전통극 관점에서 심도 있는 탐구를 진행하였다. 압운의 유형과 운례를 분석하였고, 운단의 통계정리를 통하여 예극 속 전통 창단의 운각자를 귀납하였으며, 이후 운자 어음의 변천과 운부의 분합 및 음운자를 귀납하였다. 제 4장에서는 예극의 전통 단락으로써 얻은 12운부에 대해 총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먼저 예극의 전통 창단을 통해 운부 체계를 살펴보고, 이에 대응되어 있는 운단수를 총체적으로 서술한 다음, 운각자를 귀납 분석하여 운자의 음운 변천과 운부의 세분화, 특수 운각자를 설명한 다음, 운부합에서 표현된 서로 다른 운부의 상호 압운(押韻)현상을 논하였다. 제 5장에서는 예극 전통창단 용운에 대해 하남 방언의 특징과 분석을 서술했다. 먼저《河南省·方言志》에서 하남성 방언 운모체계의 전체적 구조를 참고하여 예극 전통 창단에 반영되지 않은 하남 방언의 운모와 반영이 되지 않은 운모의 이유를 알아본 다음, 예극 전통 창단의 12개 운부와 운각자를 열거 하여 하남성 예극 전통 창단의 용운 특징과 하남 방언 특징의 일치성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하남성 전통 예극 창단의 12 개 운부와 하남 방언의 운모 간에 상당한 일치성이 있음을 보이고, 이것이 하남 방언 운모의 특징에서 증명되었음을 제시하였다. 제 6장은 결론으로써, 본 논문에서 종합한 하남 예극에 노정되어 있는 전통 창단의 운부 특성과 하남 방언의 운모 특성을 총체적으로 서술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