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9 Download: 51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덕현-
dc.contributor.advisor서성록-
dc.contributor.author서재정-
dc.creator서재정-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0:47Z-
dc.date.available2021-01-28T16:30:47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3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30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32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연구자 작업의 이론적 배경과 조형적 창작 과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연구자 작업의 중심 개념인 ‘일상 속에서 구체화되는 건축적 공간의 경험’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현되는 작업의 예술적 의의와 가능성을 고찰한다. 구체적으로는 ‘공간’과 ‘공간 경험’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논의를 소개하고 이를 배경으로 ‘건축적 심리공간’으로 확장되는 연구자 작업의 특징과 작품을 분석하는 순으로 전개된다. 연구자는 다양한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는 ‘공간’ 개념에 대해 공간의 인식과 경험으로 이어지는 단계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우선 시대적 흐름에 따라 철학과 물리학에 근거한 공간의 기본 개념들을 살펴보고, 원근법을 통한 2차원에서의 3차원 공간 구현, 입체주의와 드 스테일(De Stijl)에서의 해체와 조합의 공간, 환영적 공간을 탈피하고 실재 공간으로 확장되는 미니멀리즘으로 이어지는 미술사에서의 공간 표현 방식의 변천을 서술한다. 이어 연구자의 공간 인식이 구체화되는 지점인 건축공간에 대해 미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공간과 인간의 관계, 상호작용과 그 의미를 고찰하여 연구자 작업에서 현실 속에 존재하는 장소로서의 건축공간은 인간의 사고작용을 통해 새롭게 구현되는 형이상학적 개념으로서의 ‘건축적 공간’으로 확장된다. 공간의 경험은 현실 속 공간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간의 다양한 감각 작용과 관련된다. 이와 관련하여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 제임스 깁슨(James J. Gibson), 경험주의에서의 공간 인식에 있어서 시지각에 대한 관점과 유하니 팔라스마(Juhani Pallasmaa)가 언급한 시각의 영역 바깥으로 작용하는 ‘주변적인 시야’,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감각의 동시성과 상호작용을 통한 몸에 의한 공간 경험의 해석을 살펴본다. 이와 함께 노베르그 슐츠(Christian Norberg-Schulz)와 에드워드 렐프(Edward Relph), 이-푸 투안(Yi-fu Tuan)의 현실 속 다양한 형태의 공간 정의를 이론적 틀로 한다. 공간의 경험은 시지각적 형태 인식에서 나아가 공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지며 이는 우리가 마주하는 상황인 체험적 공간들을 통해 볼 수 있다. 연구자는 작업을 통해 이와 같은 공간의 경험과 추상적 사고작용에서 비롯되는 새로운 공간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는 공간 속 또 하나의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건축적 공간’을 통해 형상화된다. 연구자의 작품 속 공간은 불가능한 구조와 비현실적 건축의 풍경이며 기억과 상상력을 불러 일으키는 건축의 원형적 형태이다. 작업의 구현은 2차원과 3차원, 일루전과 실재하는 공간의 혼재를 통해 이루어지며, 방법론적 시도로 회화와 조각, 건축의 중간적 형태인 부조회화 형식을 통해 새로운 ‘건축적 회화공간’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자는 물질적 형태 외에도 공간의 부피, 빛과 그림자의 현상과 같은 비가시적인 경험을 형상화함으로써 관람자에게 확장된 공간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작품 분석은 ‘심리적 공간의 풍경’, ‘유기적 공간의 풍경’으로 나누어 전개된다. 각각의 키워드는 연구자 작업 전체를 아우르는 개념이면서도 공간적, 매체적, 방법론적 특징에 따라 세분화된다. <완벽한 조건>, <유연한 공간> 연작에서는 2차원과 3차원의 구조, 현실에서 파생되는 불가능한 공간과 같은 요소들이 혼재되어 있는 경계적 공간으로서의 심리적 풍경을 드러낸다. <불확정성 유기적 공간>, <Illusory Pattern> 연작은 평면에 구현된 환영의 공간과 쉐이프트 캔버스의 단차를 통해 드러나는 실제의 즉물적 공간과 캔버스 표면의 회화적 물성과 조각적 형태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조형식의 조각적 회화로의 확장을 보여준다. 이는 다층적 형태와 상황들을 드러내며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 존재하는 ‘건축적 심리공간’의 모습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의 본질적인 개념부터 다양한 분야에서의 공간론의 변천을 통해 공간 의미의 지속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규명한다. 지금 현존재인 인간에게 공간은 끊임없는 내러티브를 만들어내는 열린 의미이자 체험적 장(場)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건축공간과 인간의 공감각적 경험, 사고작용이 매개체로 연결되는 ‘건축적 심리공간의 경험’이라는 새로운 미학적 개념의 정의로써 조형적 구현을 시도하며, 이를 통해 관람자에게 인간과 자연스럽게 공존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환기를 이끌어내고 예술적 측면에서의 새로운 공간 경험의 가능성을 제시한다.;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analyze my work’s theoretical backdrop and creative process. The overarching concept of my work is an experience with space in everyday life. This space is concretized as “an experience with architecture." This dissertation is intended to analyze my relationship with architectural space and consider my work’s artistic connotations through this experience. This study attempts to elucidate my works on “architectural psychological space” in an extensive range of genres. This is a phased analysis of my concept of space that continues from a perception of experience with space which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bove all, it reviews the elemental concepts of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predicated upon philosophy and physics. This study also describes the changes that took place in the ways of expressing space, ranging from the realization of three-dimensional space in two-dimensional space by perspective to the space of deconstruction and combination in Cubism and De Stijl. It sheds light on architectural space, a point where my perception of space is realize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elation of space with humans their interaction and connotations. An architectural space as a place in reality becomes an architectural space as a metaphysical concept that is newly incarnated by human thinking in my work. Our experience with space is inextricably concerned with our various sensory actions involved in perceiving space in reality. This thesis also considers the perception of visual space asserted by Rudolf Arnheim, James J. Gibson, and empiricism; “peripherial perception” working outside by Juhani Pallasmaa; and an experience with space through the body with the sense’s simultaneity and interaction interpreted by Maurice Merleau-Ponty. This adopts multifarious definitions of space by Norberg-Schulz, Edward Relph, and Yi-fu Tuan as its theatrical frame. This space experience continues from visual perceptual recognition to a synesthetic experience, which is seen in our experiential space. I have tried to embody a new space brought forth by such space experience and abstract thinking. This space is a figuration of “architectural space,” another space within a space. Space in my work appears as an unrealistic architectural structure which is impossible to be realized in reality, unmasking the original form of architecture arousing memory and imagination. I try to draw out new “architectural pictorial space,” relying heavily on a mixture of two dimension and three dimension and the form of relief-painting which is a neutral form of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Space is not only addressed as a physical form in my work. My work is intended to provide viewers with an expanded space experienced through a figuration of space, paying heed to invisible experience with space’s volume, light, and shadow. An analysis of my work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the scene of psychological space; and the scene of organic space. Each keyword is a notion covering the whole of my work, subdivided by spatial, medium, and methodological hallmarks. The series ‘A Complete Condition’ and ‘Flexible Space’ reveals a psychological scene as a boundary space where some elements such as a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an impossible space deriving from reality are jumbled together. The series ‘Indeterminate Organic Space’ and ‘Illusory Pattern’ shows an expansion to sculptural painting in the form of relief in which illusory space embodied on the plane, realistic space revealed in the shaped canvas, and a pictorial property of matter on the canvas and sculptural form are organical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The series ‘Circulative Sculpture’, an expansion of two-dimensional work to three-dimensional work is a figuration of space in my two-dimensional work in three-dimensional constructive form. This study simultaneously investigates the elemental concept of space, its meaning’s sustainability and expandability predicated upon theories of space in a broad range of disciplines. To humanity who exists here and now, space is an experiential field that brings restless narratives and open connotations. This study tries to define the new aesthetic concept of “an experience with architectural, psychological space” in which architectural space is connected to synesthetic experience and thinking through an analysis of my work based on this discussion. It brings to mind a space naturally coexisting with humans,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a new space in terms of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공간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5 A. 공간의 형성과 의미 5 1. 실재와 공간 5 2. 공간에 대한 역사적 궤적 8 3. 건축에서의 공간의 의미 11 B. 공간 경험의 여러 측면 14 1. 시지각적 경험의 공간 15 2. 공감각적 공간의 경험 18 3. 실체적 공간의 경험 21 Ⅲ. 건축적 공간으로의 확장 : 선행작가 연구 25 A. 비현실의 건축적 풍경 : 마우리츠 C. 에셔, 조르조 데 키리코 25 B. 기호로서의 원형 : 알도 로시 30 C. 건축적 회화 공간 : 엘 리시츠키, 드 스테일, 프랭크 스텔라 36 D. 또 다른 공간의 상상 : 레이첼 화이트리드 43 Ⅳ. 건축 모티브를 통한 심리적 공간 : 연구자 작품 분석 47 A. 심리적 공간의 풍경 49 1. 완벽한 조건 연작 49 2. 유연한 공간 연작 54 B. 유기적 공간의 풍경 75 1. 불확정성 유기적 공간 연작 75 2. Illusory Pattern 연작 90 Ⅴ. 결론 112 참고문헌 115 ABSTRACT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9619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건축 모티브를 통한 심리적 공간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sychological Space through Architectural Motifs : Focusing on the Researcher’s Work-
dc.creator.othernameSeo, Jaejung-
dc.format.pagexi,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