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소정-
dc.contributor.author안서현-
dc.creator안서현-
dc.date.accessioned2021-01-28T16:30:43Z-
dc.date.available2021-01-28T16:30:43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otherOAK-0000001736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7366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631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an adult in online mindful art therapy during COVID-19-related self-quarantine. The researcher appli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 26-year-old woman who was in her two-week self-quarantine after returning to Korea from overseas. Seven online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13 July 2020 to 24 July 2020 while the participant was in self-quarantine, three to four times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through the video conferencing platform Zoom. Based on the principle of psychological first aid, the online mindful art therapy sessions were focused on the participant’s emotional stability, response to stress, and short-term adaptation, bearing in min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self-quarantin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rtworks that were completed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pre-session and post-session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 researcher’s observation and clinical notes, audio recording files, video recordings and verbatim records of all sessions.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an adult’s online mindful art therapy in self-quarantine and its significance. The researcher repeatedly read the transcribed text to summarize the participant’s meaningful verbal expression, non-verbal behavior, and artistic expression and completed the analysis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verification. Upon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five topics and fifteen sub-topics were derived, including ‘looking forward to online art therapy that started as an event in my life but also feeling a sense of disappointment at being unable to have face-to-face therapy’, ‘difficult to accept all the sudden changes caused by quarantine’, ‘feeling comfortable in art therapy that became the only friend in this quarantined situation’, ‘expansion of perception and perspective by looking at myself objectively, and looking at myself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with new eyes’, and ‘having the courage to face difficulties after returning to daily life based on the experience of dealing with stress during quaranti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online mindful art therapy provided a sense of social connectivity to the participant who was experiencing psychological isolation in a quarantined environment, and art encouraged and promoted the participant to open herself up comfortably. Second, through online mindful art therapy, the participant had the opportunity to observe herself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from a distance and thus gained new understandings and insights of herself and the given situation. Third, online mindful art therapy wa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 as an experience through which she could handle stress effectively throughout the quarantine period. The therapy became a resource, enhancing her confidence in her ability to overcome stress in future situations once self-quarantine is over. In conclusion, through online mindful art therapy in COVID-19-related self-quarantine, the adult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ble to maintain a sense of social connectivity and relieve the strains of psychological isolation by communicating with others in a safe and comfortable channel. She also observed herself and surrounding situations in a receptive and open manner, gaining understandings and insights, and adapting to the stressful situation. This overall experience wa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 as an experience of overcoming stress, encouraging confidence in her inherent stress response cap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해 자가격리 중인 성인이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해외에서 국내로 입국하여 2주간 자가격리 중인 26세 성인 여성이다. 미술치료 사례는 2020년 07월 13일부터 2020년 07월 24일까지 주 3~4회 60분씩, 참여자가 자가격리를 하는 동안 총 7회기 실시하였으며, 실시간 화상회의 플랫폼인 줌(Zoom)을 활용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자가격리가 미치는 심리적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참여자의 정서 안정과 스트레스 대처 및 단기적 적응에 중점을 둔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으며, 심리응급개입(Psychological First Aid)의 원칙을 바탕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미술치료 회기에서 완성한 미술작품, 참여자와의 사전𐩐사후 면담, 연구자의 관찰 및 임상 일지, 녹음파일, 전 회기 과정을 기록한 화상비디오 녹화본과 축어록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자가격리 중인 성인의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사한 텍스트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참여자의 유의미한 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행동, 미술 표현을 정리하였고,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내 삶의 이벤트처럼 시작된 비대면 미술치료가 기대됨과 동시에 아쉬움을 느낌’, ‘격리로 인한 갑작스러운 변화들을 받아들이기 힘듦’, ‘고립된 상황 속에서 유일한 친구로 다가온 미술치료 안에서 편안한 감정을 느낌’,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나와 나를 둘러싼 상황을 새로운 눈으로 살피며 인식과 관점이 확장됨’, ‘격리 기간 동안 스트레스에 대처한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일상복귀 후 마주할 어려움을 직면할 용기가 생김’의 총 5개의 상위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COVID-19로 인해 자가격리 중인 성인이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과 그 의미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는 격리 환경에서 심리적 고립을 경험하는 참여자에게 사회적 연결감을 제공하였으며, 이때 미술은 참여자가 편안한 마음으로 자신을 개방할 수 있도록 촉진하였다, 둘째,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를 통해 참여자는 자신과 주변 상황을 거리를 두어 바라보는 기회를 가졌으며, 자신과 상황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통찰을 경험하였다. 셋째,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는 참여자가 스스로 격리 기간 동안 스트레스에 잘 대처한 경험으로 인식되었으며, 이는 참여자의 자원이 되어 격리 해제 후 미래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극복할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켰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COVID-19로 인해 자가격리 중인 성인을 위한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가격리 중인 성인은 안전하고 편안한 방식으로 타인과 소통함으로써 사회적 연결감을 유지하고 심리적 고립감을 해소하였다. 또한 수용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로 ‘나’와 주변 상황을 바라봄으로써 이해와 통찰을 경험하고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하였다. 이러한 전체 경험은 참여자로 하여금 스트레스를 극복한 경험으로 인식되어 스스로에게 내재된 스트레스 대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고취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Ⅱ. 문헌고찰 7 A. COVID-19 7 1. COVID-19 팬데믹의 정의와 현황 7 2.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변화 8 B. 자가격리 10 1. 자가격리와 격리대상자 10 2. 격리의 심리적 영향 12 C. 미술치료 15 1. 마음챙김 미술치료 15 2. 비대면 미술치료 19 Ⅲ. 연구방법 23 A. 질적 사례 연구 23 B. 연구 참여자 23 C. 자료 수집 26 D. 비대면 미술치료 회기 구성 26 E. 자료 분석 31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32 G.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33 Ⅳ. 연구결과 35 Ⅴ.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4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73 부록2. 미국미술치료학회(AATA) 디지털 윤리조항 75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92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COVID-19로 인해 자가격리 중인 성인을 위한 비대면 마음챙김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Qualitative Case Study on Online Mindful Art Therapy for an Adult in COVID-19-related Self-quarantine-
dc.creator.othernameAhn, Seohyun-
dc.format.pagev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2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