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받은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 발견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받은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 발견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Qualitativ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self-discovery of a mother whose child has been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uthors
박혜미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받은 자녀를 성인기까지 키운 어머니의 자기발견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머니는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탐색하는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받은 자녀를 만 23세 성인기까지 키운 만 54세 어머니이다. 본 사례는 2020년 7월 27일부터 2020년 9월 14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1~2회, 90분간 총10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받은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 발견을 위한 미술치료의 목표는 미술작품을 통해 억압된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얻고 미술작업을 통해 경험을 개방함으로 자신을 수용하며 진정한 자기 발견을 이루는 것이다. 연구자는 목적과 목표에 맞추어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고 치료사로서 본 사례를 직접 진행하며 사례에 대한 심층적 이해 및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를 직접 관찰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또한, 자료수집을 위해 사전면담을 실시하였고 참여자의 동의 하에 미술치료 전 회기 과정의 녹음 파일과 이를 전사한 텍스트, 미술작품을 촬영한 이미지를 원자료로 수집하였다. 심층적이고 다양하게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원자료를 바탕으로 회기 내에서 연구 참여자의 언어표현과 비언어적 행동 관찰을 분석하여 문서로 전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사례 연구의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자폐스펙트럼을 진단받은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 발견을 위한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상위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 되었다. 본 미술치료 사례의 경험의 범주는 <장애 자녀의 어머니로서 경험했던 자신의 슬픔을 마주함>, <지금까지 돌보지 못한 자신을 바라봄>, <자신의 내적 상태를 돌봄으로 바뀔 수 있다는 희망을 발견함>, <긍정적인 삶의 목표를 설정함> 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받은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 발견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어머니가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인 어머니는 미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경험을 하였다. 참여자는 자신의 감정을 안전하게 볼 수 있는 미술치료 안에서 부정적인 감정과 모습들은 긍정적인 감정과 모습에서 나올 수 있다는 것, 부정적인 모습조차 자신을 이루고 있는 요소라는 점을 인식하였다. 참여자는 자신의 미술작품과 대화하며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감정을 찾아내고 수용한 것이다. 둘째, 연구 참여자인 어머니는 미술 작업을 통해 자녀를 키우느라 돌보지 못했던 자기 자신을 바라보게 되었다. 참여자는 자신의 감정을 만나며 누구인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끊임없이 작품을 통해 질문하였고 내면 양극성의 균형을 맞추어 온전히 진실된 자신의 모습을 만날 수 있었다. 이는 참여자에게 정반대인 두 면의 결합으로 더 고차원적인 자아를 가져오는 경험을 하게 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인 어머니는 미술활동과 미술작품을 통해 자신의 다양한 모습을 수용하는 과정을 거쳤고 자신의 새로운 강점들을 찾아내며 자기 발견을 이루고자 하였고 나아가 긍정적인 미래를 꿈꾸게 되었다. 참여자는 매 회기 미술활동을 통해 개인적인 발견을 할 시간을 갖고 연구자와의 나눔을 통해 자신의 내면의 삶을 나누었다. 참여자는 미술치료 안에서 통찰을 얻고 자신의 작품과 현재 삶을 연결하는 경험을 통해 자기를 발견하여 스스로를 믿고 의지하는 마음과 태도를 갖게 되는 경험을 하였다. 자신의 의식에 머물러있던 것들이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메시지의 의미를 발견하여 자신의 현재 삶에서 다룰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받은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 발견을 위한 미술치료는 장애자녀에 초점을 맞춰 삶을 살아온 어머니로 하여금 자신의 내적 상태에 집중하고 자신을 수용하며 신뢰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 주었다. 연구 참여자는 자신이 살아온 모든 삶의 과정에서 진정한 자기를 발견하게 되었고 발전적인 행동의 실천으로 미래에 대한 긍정적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이루어가는 과정들을 기대하게 되는 경험을 하였다. 이에 따라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진단받은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창조적 표현으로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수용하는 경험은 진정한 자신을 발견하기 위한 과정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a mother, who raised her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adulthood,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for self-discovery and also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is experienc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were applie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54-year-old mother who raised her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ntil the age of 23. Ten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27 July 2020 to 14 September 2020, once or twice a week, 90 minutes per session. The objective of this art therapy for the self-discovery of a mother whose child was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to look inside her oppressed inner self and freely express through artworks to obtai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lso to open up experiences through art production to accept herself and achieve true self-discovery. The researcher organized the art therapy sessions in line with the purpose and objectives, and whilst conducting the case directly as a therapist, recorded observations of the participant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ase and for research purposes. In addition, a pre-session interview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n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 audio recordings and transcriptions of all art therapy sessions, as well as photographs of artworks were collected as source data. For in-depth and diverse data, the participant’s verbal expression and non-verbal behavior during the sessions were observed, analyzed, and transcribed into writing. A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of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explore the self-discovery focused art therapy experience of a mother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its significance. Upon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six topics and twelve sub-topics were derived. The categories of experience for this art therapy case are , , , and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f the experience of a mother with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art therapy for self-discovery. First, the mother, who is the research participant, had an experience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her feelings through art activities. Through art therapy, where one can safely look at their emotions, the participant recognized that negative emotions and appearances can come from positive emotions and appearances and that even those negative appearances are elements that makeup who she is. In her conversations with her artwork, the participant found emotions that appeared repeatedly and accepted them. Second, through art production, the mother, who is the research participant, had the opportunity to look at herself that had not been looked after whilst caring for her child. The participant constantly asked through her work who she is and who she wants to be while meeting her emotions, and she was able to find her true self by balancing her inner polarities. This enabled the participant to experience bringing higher-dimensional egos by combining two opposite sides. Third, the mother, who is the research participan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various aspects of herself through artworks and art activities, sought to achieve self-discovery by finding her new strengths, and started dreaming of a positive future. The participant set apart time for self-discovery through each art therapy session and shared her inner life with the researcher. Through art therapy, the participant gained insight and the heart and attitude to trust and rely on herself through the experience of connecting her works with her present life. She was able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symbolic message that had remained in her consciousness and deal with it in her present life. In conclusion, through art therapy for self-discovery of a mother whose child has been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mother, who had lived her life focused on her disabled child, was able to concentrate on her inner state, accept and trust herself. The research participant discovered her true self in all stages of her life and through the practice of developmental actions, she was able to experience setting positive goals for the future and looking forward to the process of fulfilling those goals. As such, the experience of mothers with children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exploring and accepting their emotions through creative expression is beneficial in the process of true self-discove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