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Title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Other Title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Art Therapy Majors’ Experiences of Practicing Art Therapy for children cancer
Authors
류혜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이 경험한 체험의 의미와 체험된 현상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진행하였다.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석사과정생이 갖는 공통된 경험에 따라 그 현상에 대한 본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상학적 해석학 방법을 채택하고, 실습생이 무엇을 체험했는지, 어떻게 체험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 체험의 본질적 요소와 구조를 찾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이 소아암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해 경험한 것과 그 경험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는 것으로, 실습생들의 소아암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을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를 위해 소아암 아동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 5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연구는 2020년 10월부터 11월까지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가 포화 수집될 때까지 각 2~3회 정도 면담이 진행되었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에 따라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으며,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7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6개의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의료미술치료와 아동 내담자에 대해 새로운 감정을 느낌>, <미술치료 구조설정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함>,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사로서 부족함을 느낌>, <더 나은 미술치료를 위해 다양한 것들을 시도해봄>, <변화하는 아동의 모습을 통해 치료사로서 성취감을 느낌>,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해가는 나를 발견함>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결론과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다른 실습지와 다르게 오픈스튜디오라는 특수한 세팅으로 소아암 아동을 만나게 되고, 예기치 않게 변화되는 치료 환경 속에 실습생은 혼란스러움과 어려움을 겪는다. 둘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소아암 아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통해 미술치료 치유의 힘을 경험할 수 있다. 셋째,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소아암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신이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함을 느끼게 된다.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 전공 영역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이 소아암 아동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해 겪는 경험을 각 개인의 진술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쉽게 접할 수 없는 내담자 그룹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역할과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의료미술치료 영역에서 소아암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가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생생한 진술을 통해 소아암 미술치료 실습을 앞둔 석사과정 실습생에게 현장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미술치료의 내담자는 대부분 13세 미만의 아동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후속 연구를 위해 13세 미만의 소아암 아동뿐만 아니라 소아암 청소년 대상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진행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연구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는 소아암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이다. 연구를 진행하며 소아암 아동을 돌보는 가족들도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소아암 환자의 부모와 형제들에 대한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현장실습에 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master's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ho experienced on-site art tr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and the nature of experienced phenomena.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 of master's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site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ancer, we will adopt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to learn the nature of the phenomenon, describe in detail what they experienced and how they experienced it, and find the essential elements and structure of the exper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children's cancer art therapy experiences by master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nd to use it as data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cancer art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who has experienced on-site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and what is its meaning and essence?" For this study, five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with field experience in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depth research was conducted non-face-to-face from October to November 2020,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bout two to three times each until the data was satura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Max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and six intrinsic and 17 subtopics were derived. The six essential topics are: ‘I feel new feelings about medical art therapy and children's inner circle’,‘Experiencing difficulties in setting up the structure of art therapy’,‘Not enough as an art therapist for children with cancer’,‘Try various things for better art therapy’,‘I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as a healer through the changing image of a child’,‘I found myself growing up as an art therapis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 of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is as follows. First,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meets a child cancer child with a special setting called an open studio, unlike other labs, and the trainee suffers from confusion and difficulty in an unexpected changing treatment environment. Second, master's degre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can experience the power of healing art therapy through the positive change of children with cancer. Third, a master's degre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feels that he is growing up as an art therapist through art therapy with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area of art therapy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nted to convey vividly the experiences experienced by art therapy master students through on-site practice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rough individual statements. It is meaningful that this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group of inner patients that are not easily accessible.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art therapy targeting children of childhood cancer will be established in the field of medical art therapy by presenting the role and effect of art therapy for children of childhood cancer.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vivid statements of research participants can provide indirect experience in the field to the master's degree trainees who are about to practice pediatric cancer art therapy. Finally, the subjects of art therapy in this study consisted mostly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For follow-up research, we propose various types of research, such as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that conducted on-site art therapy practice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as well as children with cancer. In addition, this study is an experience study on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hildhood cancer. Throughout the study, I learned that familie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cancer also hav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erefore, I propose a follow-up study on the field practice of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for parents and siblings of childhood cancer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