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청소년 대상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Title
청소년 대상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Other Titles
Meta-analysis of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for adolescents
Authors
전재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한 국가의 미래의 지표인 청소년의 건강한 신체 및 정신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이제 청소년의 문제는 비단 부적응청소년뿐만 아니라 일상적으로 스트레스에 노출된 일반 청소년의 예방적 차원에서의 접근도 중요하다. 날로 심각해지는 청소년 문제에 대한 예방과 적절한 치료를 위한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지원 방안과 그에 따른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그 중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 문제의 예방 및 치료적 중재프로그램으로써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청소년 문제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근거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20년 8월까지 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검색한 결과 총 100편을 메타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고 166개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핵심질문(PICOS)을 바탕으로 설정한 포함 및 배제 기준에 따라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고 효과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통계치가 제시된 연구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분석대상 논문들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분석대상 논문들에 포함된 여러 변인을 연구 관련 특성과 중재 관련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효과 크기 산출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및 사후 평균(M)값과 표준편차(SD) 값 등의 데이터를 코딩하였다. 이를 토대로 CMA 2.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메타분석한 결과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의 전체 효과 크기를 살펴본 결과,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하여 산출한 전체 효과 크기는 중간효과 크기 0.624이며(Z=5.256, P< .05),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대상 집단미술치료의 중재 특성 중 종속 변인에 따른 효과 크기를 살펴본 결과, 사회성 관련 변인은 1.504, 자아 관련 변인은 1.227, 적응 및 부적응 관련 변인은 -0.952, 학습 및 진로 관련 변인은 0.909, 정서 관련 변인은 0.026의 순서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집단미술치료 중재 특성 중 연구대상에 따른 효과 크기는 취약계층 청소년의 효과 크기가 1.183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다음으로 다문화 청소년은 0.815, 부적응청소년은 0.593, 일반 청소년은 0.475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령, 기관 형태, 연구유형에 따른 효과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했다. 넷째, 청소년 집단미술치료 중재 특성 중 집단크기, 전체 회기 수, 주 회기 수, 회기 시간, 매체 및 기법으로 구분된 중재 요소에 따른 효과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 집단미술치료 관련 변인들과 그 효과성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는 청소년 집단미술치료가 부적응청소년뿐만 아니라 전체 청소년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상담 및 치료적 중재 서비스의 일환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Sound body and mind of adolescents is one of the key tasks for our society, as they are the future of the country. Youth problems now are not just restricted to maladjusted adolescents. A preventive approach for ordinary adolescents who are exposed to daily stresses is also important. For an effective prevention and appropriate treatment of youth problems that are aggravating day after day, holistic and integrative support measures are necessary and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such approach should be offered. Among such intervention programs, group art therap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youth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support practical application of therapeutic intervention toward youth problems, based on a comprehensive and scientific ground drawn from the result of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for adolescents. For such purpose,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1998 to August 2020 were searched and 100 out of them were selected as the object of the meta-analysis and 166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theses for meta-analysis were selected follow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set based on key questions(PICOS) and studies that present statistics for measurement of effect sizes were used for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the theses selected for analysis, various factors contained in them were classified into research-related features and intervention-related features. Then, data such as prior and posterior average(M)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D) valu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was coded to produce effect sizes. Meta-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data by using CMA2.0 program and the result of the meta-analysis is as the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examination of overall effect size of group art therapy for adolescents, overall effect size calculated from application of the random-effects model was measured to be a medium effect size at 0.624 (Z=5.256, P<.05), which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ize.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f effect sizes following dependent variables out of the intervention features of group art therapy for adolescents, the effect size related with sociality, ego,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learning and career, and emotions was found out to be 1.504, 1.227, -0.952, 0.909, and 0.026 in the named order,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s for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group of the object of research out of the intervention features of group art therapy for adolescents, the effect size for adolescents from vulnerable social classes was the highest at 1.183, followed by 0.815 for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0.593 for maladjusted adolescents, and 0.475 for ordinary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school age, type of agency, and type of research. Fourt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factors classified into group size, number of entire sessions, number of sessions per week, time per session, and media and methodology out of the intervention features of group art therapy for adolescents. This research presents a wider understanding and practical foundational data about group art therapy for adolescents, by investigating factors related with group art therapy for adolescents and their effectiveness. Such finding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the theoretical ground for group art therapy for adolescents to take root as an important part of counsel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service to prevent and treat various problems of not just maladjusted adolescents but all teenag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