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의 공존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의 공존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for the coexistence of the teenage South Koreans and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Authors
김유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정
Abstract
본 연구는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이 공존을 위한 미술치료를 통해 이들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 경험이 가진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한 청소년 2명과 탈북 청소년 6명인 총 8명이며,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미술치료의 목표는 개인 미술 작업을 통해 자신을 이해 및 탐구하고 공동 미술 작업을 통해 타인을 인식하며, 미술을 통해 공존의 의미를 생각하고 함께 정의하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매회기 참여자의 작품 사진과 녹음 및 축어록, 연구자의 관찰 및 임상 일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축어록을 반복해서 읽고 참여자들의 언어적 표현과 미술 표현을 통해 유의미한 표본만 정리하여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상위 주제와 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상위 주제는 <익숙한 나를 새롭게 바라봄>, <나를 정의함으로 타인을 이해함>, <조율과 타협을 통해 ‘우리’를 만들어 감> 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의 공존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남한 청소년들과 탈북 청소년들이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에 대한 탐색을 통해 ‘나’에 대한 정체성과 나의 가치관을 인식하며 새로운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시각적 표현을 통해 나를 정의함으로써 나와 다른 타인에 대해 인식하였고 다름에 대한 인정과 받아들임을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서로 다른 나와 너가 만나 우리가 되어 공존을 위한 해답을 함께 찾아감으로써 공동체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공존을 새롭게 바라보고 정의 내릴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남한 청소년과 탈북 청소년의 공존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 남한 청소년들과 탈북 청소년들이 미술을 통해 공존을 위한 해답을 함께 찾는 경험을 가짐으로써 미술이 가진 치료적 의미를 알 수 있게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s of teenage South Koreans and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coexistence of the two groups. There were eight participants in this study; out of which two were teenage South Koreans and six were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y to July 2020, for a total of ten sessions. The goal of the art therapy is to understand and explore oneself through personal artwork, to recognize others through group artwork, and to think and define together the meaning of coexistence through art. Data was gathered through recordings, verbatim records, observation and clinical records of the researcher, and photographs of the participants’ artworks in every sess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in order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experience of teenage South Koreans and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in art therapy.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peatedly read the verbatim records and analyzed only the significant samples from the verbal expressions and art expressions of the participants through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verification process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3 main topics and 8 subtopics were derived. The main topics were , , and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experiences of teenage South Koreans and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in group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coexistence of the two group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uld recognize their identities and values and rediscover themselve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mselves. Secon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uld recognize others and experience acknowledgment and acceptance of differences by defining themselves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s. Thir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uld have a new perspective and definition of coexistence through discovering the value of community by becoming a group and searching together for the solution for coexist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rough group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coexistence of teenage South Koreans and teenage North Korean defectors,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realize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art by searching together for the solution for coexist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