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Title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Case of Group Art Therapy Aimed at Promoting Recovery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eniors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서울시 소재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들로, 5학년 3명, 6학년 3명이다. 사례는 2020년 8월 3일부터 2020년 8월 14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5회 100분간 총 10회기의 단기 집중형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목표는 자기표현 증진, 자신의 자원과 가능성 발견,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긍정적인 미래 지향이며 이를 바탕으로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집단미술치료 전 회기 일지, 미술 작품 이미지, 연구자의 관찰 일지와 연구자가 집단미술치료 사례 이후 고찰한 내용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반복해서 읽고, 연구 참여자들의 의미 있는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 및 미술 이미지를 정리하여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본 집단미술치료 사례 경험의 상위 범주는 <드러내기 어렵던 나의 마음을 미술로 표현해봄>, <규칙을 세워 우리를 보호함>, <설명하기 어렵던 내 마음을 표현하니 하나씩 보이는 해결방법>, <보호받지 못했던 나를 지켜주는 따뜻한 공간>, <자신 없던 내가 나의 미래를 기대하게 됨>, <새로운 시도를 응원하며 도와주는 우리> 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과정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자신이 경험하는 다양한 감정을 돌아보며 자기 이해를 높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작품 속에서 자신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되어 현재 자신에 대한 자기인식을 높이고 미술 작업을 통해 성취감을 경험하며 자신이 가진 자원을 발견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서로 격려하고 지지하며 성장하는 성공적인 미래를 지향하게 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은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기를 표현하고 스스로를 이해하는 경험을 할 수 있었으며, 미술 작업을 통해 자신감을 높이고 자신이 가진 내적 자원을 탐색할 수 있었다. 더불어 참여자 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였다. 이로써 고학년 아동은 자신을 표현하며 자기 이해를 높이는 기회를 갖고 이를 통해 자신의 자원을 발견하여 성장의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인 지지와 격려를 통해 긍정적인 미래를 기대할 수 있었다. ;The study aims to look into what experiences elementary school seniors subject to group art therapy aimed at promoting recovery resilience get to have. To this end, the study involved case study method to take a close look at the subjects' experiences. The subjects are female seniors at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comprising 3 5th graders and 3 6th graders. The short-term intensive group art therapy, presented as a case by the study, was performed 5 times a week for 100 minutes at a time from Aug. 3 2020 through Aug. 14. The times such art therapy was performed during such period totaled 10. The group art therapy for higher recovery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eniors aims to increase self-expression and help them to find out their own resource and potential and to seek futuristic goal based on interaction among the subjects themselves, on which such therapy course were built.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hole record of group art therapy, photographed art images, researcher's daily observation report and content observed after the case of group art therapy was completed. The data analysis involved repetitive comparison analysis to look into elementary school seniors' experiences regarding group art therapy. To this end, the study repeatedly perused researchers' daily observation report and categorized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expressions and art images to analyze such data by taking procedures such as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heck.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 total of 6 categories and 15 sub-categories came out. The categories regarding such group art therapy inclu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