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우울감을 호소하는 육아휴직 중인 기혼여성을 위한 단기 온라인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Title
우울감을 호소하는 육아휴직 중인 기혼여성을 위한 단기 온라인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brief online art therapy for married women on maternity leave feeling depressed.
Authors
신지연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우울감을 호소하는 육아휴직 중인 기혼여성을 위한 단기 온라인 미술치료 과정에서 우울감을 호소하는 기혼여성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 시에 거주 중인 성인초기의 육아휴직 중인 기혼여성이다. 사례는 2020년 09월 11일부터 2020년 11월 06일 까지 주 1~2회 회기당 60분씩 진행하여 총 12회기의 단기 온라인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우울감을 호소하는 육아휴직 중인 기혼여성을 위한 단기 온라인 미술치료의 목표는 희망적 미래상에 대한 동기부여와 긍정성 강화, 자신의 자원발견과 강점 강화 및 변화 촉진 그리고 새로운 정체성과 문제에 대한 해결책 형성이며 이를 바탕으로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온라인 미술치료 전 회기 일지, 미술작품 이미지, 연구자의 관찰 일지, 문서화한 3번의 심층 면담자료, 연구 참여자의 참여 일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우울감을 호소하는 기혼여성을 위한 단기 온라인 미술치료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관찰일지, 참여자의 작품집과 참여일지, 심층 면담자료를 반복해서 읽고, 연구 참여자의 의미있는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 및 미술작품들을 정리하여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총 6개의 상위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우울감을 호소하는 육아휴직 중인 기혼여성을 위한 단기 온라인 미술치료 경험의 범주는 <나의 의지대로 되지않는 현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움>, <지금의 힘든 시간도 의미가 있음을 발견함>, <보지 못했던 내 삶의 긍정적인 면을 보게 됨>, <변화를 위해 필요한 것을 모색함>, <나만의 안전한 공간에서 충전됨>, <문제 해결과 함께 새로워질 나를 다짐함> 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감을 호소하는 육아휴직 중인 기혼여성을 위한 온라인 미술치료의 과정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표현을 통해 부정적으로 사고하는 현재를 긍정적으로 환기하는 경험을 하였으며 희망적 미래상에 대해 동기부여 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미술 활동의 과정에서 자신을 개방할 수 있었으며 자기탐색을 통해 자신의 자원을 발견하고 강점을 강화하여 변화를 위한 동력을 마련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와의 상호작용과 미술작품을 통하여 우울감을 효과적으로 다루고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여 우울증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해결책을 형성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우울감을 호소하는 육아휴직 중인 기혼여성을 위한 온라인 미술치료를 통해 우울감을 호소하는 육아휴직 중인 기혼여성은 부정적으로 사고하는 현재를 긍정적으로 환기하는 경험을 하였으며 희망적 미래상에 대해 동기부여를 하였고, 자기탐색을 통해 자신의 자원을 발견하고 강점을 강화하여 변화를 위한 동력을 마련, 우울감을 효과적으로 다루고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여 우울증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해결책을 형성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brief online art therapy for married women on maternity leave who are feeling depress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ir experience. The researcher appli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o examine and explore the participant’s experience.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is a married woman in her early adulthood who is on maternity leave, living in A city. Twelve brief online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11 September 2020 to 6 November 2020, once or twi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The objectives of this online art therapy for a married woman on maternity leave feeling depressed were to encourage motivation for a hopeful future and strengthen positivity, to discover self-resources, strengthen participant’s strengths and promote change, and to form a new identity and find solutions to problems. Sess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se objectiv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journal of all online art therapy sessions, artwork images, researcher’s observation notes, transcriptions of three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ion journal of the participant. A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explore the online art therapy experience of a married woman feeling depressed.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peatedly read the researcher’s observation notes, the participant’s artwork portfolio, participa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 material to summarize the participant’s meaningful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and artworks and completed analysis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verification. Upon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six topics and fourteen sub-topics were derived. The categories of experience of online art therapy for a married woman on maternity leave feeling depressed are , , , , , and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f the experience of online art therapy for a married woman on maternity leave feeling depressed. First, the participant experienced a positive refreshment of the negative thinking present through art therapy and was able to feel motivated for a hopeful future. Second, the participant was able to open herself in the course of artistic activities and through self-exploration, she found her self-resources and strengthened her strengths to create a momentum for change. Third, the participant established a new identity to effectively deal with and solve the feeling of depression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researcher and artworks and thus, formed a solution that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In conclusion, through online art therapy for married women on maternity leave feeling depressed, a married woman on maternity leave feeling depressed was able to experience positively refreshing her negative thinking, felt motivation for a hopeful future, found her self-resour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