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3 Download: 0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건강성, 자기성찰지능, 그릿의 관계

Title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건강성, 자기성찰지능, 그릿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among Family Strength,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Grit aff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 Multi-Group Path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Level
Authors
박예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중학교 시기는 초등학교와는 달라진 환경과 학교규칙 속에서 더욱 경쟁적인 학습 성취를 요구받게 되며, 이 시기 성공적으로 학교적응을 이루어 내느냐의 여부는 향후 성인기까지의 많은 성취를 예측할 수 있다. 청소년기가 시작되는 중학교 시기는 인지적으로도, 신체적으로도 큰 변화가 시작된다. 부모를 비롯한 가족과 밀착된 아동기에서 벗어나 또래에 소속되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고, 자신만의 주관이 뚜렷해지기 시작한다. 자신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해지고 메타인지 또한 더욱 발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기적 중요성과 발달적 단계에 근거하여 효과적인 학교적응 전략을 제시하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기성찰지능과 그릿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중학교 시기는 인지적 발달과 함께 자기성찰지능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는 연령이다. 그리고 자신만의 관심사가 더욱 뚜렷해지기 시작하면서 한 가지에 몰두하고자 하는 흥미, 열정과 같은 특성도 더욱 두드러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개인적인 특성은 학습활동이나 친구관계, 교사관계,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과 같은 형태로 학교적응을 설명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학생들의 정의적, 인지적 특성과 학교적응은 가정요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아동기는 부모와 가정의 영향력이 매우 큰 시기인데, 부모와의 상호작용은 개인 특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되기 때문이다.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설명하는 이론에서도 부모 및 가족요인을 매우 중요하게 취급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의 학교적응을 설명하는 가족변인으로 가족건강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연령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주요 변인으로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자기성찰지능과 그릿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수준과 성별에 따른 경로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북 A시에 소재한 중학교 4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남녀 중학생 1, 2, 3학년 총 37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 자기성찰지능, 그릿과 학교적응 등 측정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측정변수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 그리고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과 그릿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에서 제안하는 6가지 경로 중 가족건강성에서 그릿으로의 경로 1가지를 제외하고는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가족건강성은 자기성찰지능과 학교적응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기성찰지능은 그릿과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그릿 또한 학교적응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가족건강성과 그릿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을 때는 세 가지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자기성찰지능과 그릿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 수준에 따른 차이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서도 경로의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가족건강성과 자기성찰지능, 그릿과 학교적응간 구조관계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환경적인 변화와 신체적, 정서적 발달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는 중학교 시기 어떤 요인들이 학교적응을 도울 수 있는지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효과적 전략을 제안하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학교 학교적응에 관한 상담적, 교육적 개입방안을 마련하는 데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School adjust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during the middle school period. This is when adolescence begins, and students in this age group experience significant changes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during this period can predict a number of accomplishments that are reflected in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ve factors that could help adolescents adjust to their school life during the middle school period. This study established family strength as the family-related protective factor.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school adjustment were also explored. A multi-group analysis was then conducted according to gender and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level.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374 students in their first through third years of middle school in A city in the Gyeong-buk region. The study questions were verifi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key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of family strength, intrapersonal intelligence, grit,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variables. Second,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of the six pathways suggested in the study model, five were effective, excluding one pathway (from family strength to grit): the pathways between family strength, school adjustment,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gri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mily streng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school adjustment.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grit and school adjustment. Grit also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s, three indirect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family strength and school adjustment was not shown. Thir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level and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family strength, intrapersonal intelligence, or gri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structural pathways. During the middle school period, students may be subjected to considerable stress due to changes in physical/mental growth. This study explored the variables that could help with school adjustment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rapersonal intelligence, school adjustment, family strength, and grit. It also aim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provide empirical grounds for proposing effective strategies according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can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